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괄이 난을 일으킨 이유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이괄이 난을 일으킨 이유 조선 왕조 5백 년 내내 서북인(西北人)_평안도 사람_을 차별했다. 그래서 평안도에서는 끊임없이 크고 작은 민란이 발생하였는데 `이괄(李适)의 난`역시 서북인 차별에서 비롯된 군란(軍亂)이다. 이괄은 혈기방일.. 고전 이야기 2015.02.03
의심을 품고 행하지 마라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의심을 품고 행하지 마라 전국시대 조나라 무령왕(武靈王)은 다른 나라에서는 모두 왕이라고 자칭하는데 `나는 왕이 될 자격이 없다`며 스스로 군(君)이라 했다. 본래 왕은 천하의 주인이라고 해서 주나라의 왕에게만 썼고 그밖에는 공(.. 고전 이야기 2015.02.02
의사(醫師)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의사(醫師) 상의의국 기차질인(上醫醫國 其次疾人) 가장 훌륭한 의사는 나라의 병을 고치고, 그 다음 등급의 의사는 사람의 병을 고친다. <국어(國語)> `진어팔(晋語八)`에 있는 말이다. 병이란 사람이나 짐승에게만 생기는 것이 아니.. 고전 이야기 2015.02.01
육정(六正) 육사(六邪)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육정(六正) 육사(六邪)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에 `섬기는 사람의 행동에는 육정과 육사가 있다. 육정을 행하면 영화를 얻고, 육사를 범하면 욕됨을 얻는다`고 되어 있다. 육정(六正) 첫째, 성신(聖臣)은 국가 존망의 위기를 미리 발.. 고전 이야기 2015.01.31
유악(帷幄)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유악(帷幄) `유악(帷幄)`은 장막이라는 뜻이지만 속뜻은 장막 속에서 모의(謀議)를 하는 것이므로 모신(謨臣)이라는 뜻이다. <사기>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에 나오는 말이다. 사마천은 <사기> `유후세가(留侯世家)`를 쓰.. 고전 이야기 2015.01.30
위정자의 바른 자세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위정자의 바른 자세 고지군인자(古之君人者) 이득위재민 이실위재기 이정위재민 이왕위재기(以得爲在民 以失爲在己 以正爲在民 以枉爲在己) 옛날 임금 된 자는 잘된 일은 그 공을 백성에게 돌리고 잘못된 일이 있으면 그 책임을 자기에.. 고전 이야기 2015.01.29
원교근공(遠交近攻)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원교근공(遠交近攻) 멀리 있는 나라와 친하게 지내고 가까이에 있는 나라는 공격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기> `범수(范脽) 채택(蔡澤)`편에 나온다. 위나라의 모사인 범수는 다른 나라와 몰래 밀통을 했다는 누명을 뒤집어쓰는 .. 고전 이야기 2015.01.28
원걸해골(願乞骸骨)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원걸해골(願乞骸骨) 몸은 원래 주군(周君)에게 매인 것이니 정신과 혼은 남겨두고 빈 껍질만 초야에 묻히게 해달라는 뜻이다. 사직(辭職)을 청원할 때 흔히 쓰는데 그렇다고 아무나 쓰는 말은 아니다. 상당한 지위에 있는 사람의 사임 표.. 고전 이야기 2015.01.27
우임금의 치산치수(治山治水)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우임금의 치산치수(治山治水) 우임금 재위 당시 홍수가 심했는데 이를 가라앉혔다는 얘기다. 이 우임금이 태어난 배경설화가 재미있다. 우임금 이전 중국은 7년 대한(大旱)에 9년 홍수(洪水)가 지는 땅이었다. 중국은 옛날부터 물이 귀해 .. 고전 이야기 2015.01.26
용이 구름과 비를 얻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용이 구름과 비를 얻다 위오촉 세 나라가 삼국시대를 이루기 조금 앞서 유비는 형주와 강남의 여러 고을을 공략했다. 당시 유비는 오나라의 손권과 결탁하여 위나라에 대항하여 유명한 적벽(赤壁) 싸움에서 위나라의 대군을 격파하여 기.. 고전 이야기 201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