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봉책(彌縫策)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미봉책(彌縫策) `미봉`이란 터진 곳을 임시로 얽어맨다는 뜻인데 이 말에서 임시로 꾸며대어 눈가림만 하는 계책(計策)을 미봉책(彌縫策)이라고 하게 되었다. 우리 속담에 `호랑이보고 창구멍 막기`란 말이 있다. 이는 위급할 때 매우 당.. 고전 이야기 2014.11.14
물감이 떨어져서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물감이 떨어져서 산한일위출무거(酸寒一尉出無車) 신한내화부귀화(身閑乃畵富貴花) 연지용진소전매(臙脂用盡少錢買) 호비걸향인가와(呼婢乞向隣家와) 가난한 벼슬아치 나들이에 타고 다닐 수레도 없는 데다. 몸마저 한가하여 할 .. 고전 이야기 2014.11.13
문희연(聞喜宴)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문희연(聞喜宴) `문희연`이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자신과 가까운 친구와 친척을 불러 베푸는 잔치를 말한다. 원래 이 잔치는 나라에서 베풀어 급제자의 합격을 축하해 주는 것이었으나 나중에는 급제한 집안에서 친구나 친척, 이웃사.. 고전 이야기 2014.11.12
문전성시(門前成市)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문전성시(門前成市) 문 앞이 저자를 이룬다는 말로 권세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시끌벅적하다는 뜻. 전한(前漢) 때 일이다. 임금이 즉위하자마자 조정의 실권은 왕망(王莽)을 포함한 왕씨 일족으로부터 외척인 부씨(傅氏), 정씨(.. 고전 이야기 2014.11.11
문공의 3년 복상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문공의 3년 복상 문공(文公)이 세자 시절에 맹자의 성선설을 듣고 큰 감명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 뒤 아버지인 정공(定公)이 돌아가셨을 때 연우(然友)라는 신하를 시켜 맹자를 찾아보고 초종범절(初終凡節)에 대해 알아보도록 했다. .. 고전 이야기 2014.11.10
묵수(墨守)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묵수(墨守) 초나라의 공수반(公輸盤)이 성벽을 기어오를 수 있는 거대한 사다리를 만들어 송나라를 공격하려 한다는 소문을 듣고 묵자(墨子)가 초나라로 가서 공수반을 만났다. "북방에 나를 경멸하는 사람이 있어 죽이려는데 당신의 도.. 고전 이야기 2014.11.09
무편무파(無偏無頗)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무편무파(無偏無頗) 법이란 치우침이 없이 공정하게 시행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서경> `홍범(洪範)`편에 나오는 말이다. 홍범이란 대법(大法)이란 뜻으로 세상에서 가장 큰 법을 말한다. 주나라 무왕이 상(商)나라를 멸망시킨 후 기.. 고전 이야기 2014.11.08
무예청(武藝廳)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무예청(武藝廳) 예로부터 문(文)과 무(武)는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한 나라를 세우기 위해서는 뛰어난 병법가가 있어야 하며, 실제 싸움에 임하여 용기 있게 싸우는 무사도 필요하다. 조선시대에는 무신을 뽑기 위해 무과.. 고전 이야기 2014.11.07
모범(模範)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모범(模範) 상호의즉민암식의(上好義則民暗飾矣) 상호부즉민사리의(上好富則民死利矣) 윗사람이 도의를 좋아하면 백성들도 남몰래 언행을 추스르고, 윗사람이 재물을 좋아하면 백성들도 죽음을 무릅쓰고 이익을 좇게 된다. <순자> .. 고전 이야기 2014.11.06
명예를 지키려면?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명예를 지키려면? 부동호중인지비예(不動乎衆人之非譽) 불야관자지이목(不冶觀者之耳目) 불뢰귀자지권세(不賂貴者之權勢) 불리편거신자지사(不利便居辛者之辭) 사람들의 비난이나 칭찬에 동요하지 않고, 보는 이의 이목을 현혹하지 .. 고전 이야기 201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