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593

희생(犧牲)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희생(犧牲) 중국은 예로부터 물이 귀한 나라다. 물론 서쪽으로 가면 높은 산이 있기 때문에 물이 있기는 하지만 동쪽 사정은 다르다. 산이 없기 때문이다. 산이 없으므로 물이 귀하다. 가물었다 하면 7년 가물고, 홍수가 나면 9년을 내리 홍수라는 말이 있다. 그러다 보니 치산치수라란 중국에 가장 어울리는 말인지도 모른다.탕임금이 결왕을 친 다음 7년 동안 가물었다. 얼마나 날이 뜨거웠던지 돌이 다 부서질 정도였다. 이를 본 태사가 점을 쳤다."사람을 죽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야 합니다.""내가 비를 비는 것은 배성을 위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백성을 희생(犧牲)해야 한다면 비는 빌어서 무엇 하랴."탕임금은 목욕재계하고 스스로 머리칼을 잘랐다. 또 손톱을 베고 ..

고전 이야기 2015.04.14

흔흔연유희색(欣欣然有喜色)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흔흔연유희색(欣欣然有喜色) 기뻐하는 빛을 얼굴 가득히 나타내었다는 말이다. `양혜왕하`편에 나오는 말이다. 맹자가 왕에게 음악에 관해서 말했다."임금께서 백성들과 함께 동고동락하시지 않고 음악을 연주하신다면 백성들은 그 북과 피리 소리를 듣고는 이맛살을 찌푸리며 이렇게 말들을 할 것입니다. `우리는 전쟁 통에 부모자식간에도 서로 만나지 못하고 형제와 처자식도 모두 뿔뿔이 흩어졌는데 왕은 자기 혼자만 신나고 좋아서 음악을 연주한다`고. 그러나 임금께서 백성들과 함께 동고동락하시면서 음악을 연주하신다면 백성들은 모두들 흔쾌히 기쁜 빛을 얼굴에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말들을 할 것입니다. `아마도 우리 임금님께서 질병이나 걱정 근심이 없으신가보다. 어쩌면 저렇..

고전 이야기 2015.04.13

황태자의 책봉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황태자의 책봉 당태종은 제위를 계승할 유력한 자격자로 문덕왕후가 낳은 장남 승건(承乾), 넷째 태(泰), 아홉째 치(治)의 세 사람을 꼽고 있었다. 처음에 장자 승건이 황태자로 책봉이 되었으나 그는 이상 성격의 소유자였다. 다리병신에다가 기이하고 해괴한 행동을 많이 했으며, 시종들에게 오랑캐의 복장을 입혀 오랑캐의 음악을 연주시키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칼춤을 추게 하였다. 또 동성애에 빠져 칭심(稱心)이라는 아름다운 소년을 몹시 사랑했다. 이에 태종이 알고 칭심을 죽여 버렸다. 태종이 그처럼 과감한 조치를 취했지만 황태자 승건은 칭심의 초상화를 만들어놓고 궁녀들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하고, 자신도 그 앞을 배회하며 눈물을 흘렸다. 이쯤 되니 황태자의 폐..

고전 이야기 2015.04.12

환소(紈素)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환소(紈素) 환소(紈素)는 흰 비단을 말한다. 반첩여(班婕妤)의 `원행가(怨行歌)`라는 시에 나오는 말이다. 반첩여는 한(漢) 성제(成帝)의 총애를 받았는데 조비연(趙飛燕)이라는 미녀 때문에 사랑을 뺏기고 게다가 임금을 저주한다는 모함까지 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성제가 죽자, 죽을 때까지 왕의 능(陵)을 지켰다.`원행가`는 조비연에게 모함을 당했을 때 지은 시로서 자신의 처량한 신세를 부채에 비유해서 가을이 오면 쓸모가 없어지는 슬픔을 노래한 시다.새로이 흰 비단을 쏟아 놓으니=新裂齊紈素(신결제환소)눈과 서리처럼 깨끗하고 곱구나=鮮潔如霜雪(선결여상설)마름개질 해 합환선 만드니=裁成合歡扇(재성합환선)둥글고 둥글기가 맑은 달 같네=團圓似明月(단원사명월)나랏님..

고전 이야기 2015.04.11

환경(環境)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환경(環境) "선생이 선생 나라의 왕을 선하게 하려고 하겠지요. 내가 분명히 선생에게알려드리리다. 만일 여기에 초나라 대부가 있는데 그에게 아들이 하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대부는 아들에게 제나라의 말을 배우게 하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제나라 사람을 시켜서 가르칠 것입니까, 아니면 초나라 사람을 시켜서 가르칠 것입니까?""당연히 제나라 사람을 시켜서 제나라 말을 가르치게 하겠지요.""바로 그것입니다. 제나라 사람이 혼자서 열심히 가르치지만 초나라 사람이 그 옆에서 열심히 떠들어댄다면, 비록 매일같이 회초리를 대면서 가르치더라도 결국 그는 제나라 말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반대로 그를 끌어다가 몇 년 동안 제나라의 거리에 놓아둔다면 비록 날마다 때리면서 초..

고전 이야기 2015.04.10

화살의 종류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화살의 종류목전(木箭)=나무로 만든 화살. 무과 초시와 복시(復試)에서 사용철전(鐵箭)=쇠로 만든 화살. 6냥전(兩箭), 아양전(亞兩箭), 장전(長箭) 세가지가 있다.편전(片箭)=살은 작으나 나는 힘이 강하고 촉이 뾰족하여 두꺼운 갑옷이라도 능히 뚫을 수 있다.동개살=전쟁 때 쓰는 마상용(馬上用)의 화살.장군전(將軍箭)=순전히 철로만 만든다. 무게는 세 근에서 다섯 근 정도이고 포(砲)에 얹어 발사하며 적선(敵船)을 부수는 데 쓰임.세전(細箭)=가는 대라고도 한다. 적진에 격서(檄書)를 보낼 때만 사용.유엽전(柳葉箭)=무과의 초시와 복시 때 외에는 촉이 뾰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시험 때 사용하는 연습용 화살. ......^^백두대간^^.......

고전 이야기 2015.04.08

화랑(花郞)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화랑(花郞) 신라 진흥왕(眞興王) 37년 처음으로 원화(源花)를 받들게해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이라는 두 여자를 뽑아 3백여 명의 무리를 거느리게 했다. 그러나 이 두 여자는 질투 끝에 준정이 남모를 살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원화는 폐지되었다. 다시 아름다운 용모의 남자를 뽑아서 이를 치장하여 꾸며 화랑(花郞)이라 이름하고 그들을 받드니, 무리들이 구름같이 모였다. 혹은 서로 도의(道義)로써 연마하고, 혹은 서로 노래와 음악으로써 즐기고 산수를 찾아다니며 즐겼는데, 멀더라도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이로 인하여 그 사람들의 그릇됨과 올바름을 알게 되어 그 중에서 선한 사람을 가리어 그들을 조정에 천거하였다.그러므로 김대문(金大問)의 에 말하기를..

고전 이야기 2015.04.07

홍건적(紅巾賊)과 주원장(朱元璋)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홍건적(紅巾賊)과 주원장(朱元璋) 홍건적(紅巾賊)은 원(元) 말기에 백련교(白蓮敎)를 신봉하는 농민들을 주축으로 결성된 반란단체를 말한다. 이들은 모두 머리에 붉은 두건을 썼으므로 홍건적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이들이 신봉한 백련교란 종교는 불교의 한 분파로 미륵불(彌勒佛)을 숭앙하는 미신적 요소가 강한 종교이다. 이들의 성격은 주축 군이 농민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민족인 몽고의 원나라를 배척할 뿐만 아니라 착취계급인 지주 세력의 제거까지도 부르짖었다. 홍건적의 세력이 날로 커지는 중에서도 유달리 두각을 나타내는 이가 있었으니 그가 곧 주원장(朱元璋)이라는 사람이었다. 그는 왕방울 눈에다가 얼굴은 얽은 자국투성이요, 코는 돼지코에 입은 두꺼비만한 둘..

고전 이야기 2015.04.06

혼천의(渾天儀)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혼천의(渾天儀) 혼천의(渾天儀)라는 것이 있다. 해와 달과 별들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천문관측기구인 선기옥형(璇璣玉衡)을 만들었으니 이른바 혼천의라는 것이다. 곧 혼천의란 하늘의 지도를 그려만든 것으로서 동양인들의 천문관측기구인 것이다. 이것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아마도 상고시대일 것으로 짐작된다. 말하자면 인류가 하늘을 관측하면서부터 나왔을 것으로 생각된다.선기옥형에는 아름다운 옥으로 만든 해와 달과 별들이 매달려 제가끔 위치에 벌려 서서 일정하게 돌아가며 사계절을 알려주게 되니 해와 달은 끊임없이 순환하여 밤과 낮을 번갈아 비춘다.해는 춘하추동의 계절에 따라 때로는 멀어지고 때로는 가까워지며 달은 그믐이 되면 희미하게 사라졌다가 초하루가 되면 다시 소생..

고전 이야기 201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