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패(齊覇)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제패(齊覇) 제나라 임금의 성씨는 강(姜)으로서, 태공망 여상이 있었던 곳이다. 후세의 환공에 이르러 제후의 패자가 되었다. 이른바 오패(五覇)는 환공이 그 시초다. 그러므로 제패(齊覇)라 한 것이다. 환공은 이름을 소백이라고 했다. 그.. 고전 이야기 2015.02.23
제왕과 미인의 용모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제왕과 미인의 용모 찡그린 얼굴이 잘난 것은 서시(西施)의 얼굴에서나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원래가 찡그렸다고 할 수 있는 인물이 있다. 역대로 제왕들은 그 얼굴과 행동 그리고 외모가 남달랐다. 이제 그 모습들을 <오주연문(五洲衍.. 고전 이야기 2015.02.22
정전법(井田法)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정전법(井田法) 정전법은 은나라와 주나라 때 실시한 토지제도 이자 조세제도다. 머저 농사짓는 땅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아홉 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그 중에서 중앙의 한 구역만 공동으로 농사를 지어 거기서 얻어지는 수확을 세.. 고전 이야기 2015.02.21
정위(丁謂)의 횡포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정위(丁謂)의 횡포 송나라 진종(眞宗) 황제 때의 일이다. 재상 구준(寇準)은 성질이 괴팍한 사람으로 이름나 있었는데, 그의 바로 밑에 정위(丁謂)라는 부재상이 있었다. 그는 원래 비천한 출신이었으나 궁중에 들어와 남의 비위를 잘 맞.. 고전 이야기 2015.02.20
절묘(絶妙)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절묘(絶妙) 조조가 젊었을 때 친구인 양수(楊修)와 함께 강남을 여행하다가 효부(孝婦) 조아(曹娥)의 비석을 보니 뒷면에 `황견유부 외손제구(黃絹幼婦 外孫虀臼)`라는 여덟 자가 새겨져 있었다. 조조가 그 뜻을 몰라 양수에게 묻자 안.. 고전 이야기 2015.02.19
전거복 후거계(前車覆 後車誡)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전거복 후거계(前車覆 後車誡) 앞 전차의 뒤집힌 바퀴자국을 보고 뒤에 오는 전차가 경계한다는 말로, 옛사람들의 실패를 거울삼아야 한다는 뜻이다. `전철(前轍)을 밟지 마라`는 말로도 쓰인다. 가의(賈誼)는 대단한 천재여서 18세 때에 .. 고전 이야기 2015.02.18
적제(赤帝)의 아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적제(赤帝)의 아들 한나라 고조 유방이 어렸을 때 술에 잔뜩 취해 밤길을 걷게 되었다. 사이 길로 늪지를 지나는데 큰 뱀이 길을 막는 것이 아닌가. 유계_유방의 자(字)가 계(季)임_가 칼을 빼어 단칼에 뱀을 베었다. 그런데 후에 사람들이 .. 고전 이야기 2015.02.17
저절로 드러나는 것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저절로 드러나는 것 고지인 신은이공저(古之人 身隱而功著) 형식이명창 설통이화분(形息而名彰 說通而化奮) 이행호천하 이민불식(利行乎天下 而民不識) 옛날 어질고 현명한 사람은 그 자신은 물러나도 공적이 저절로 드러나고, 몸은 사.. 고전 이야기 2015.02.16
장복야에게 올리는 글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장복야에게 올리는 글 절도사(節度使)의 관청에서 새벽에 출근하고 밤늦게 까지 퇴근하지 못하는 규칙이 엄하였으므로 그것이 한유(韓愈))의 체질에 맞지 않자 장복야(張僕射)에게 부탁하는 글을 올렸다. 유(愈)가 재배(再拜) 올립니다. .. 고전 이야기 2015.02.15
장군 오기(吳起)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장군 오기(吳起) 오기는 위(衛)나라 사람이며 노나라 증자(曾子)에게 배웠다. 제나라가 노나라를 공격하자 노나라는 오기를 대장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그의 아내가 제나라 사람이었으므로 의심(疑心)을 품고 주저했다. 오기는 이에 공명.. 고전 이야기 201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