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靑史)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청사(靑史) 청사(靑史)란 역사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옛날에는 대나무 쪽에 역사를 기록하였는데 이것을 살청(殺靑)이라고 하였다. 후대에 역사책을 청사라고 하게 된 연유가 여기에 있다. 상고시대에는 종이가 없었으므로 주로 대나.. 고전 이야기 2015.03.15
천형(天刑)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천형(天刑) 노나라에 숙산무지라는 발꿈치 없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날 발을 절뚝거리며 공자를 만나러 왔다. "당신은 행실을 조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필경은 형벌을 받아 그런 꼴이 되어버린 것일 게요. 새삼 나를 찾아와 보았자 무.. 고전 이야기 2015.03.14
천재일우(千栽一遇)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천재일우(千栽一遇) 천번에 한 번 돌아온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과 지혜로운 사람의 아름다운 만남을 말한다. 원굉이라는 사람은 지독히도 가난했다. 글재주가 있었으나 그것을 발휘하지 못하고 당장 끼니를 위해 수송선의 인부 노릇을 .. 고전 이야기 2015.03.13
천리안(千里眼)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천리안(千里眼) 북위(北魏)의 지방장관 양일(楊逸)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곳에 부임하여 선정을 베푼 관리로 유명한 사람이다. 광주의 이 청년 장관은 수완이 있는 관리나 군인에게도 위압을 주어 조그만 부정도 그냥 넘기지 않아 모두 .. 고전 이야기 2015.03.12
참이란?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참이란? <장자>에 이런 대목이 있다. 공자가 어느 때 어떤 사람에게 아주 심하게 물었다. "참_진(眞)_이란 대체 어떤 것입니까?" 대답은 아주 간단명료했다. "참이란 지성(至誠)을 말하는 것입니다." 설명을 덧붙이기를 청하자 다음과 .. 고전 이야기 2015.03.11
참새가 어찌 기러기의 뜻을 알겠는가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참새가 어찌 기러기의 뜻을 알겠는가 우리나라 속담에 `참새가 어찌 황새의 뜻을 알리오`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좁은 소견의 사람이 큰일을 내다보는 사람의 뜻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약간은 무시하는 투가 섞여 있다. 이와 비슷한 것.. 고전 이야기 2015.03.10
찰견연어자불상(察見淵魚者不祥)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찰견연어자불상(察見淵魚者不祥) 연못 속을 환히 들여다보는 사람은 재수가 없다는 말로서,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임금이 너무 꼼꼼히 다스리려 하면 오히려 해가 된다는 뜻이다. <열자> `설부편`에 나오는 말이다. 진나라는 도.. 고전 이야기 2015.03.09
질풍지경초(疾風知勍草)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질풍지경초(疾風知勍草) 바람이 매서울 때 비로소 꼿꼿한 풀을 알아보게 된다는 말로 남조 송의 범엽(范曄)이 엮은 <후한서> `왕패전(王覇傳)`에 있는 말이다. 후한 광무제(光武帝) 시절 오랜 전란을 겪는 동안 조정의 살림이 어려워.. 고전 이야기 2015.03.08
진시황(秦始皇)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진시황(秦始皇) 처음으로 중국에 통일국가를 완성한 사람은 우리에게 탐욕과 폭군의 대명사로 알려진 진(秦)나라 시황제이다. 진나라 시황제의 이름은 정(政)으로 한단이란 곳에서 태어났다. 그는 진나라의 왕통을 이었으면서도 왕가의 .. 고전 이야기 2015.03.07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적을 알고 나를 안 후에 싸움을 하면 백 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손자병법> `모공(謀攻)`편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는 흔히 `백전불태`대신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는 말을 즐겨 .. 고전 이야기 201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