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황제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당나라 황제들 하늘은 당나라가 선왕(先王)의 덕을 잘 따르고 성스러운 왕손들이 연이어 왕업을 계승하여 천만 년을 두고라도 공경하고 경계하며 게을리 하지 않을 듯하여 온 천하를 전부 맡기시었으니, 사방 바다 안 중국 땅의 안팎을 .. 고전 이야기 2014.10.25
단표누항(簞瓢陋巷)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단표누항(簞瓢陋巷) 가난한 사람의 모습을 말한다. 즉, 단표(單瓢)란 당세기 밥과 표주박 물, 곧 밥을 담는 대그릇과 국물 담는 표주박을 뜻하여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보잘것없는 음식을 이르고, 누항(陋巷)이란 누추하고 좁은 거리를 이.. 고전 이야기 2014.10.24
단위(單位)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단위(單位) 상고시대에는 쌀이 기장보다 늦게 나왔다. 기장은 오곡(五穀)의 하나로서 그때까지만 해도 가장 중요한 식량이었다. 쌀은 후대에 나온 것이다. 이 기장은 식량으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도량형(度量衡)의 단위로도 이용되었.. 고전 이야기 2014.10.23
다행한 일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다행한 일 `다행(多幸)`이란 원래 임금의 `거동`을 의미했다. 곧 임금의 행차이다. 임금이 행차를 하면 무엇이 다행인가. 임금이 어느 곳에 거동한다고 하면 우선 그 지역의 지저분한 것들은 모두 제거되기 마련이다. 주민이 돈이 없으면 .. 고전 이야기 2014.10.22
눈의 죄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눈의 죄 채경(蔡京)이란 사람이 있었다. 대궐의 조회에 참석하여 다른 신하들과 나란히 서있는데 그날따라 햇살이 매우 강했다. 모두들 얼굴을 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채경만은 오래도록 응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진형중이란 사.. 고전 이야기 2014.10.21
눈물을 머금고 마속을 베다_읍참마속(泣斬馬謖)_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눈물을 머금고 마속을 베다_읍참마속(泣斬馬謖)_ 촉의 총사령관인 제갈공명이 위의 명장 사마중달과 기산에서 싸울 때의 일이다. 어떻든 간에 상대방은 당대의 뛰어난 군사 전략가요 지휘관이므로 공명도 포진(布陣)에 여간 신중을 기하.. 고전 이야기 2014.10.20
누란지세(累卵之勢)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누란지세(累卵之勢) `누란지세`는 달걀을 쌓아 올린 형세라는 말로, 굉장히 위태로운 상황을 뜻한다. <사기열전> `범수전(范脽傳)`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때는 장기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실력으로써 출세하려고 애썼다. 그 .. 고전 이야기 2014.10.19
농단세금(壟斷稅金)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농단세금(壟斷稅金) 농단이란 낭떠러지의 조금 높은 터를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후대에는 이익을 독점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맹자(孟子)>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맹자가 제나라를 떠날 때 후한 대접을 하겠다는 제나라 .. 고전 이야기 2014.10.18
논공행상(論功行賞)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논공행상(論功行賞) 공적을 따져 그에 합당한 상을 내리는 것을 논공행상이라고 한다. 위나라 문제(文帝) 조비(曹丕)가 병으로 죽었다. 조비는 죽기 며칠전 조예(曹叡)를 황태자로 삼고, 맹장 조진(曹眞)과 조휴(曹休), 유교와 법에 정통한.. 고전 이야기 2014.10.17
노처녀의 근심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노처녀의 근심 노나라에 한 처녀가 있었다. 그 처녀는 과년(瓜年)한 나이가 되어도 시집을 못 가 안달이 났다. 그래서 날마다 기둥을 비기고 서서 휘파람을 불어댔다. 그러니 자연 소문이 날 수 밖에. 어느 날 옆집에 사는 부인이 처녀에.. 고전 이야기 201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