eorks
2022. 12. 20. 00:44
전원주택 처음과 끝(11)
주택의 외형은 모던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내추럴 스타일, 개성 있는 퓨전 스타일 등을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건축주 및 가족구성원의 기호와 예산에 따라 결정한다.
건축구조 방식도 마찬가지다. 건축주 및 가족구성원의 기호와 예산에 따라 조적식, 철근콘크리트조, 와이어패널 같은 습식공법, 목조와 스틸같은 건식공법, 기둥과 보의 목구조에 황토벽돌조적 방식 등의 습건식공법 중 선택하면 된다.
마감재로는 외벽·지붕재 등의 주요 외장재, 바닥재와 벽·천장 마감재 등의 주요 내장재, 창호자재, 수전금구류, 조명, 가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 역시 마찬가지 기준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ㅣ기타 유의해야 할 설비 관련 사항ㅣ
ㆍ난방방식 : 주택 규모, 열효율에 따라 기름보일러, 전기보일러, 가스난방
ㆍ냉방방식 : 개별 패키지 방식과 벽걸이형 등
ㆍ급수설비방식 : 상수도, 자가 지하수, 마을 공동우물, 고가수조 형식, 가압펌프 형식 등
ㆍ전기설비 : TV, 전화, 인터넷통신, 소요 인입 전력수 등
ㆍ정화조설비 : 종말 처리장 관로, 일반 부패정화조, 합병정화조 방식 중 선택
ㆍ부대설비 : 보안시스템, 홈오토메이션, CCTV, 위성방송
ㆍ기타 조경시설 : 대문, 담장, 조경수 식재 등 조경 설치 계획
ㆍ기타 : 수신시스템 등 첨단설비 기능 설치 여부와 대체에너지의 활용 고려. 대체에너지로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을 사용하나 도입 초기 단계로 아직은 설치비용 부담이 큰 편.
한국농촌공사에서는 1995년도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주택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농촌경관주택 표준설계도’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조적조, 목조, 스틸하우스 등 건축방식별로, 또 다양한 평형별로 주택 구성원들과 주거방식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간 배치를 제안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계도는 총 50종이 보급되어 있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표준설계도를 이용할 경우, 내부 인테리어가 평형별로 규격화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건축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설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표준도이므로 농촌지역에 지을 경우 신고만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농촌경관주택 표준설계도는 한국농촌공사 각 도본부와 지사에서 무료로 열람 하거나 복사할 수 있고, 농어촌정보포털 (www.nongchon.or.kr)에서도 열람 및 출력이 가능하다.
실내 마감재료, 외부 페인트, 조명기구, 방수재료, 지붕 마감재료 증의 경미한 사항이나 건축법상 대수선에 해당하는 설계변경(바닥면적 50m2 이내 : 건축법 제9조 제1항)은 농촌경관주택 표준 설계도를 이용하여 건축중에도 신고없이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ㅣ농촌경관주택 표준설계도를 이용한 행정처리 방법ㅣ
1. 표준설계도 열람 후 선호형 선택 ▶ 행정기관, 한국농촌공사 도본부 및 지사
2. 건축허가(신고)신청(구비서류:평면도, 배치도, 지적도,
국토이용계획확인원, 토지대장) ▶ 읍·면사무소 등 행정기관
3. 건축허가증 수령 ▶ 읍·면사무소 등 행정기관
4. 주택건축 착공 및 완공 ▶ 본인
5. 건축물대장 등재 ▶ 읍·면사무소 등 행정기관
|
 ......^^백두대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