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부(玆父) 이야기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자부(玆父) 이야기 춘추시대 송나라 양공(襄公)의 이름은 자부(玆父)다. 그는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 남쪽에서 가장 큰 초나라와 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싸움을 하다 서로 휴전 상태에 들어가 병력을 재정비하고 있을 때 였다. 양공의 아.. 고전 이야기 2015.02.13
임금이 되기 싫어서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임금이 되기 싫어서 월나라 사람들은 3대를 계속해서 임금을 죽였다. 그러나 앞으로 임금이 될 왕자인들 그 자리가 좋을 리가 없었다. 왕자 수(搜)는 이것이 못마땅해 단혈(丹穴)_남쪽의 해가 숨는 곳, 또는 남산의 동굴_로 도망가서 숨어.. 고전 이야기 2015.02.12
일즉치 양즉난(一則治 兩則亂)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일즉치 양즉난(一則治 兩則亂) 하나 되면 다스러지고 둘이 되면 어지러워진다는 말로 무리의 단합이 중요함을 이르는 교훈이다. <여씨춘추> `심분람(審分覽)`편에 나온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하는데, 금어여마자 .. 고전 이야기 2015.02.11
일거양득(一擧兩得)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일거양득(一擧兩得) 이로울 `리(利)`자는 `벼 화(禾)`자에 `칼 도(刀)`자를 합한 글자이다. 곧 벼를 칼로 벤다는 뜻이니 `날카로운 칼`로 `벼를 베는`것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가져다준다는 뜻일 것이다. 일거양득은 한 번 움직여서 두 가지.. 고전 이야기 2015.02.10
인생감의기(人生感意氣)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인생감의기(人生感意氣) 인생의 장한 마음을 느끼는 벅찬 감정을 말한다. 위징(魏徵)의 `술회(述懷)`라는 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당나라 초엽, 위징은 이미 나이가 40줄에 들어섰으나 누구 하나 그를 제대로 인정해 주지 않았다. 위징은 한.. 고전 이야기 2015.02.09
인금지탄(人琴之嘆)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인금지탄(人琴之嘆) 육조(六朝) 시대 진나라에 풍류를 즐겼을 뿐만 아니라 서예로 유명한 왕헌지(王獻之)_왕자경_라는 사관이 있었다. "산음도(山陰道)를 지나가면 산천의 빛과 색깔이 서로 아름답게 빛나 과객으로 하여금 황홀케 한다. .. 고전 이야기 2015.02.08
이익을 늘리는 법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이익을 늘리는 법 불리이리지 불여리이후리지지리야 (不利而利之 不如利而後利之之利也) 상대방을 이롭게 해주지 않고 자기 이익만 취하려는 것은 상대방을 먼저 이롭게 해준 다음에 자기 이익을 취하는 것만큼 그 이익이 크지 못하다... 고전 이야기 2015.02.07
이순신의 맹세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이순신의 맹세 서해어룡동 맹산초목지(誓海魚龍動 盟山草木知)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바다를 두고 맹세하면 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산을 두고 맹세하면 풀과 나무도 알아줄 것이다`라는 뜻으로 이순신 장군이 자신의 칼에 새겨 넣은 .. 고전 이야기 2015.02.06
이단으로 몰린 이탁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이단으로 몰린 이탁오 봉건 지배자들로부터 이단자로 낙인이 찍힌 이탁오(李卓吾)의 이름은 지(贄)이고, 탁오는 그의 호이다. 그는 그의 저서 제목을 <분서(焚書)>, <속분서(續焚書)>, <장서(藏書)>, <속장서(續藏書)>라고 .. 고전 이야기 2015.02.05
이년 만에 본 빛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이년 만에 본 빛 한나라에 담생(淡生)이란 사람이 있었다. 나이 40이 되도록 장가를 못 들었는데 어느 날 열대여섯 살쯤 되는 천하절색 여인이 나타나서 자기와 백년가약을 맺자고 하였다. 그리고 한가지 청하기를 자기는 보통 인간과 다.. 고전 이야기 201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