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상생과 상극1장 오행의 생극 춘하추동 사계절의 운행은 서로 생하여 이루어지므로 목은 화를 생하고,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하니, 상생의 순서가 있으며, 오행이 순환하며 운행한다.
삼라만상은 음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양이 있는 음양이 존재하는 법이고, 상생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상극이 있는데, 생만 있고 극이 없다면 사 계절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BR> 극이란 생의 상대적 존재로 음양을 조절하여 멈추고, 발생의 기틀이 되어 천지가 조절하여 사계와 사방이 이루어진다. 목은 여름에 왕성하고, 가을에 감쇠(減殺 ; 밖으로는 발설하는 것을 안으로 축장하고 수렴하는 것)한다.
감쇄가 바르면 생이 되고, 생은 극과 함께 작용하고, 극은 생과 함께 작용한다. 오행으로 종합하면, 수와 목은 서로 생하고, 금과 목은 서로 극한다. 오행의 음양 관계로 적용하면 생과 극 중에 또한 차이가 있다. 이것이 바로 수는 모두 목을 생하고, 인수에는 정인과 편인이 있고, 금은 모두 목을 극하여 명국에 정관과 칠살이 있다. 인수 중에 편인과 정인은 서로 유사한데, 생극의 차이는 있지만 그대로 두고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다.
오행의 상극 관계에서는 관성과 칠살의 善惡이 분명하니, 이치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 갑을과 경신으로 설명하면, 갑은 양목으로 목의 생기이고, 을은 음목으로 목의 형질이다. 경은 양금으로 가을 하늘 숙살의 기이고, 신은 음금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쇠로된 形質이다. 목의 생기인 갑은 목기에 의지하여 하늘에 운행하므로 가을 하늘의 숙살의 기를 만나면 극을 당하여 위태롭게 되지만, 쇠로된 칼과 도끼인 신금으로는 오히려 상할 수 없다.
목의 형질은 쇠로된 칼과 도끼(신금)를 만나면 베어져 남는 것이 없게 되지만, 숙살의 기는 밖으로는 다만 잎사귀를 떨어뜨릴 뿐 뿌리 밑은 오히려 견고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갑목은 경금을 칠살로 삼고, 신금을 정관으로 삼는 이유이다. 을목은 이것과 반대로 경이 정관이며 신이 칠살이다. 병화는 양화로 융화의 기이며, 정화는 음화로 나무의 불이다. 가을의 숙살의 기인 경금은 양화를 만나면 극제되지만, 인간이 사용하는 금(신금)은 병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경금은 병화를 칠살로 삼고, 신금은 병화를 정관으로 삼는 이유이다. 도구를 쓰는 인간이 사용하는 쇠붙이인 신금은 정화를 만나면 그 상태가 변하지만, 숙살의 기(경금)는 정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신금은 정화를 칠살로 삼지만, 경금은 정화를 정관으로 삼는 이유이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