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병지법(用兵之法)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용병지법(用兵之法) 무시기불래 시오유이대야(無恃基不來 恃吾有以待也) 적이 오지 않을 것을 믿지 말고 나의 충분한 대응력을 믿어야 한다. <손자> `구변(九變)`에 있는 말로 용병술의 기초를 말하고 있다. 즉, 어려운 일이 없기를 .. 고전 이야기 2015.01.24
요수(要囚)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요령부득(要領不得) 요령(要領)이라 하면 사물의 핵심이나 이치를 뜻한다. 우리가 흔히 `요령 있다`고 하는데, 이를 말한다. 요령이라는 말이 생긴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로, 요(要)는 요(腰)라고 하여 허리를 뜻하고 령(領).. 고전 이야기 2015.01.23
요령부득(要領不得)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요령부득(要領不得) 요령(要領)이라 하면 사물의 핵심이나 이치를 뜻한다. 우리가 흔히 `요령 있다`고 하는데, 이를 말한다. 요령이라는 말이 생긴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로, 요(要)는 요(腰)라고 하여 허리를 뜻하고 령(領).. 고전 이야기 2015.01.22
외척(外戚)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외척(外戚) 우리가 흔히 친척(親戚)이라고 하면 친가 쪽 외가 쪽 구분 없이 부르지만 사실은 `친`은 친가 쪽만을 의미하고 `척`은 외가 쪽만을 의미한다. 중국 역사를 한 꺼풀 벗겨보면 바로 외척과 환관(宦官)_내시_의 역사였음을 알 수 있.. 고전 이야기 2015.01.21
왕증(王曾)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왕증(王曾) 왕증은 송나라 제4대 인종(仁宗) 때의 재상이었다. 왕증은 관리 등용 시험에 언제나 장원을 했기 때문에 누구나 왕증의 출세를 상상(想像)하기 좋아했다. `틀림없이 많은 녹을 타게 될 것이며, 큰집과 좋은 옷, 좋은 음식으로 .. 고전 이야기 2015.01.20
왕자불추 내자불거(往者不追 來者不拒)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왕자불추 내자불거(往者不追 來者不拒) 이 말은 말 그대로 가는 사람은 쫓아가 말리지 않고 오는 사람은 그 누구라도 거절하지 않고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즉 사람 관계에 있어 어떤 경계를 세워놓지 않고 만난다는 말이다. 맹자가 등(謄.. 고전 이야기 2015.01.19
완적(阮籍)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완적(阮籍) 완적은 죽림칠현의 한 사람으로 갖가지 기행으로 유명한 사람이다. 그는 마음에 맞는 사람은 청안(靑眼)_보통 눈_으로 대하고 싫은 사람은 백안(白眼)_노려보는 눈_으로 대하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고 냉정히 대하.. 고전 이야기 2015.01.18
와신상담(臥薪嘗膽)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와신상담(臥薪嘗膽) 와신상담이란 오나라 왕 부차와 월나라 왕 구천의 고사에서 나온 것으로 원수를 갚기 위하여 쓰라림을 스스로 맛보는 것을 말한다. 춘추시대에 월나라에 패배한 오왕(吳王) 합려(閤閭)는 태자인 부차(夫差)에게 반드.. 고전 이야기 2015.01.17
옷깃이 나부끼는 이유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옷깃이 나부끼는 이유 도연명이 평성에서 원님 노릇을 하다가 모든 걸 내 팽개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러면서 읊은 글이 바로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다. 주요요이경양(舟요요而輕颺)=배는 흔들흔들 가벼이 흔들리고 풍표.. 고전 이야기 2015.01.16
오합지중(烏合之衆)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오합지중(烏合之衆) 오합지중은 `까마귀가 모여 있는 것 같다`는 말로 통제가 안 되는 보잘것없는 군대를 뜻한다. <후한서> `경감전(耿龕傳)`에 나오는 말이다. 왕망의 신(新)나라가 망해 갈 무렵 경감이 부하들을 이끌고 유수(劉秀)에.. 고전 이야기 201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