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도 이름도 없는 것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알맹이도 이름도 없는 것 `파(杷)`의 원래 뜻은 비파나무지만 `쇠스랑`이라는 뜻도 있다. 다음은 <전국책>에 나오는 이야기다. 진시황이 장의(張儀)의 연횡책을 쓸까 말까 고민하고 있을 때 돈약(頓弱)이라는 자를 만나 의견을 듣고 싶.. 고전 이야기 2015.01.04
안다는 것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안다는 것 과교다친 위지지인(寡交多親 謂之知人) 과사성공 위지지용(寡事成功 謂之知用) 문일언이관만물 위지지도(聞一言以貫萬物 謂之知道) 실속 없는 시귐을 적게 하고 친밀한 관계를 다방면으로 유지하는 것을 `사람을 안다`하며, .. 고전 이야기 2015.01.03
하홉 가지 생각_구사(九思)_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하홉 가지 생각_구사(九思)_ <논어> `계씨(季氏)`편에 군자(君子)가 지켜야 할 아홉 가지 행동 조목이 실려 있다. 시사명(視思明)ㅡ보는 것은 밝도록 한다. 청사총(聽思聰)ㅡ남의 말을 분명히 듣는다. 색사온(色思溫)ㅡ얼굴빛을 부드럽.. 고전 이야기 2015.01.02
심복이 난초를 더 이상 기르지 않다 , StartColorStr=#8B4513 EndColorStr=#FF8200)">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심복이 난초를 더 이상 기르지 않다 <부생육기(浮生六記)>라는 책을 쓴 심복(沈復)은 청나라 때 사람이다. 그는 일생을 미관말직으로 지내면서도 항상 꿈과 낭만을 잃지 않고 살았는데. 그가 가장 .. 고전 이야기 2014.12.31
신농씨(神農氏)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신농씨(神農氏) 신농은 3황(三皇)_`십팔사략`에는 3황을 복희, 신농, 황제로 규정하고 있다_ 중의 한 분이다. 글자 그대로 `농업의 신`이라는 뜻으로 쟁이, 괭이 등의 농기구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쳐 스스로 .. 고전 이야기 2014.12.30
고전(古典) 이야기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식소사번(食少事煩) 먹는 것은 적은데 일만 번거롭다는 말이다. 생기는 것도 없이 괜히 이리저리 분주하게 뛰어다니는 것을 말한다. <삼국지>에 나온다. 제갈공명이 두 번째의 출사표를 올리고 필사의 각오로 위나라를 공격할 때이.. 고전 이야기 2014.12.29
시기(時期)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시기(時期) 농사짓는 시기는 해마다 정해진 때가 있다. 봄에는 씨를 뿌려야 하고, 가을에는 거두어야 한다. 만약 이 시기를 놓치면 그 해 농사는 엉망이 된다. 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이 시기를 잘 이용해야 한다. 그래서 대궐을 짓는다든.. 고전 이야기 2014.12.28
순임금의 두 부인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순임금의 두 부인 순임금에게는 부인이 둘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후처를 얻었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두 부인을 아울러 맞았던 것이다. 그것도 요임금의 두 딸을 한꺼번에 얻었다. 희한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이런 일이 흔.. 고전 이야기 2014.12.27
수식변폭(修飾邊幅)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수식변폭(修飾邊幅) <후한서> `마원전(馬援傳)`에 나오는 말로 옷의 가장자리를 장식하듯이 쓸데없는 허세 허식을 말한다. 전한(前漢)을 찬탈하고 신(新)이라는 나라를 세운 왕망 세력은 말기에 와서 크게 어지러워졌다. 그러면서도 .. 고전 이야기 2014.12.26
수서양단(首鼠兩端)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수서양단(首鼠兩端) `어째 해야 할지 결정을 짓지 못하고 주츰거리는 상태`를 말한다. <사기>의 `위기무안후전(魏其武安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전한(前漢) 제4대 경제(景帝)부터 제5대 무제(武帝)에 걸쳐 두 사람의 호적수가 있었으.. 고전 이야기 201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