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만 참으면 그만인데?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오일만 참으면 그만인데? 한나라 선제(宣帝) 때 양운(楊惲)이란 사람이 있었다. 어떤 일로 인하여 대신의 지위에 있다가 사형을 당하게 되었다. 그가 사형을 당하자 양운과 친한 사이었던 장창(張廠)도 파면을 시켜야 한다는 상소가 .. 고전 이야기 2015.01.14
예절(禮節)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예절(禮節) 입경이문금(入境而問禁) 입국이문속(入國而問俗) 입문이문휘(入門而問諱)다른 지역에 들어서면 그 속에서 금하고 있는 것들에 대하여 묻고, 다른 나라에 들어서면 그 나라의 풍속에 대하여 물으며, 다른 가문에 들어서면 그 .. 고전 이야기 2015.01.13
역수가(易水歌)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역수가(易水歌) 춘추전국시대에는 적국의 황후를 죽이기 위해 한자루의 비수에 모든 것을 걸고 적지에 들어가는, 소위 자객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유명한 이가 형가(荊軻)였다. 형가는 위나라 출생으로, 조국에서 써 주지 않아 여러 나.. 고전 이야기 2015.01.12
역사의 기록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역사의 기록 선악필서 사교군적신지구(善惡必書 使驕君賊臣知懼) 선과 악은 반드시 기록으로 남겨 교만한 임금이나 나쁜 일을 한 신하들로 하여금 두려움을 알게 해야 한다. 송나라 구양수 등이 엮은 <신당서> `유자현열전`에 있는 .. 고전 이야기 2015.01.11
여불선정불가이응졸(廬不先定不可以應卒)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여불선정불가이응졸(廬不先定不可以應卒) 매사 깊이 생각해서 미리미리 준비해 놓지 않으면 뜻밖의 일에 제대로 응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사기열전> `중니제자(仲尼弟子)`편에 나온다. 자공은 공자의 제자 중에서 가장 말을 잘하던.. 고전 이야기 2015.01.10
엄광의 낚시질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엄광의 낚시질 광무제는 기품이 높고 절조가 있는 고결한 인사를 우대했다. 처사(處士) 엄광(嚴光)은 어렸을 때 광무제와 동문수학한 죽마지우. 광무제가 즉위하자 엄광은 성명을 바꾼 후 몸을 숨기고 나타나지 않았다. 광무제가 초상화.. 고전 이야기 2015.01.09
양기 부부(梁冀 夫婦)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양기 부부(梁冀 夫婦) 양기(梁冀)는 원래 불한당으로 승냥이와 같은 눈매에 독수리와 같은 어깨를 가졌으며 성질 또한 잔인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의 누이가 순제(順帝)의 황후가 되면서 권력을 손에 쥐게 되었다. 그러자 양기의 집 앞에.. 고전 이야기 2015.01.08
야자대(也字帶)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야자대(也字帶) 사극을 보면 신하들이 관복을 입고 띠를 두른 것을 볼 수 있다. 제례 때나 조례(弔禮) 때는 흰색의술띠를 한다 하여 백대(白帶)라고 한다. 야자대(也字帶)는 줄여서 애대(也帶)라고도 한다. 문무과의 과거 급제자를 발표할 .. 고전 이야기 2015.01.07
암중모색(暗中摸索)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암중모색(暗中摸索) 어둠 속에서 손으로 물건을 더듬어 찾는다. 즉, 찾는 데 아주 고생을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 본래 의미는 정반대로, 어둠 속에서도 더듬어 물건을 쉽게 찾아낼 수가 있다. 또는 눈감고도 찾을 수 있다는 의미다. .. 고전 이야기 2015.01.06
알선하는 자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알선하는 자 전국시대 때 소진(蘇秦)이 초나라에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소진은 겨우 3일 만에 왕을 만나볼 수가 있었다. 어느 정도 회담을 마치자 소진은 왕에게 대접을 잘 해줘서 고맙다는 인사와 함께 다른 나라로 떠나려고 작별을 하.. 고전 이야기 201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