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토중래(卷土重來)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권토중래(卷土重來) 싸움에 진 사람이 다시 힘을 키워 땅을 휘말듯이 쳐들어온다는 뜻이다. 당나라 두목(杜牧)의 `오강정시(烏江亭詩)`에 나오는 말이다. 해하의 싸움에서 유방에게 대패한 항우는 혼자 간신히 도망쳐서 오강에 이르렀다... 고전 이야기 2014.09.25
궁지(窮地)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궁지(窮地) 조궁즉탁 수궁즉확 인궁즉사(鳥窮則啄 獸窮則攫 人窮則詐) 자고지금 미유궁기하이능무위자야(自古至今 未有窮其下而能無危者也) 새가 궁지에 몰리면 쪼고, 짐승이 궁지에 몰리면 할퀴고, 사람이 궁지에 몰리면 거짓을 부린.. 고전 이야기 2014.09.24
군량미(軍糧米)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군량미(軍糧米) 무왕이 머지않아 은의 주(紂)왕과 숙명의 일 전을 펴야 할 때 스승인 태공에게 승리의 비법을 물었다. 이때 강태공이 열 가지의 방법을 일러주었다. 첫째, 간도 빼줄 정도의 믿음직한 사람을 측근 부하로 삼을 것. 둘째, 천.. 고전 이야기 2014.09.23
국치(國恥)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국치(國恥) 국치란 나라가 외세의 침입에 의해 치욕적이고 굴욕적인 항복 내지는 정복을 당한 사건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우리나라가 맨 처음 당한 국치는 단군조선 때의 일이다. 단군왕검이 조선을 세우고 1천5백 년간 나라를 다스렸으나.. 고전 이야기 2014.09.21
구확(矩矱)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구확(矩矱) `구(矩)`는 구부러진 것을 잴 때 사용하는 자를 일컫는다. 구확이란 먹줄과 자를 말한다. 곧 먹줄과 자는 물건을 재는 기구이므로 법칙, 규칙 등을 뜻하는 것이다. 요즘에도 법은 사회를 이끌어 가는 기본이 되지만 옛날에.. 고전 이야기 2014.09.20
구리거울과 사람거울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구리거울과 사람거울 인개지열경지명기야(人皆知悅鏡之明己也) 이오사지명기야 (而惡士之明己也) 경지명기야공세(鏡之明己也功細) 사지명기야공대(士之明己也功大) 사람들은 누구나 거울이 자기 모습을 밝게 비추는 것을 좋아하며서 .. 고전 이야기 2014.09.19
관왕신이 임하셨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관왕신이 임하셨다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서 군병의 사기를 고무하고 민심에 신조(神助)가 있었던 부분을 살펴보자. ‥‥‥정유년(丁酉年) 겨울에 울산의 적을 공격하려 하였으나, 군진(軍陣)이 유리하지 않았다. 진인이 싸움 .. 고전 이야기 2014.09.18
관료의 횡포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관료의 횡포 조선 말기 세도정치로 인해 국정이 문란해지자 관료(官僚)들은 권세가에게 뇌물을 바치고 관직을 차지했다. 이들은 그 대가를 농민으로부터 빼내려고 하였고, 그 방법으로 국가의 가장 중요한 수입원인 삼정(三政) 즉, 전정(.. 고전 이야기 2014.09.17
공과 시(時)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공과 시(時) 공자난성이이패(公者難成而易敗) 시자난득이이실(時者難得而易失) 공은 이루기는 어려우나 무너지기는 쉽고 때는 얻기는 어려우나 잃기는 쉽다. <사기> `회음후열전(淮陰候列傳)`에 나온다. 세상의 모든 일이 이루기는 .. 고전 이야기 2014.09.16
골계(滑稽)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골계(滑稽) 골계란 사람을 웃기는 것, 익살, 해학, 유머와 같은 뜻인데, 이것의 유래를 세 가 지 정도 알아보자. 첫째, 초나라 시인 굴원의 작품 `복거(卜居)`라는 시에 `돌제골계(突梯滑稽)`라는 구절이 있다. `돌제`는 모지지 않는 모양, 미.. 고전 이야기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