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고초려(三顧草廬)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삼고초려(三顧草廬) 세 번이나 초가집을 찾아간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를 얻으려면 종적 관계에서 많은 수고와 겸허성이 있어야 한다는 비유다. 촉한의 유비 휘하에는 관우와 장비 같은 일기당천의 맹장들이 있었지만 모두 단세포적 .. 고전 이야기 2014.12.14
산 공명, 죽은 공명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산 공명, 죽은 공명 촉한의 제갈공명이 위나라를 칠 색각으로 감숙(甘肅) 방면으로 쳐들어가 보았으나 번번이 이롭지가 못했다. 촉나라 군사에게 가장 심각한 걱정은 식량 문제인데 공명은 3년 동안 식량 문제에 유의하면서 차비를 갖추.. 고전 이야기 2014.12.13
사흘 사또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흘 사또 어느 고을에 한양에 사는 대감의 아들이 신관 사또로 부임(赴任)해 왔다. 천방지축 철부지였으나 아비 덕에 영특한 아내를 얻고 고을의 원님으로 오게 되었다. 이튼날, 한 농부에게서 송사(訟事)가 올라왔다. 사연은 이러했다. .. 고전 이야기 2014.12.12
사직(社稷)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직(社稷) 사(社)란 토지의 신이고, 직(稷)이란 오곡(五穀)의 신을 말한다. 옛날엔 땅과 곡식을 매우 중요시 여겼다. 그래서 농사를 흔히 천하지대본(天下之大本)이라는 것이다. 임금과 신하들도 반드시 사직단(社稷檀)이라는 곳을 따로 .. 고전 이야기 2014.12.11
사 귐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 귐 여사영인교(與邪佞人交) 여설입묵지 수융위수 기색유오(女雪入墨池 雖融爲水 其色愈汚) 여단방인처(與端方人處) 여탄입훈로 수화위회 기향불멸(如炭入薰爐 雖化爲灰 其香不滅) 간사하고 영악한 사람과 사귀는 것은 눈이 먹물.. 고전 이야기 2014.12.10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_지록위마(指鹿爲馬)_ , StartColorStr=#8B4513 EndColorStr=#FF8200)">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_지록위마(指鹿爲馬)_ 잘못된 것을 강요하여 사람들을 함정에 빠뜨리는 것, 또는 윗사람을 속여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는 것을 뜻한다. 진의 시황제가 순행하는 도중에 죽으.. 고전 이야기 2014.12.09
사소한 부주의 , StartColorStr=#8B4513 EndColorStr=#FF8200)">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소한 부주의 화상발어소홀지중 이난상기어부족의지사(禍常發於所忽之中 而亂常起於不足疑之事) 화는 언제나 소홀하게 다룬 데서부터 일어나며, 난은 언제나 별로 의심할 것도 없는 일에서부터 일.. 고전 이야기 2014.12.08
사상정(泗上亭)의 우두머리 , StartColorStr=red EndColorStr=red)">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상정(泗上亭)의 우두머리 진시황제가 일찍이 말하길, "동남쪽에 천자(天子)의 기운이 있다." 하고는 곧 동남쪽으로 돌아다니며 그 기운을 누르려 하였다. 이 때 유계(劉季)_유방. 코가 오뚝하고 용안이었으.. 고전 이야기 2014.12.07
사면초가(四面楚歌) , StartColorStr=black EndColorStr=blue)">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면초가(四面楚歌) 초나라 항우가 전장에서 한창 쫓길 때의 일이다. 해하에서 진을 치고 있을 때 매우 곤궁한 처지에 이르렀다. 군사들은 지쳤고 식량은 다 떨어지게 되었다. 게다가 설상가상(雪上加霜)으.. 고전 이야기 2014.12.06
사랑의 힘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랑의 힘 시졸여영아 고가여지부심계(視卒如嬰兒 故可與之赴深溪) 시졸여애자 고가여지구사(視卒如愛子 故可與之俱死) 병사들 보기를 어린애처럼 하라. 그러면 그들과 함께 깊은 계곡으로도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병사들 보기를.. 고전 이야기 201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