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수유투(困獸猶鬪)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곤수유투(困獸猶鬪) 쫓기는 짐승이 오히려 사람을 향해 덤벼든다는 말로 곤경에 처하면 약한 사람도 강한 사람을 해치려 한다는 뜻이다. <춘추좌전>에 나오는 말이다. 같은 말로는 궁서설리(窮鼠齧狸)와 궁구물박(窮寇勿迫)이란 말.. 고전 이야기 2014.09.14
곡목우구곡목(曲木又求曲木)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곡목우구곡목(曲木又求曲木) 구부러진 나무는 다시 구부러진 나무를 구하기 마련이라는 말로, 사람을 등용해서 쓸 때에는 처음부터 능력 있고 올바른 사람을 써야 된다는 뜻이다. <관자(管子)> `소문편(小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소.. 고전 이야기 2014.09.13
고집쟁이 동선(董宣)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고집쟁이 동선(董宣) 후한의 광무제가 끔찍이 아끼는 신하 중에 고집(固執)이 세기로 유명한 이가 있었으니 바로 낙양 태수 동선이라는 사람이다. 광무제의 누이 호양공주(湖陽公主)의 몸종이 살인을 하고 공주집에 은신해 있었다. 포졸.. 고전 이야기 2014.09.12
고약한 잠버릇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고약한 잠버릇 하후은(夏候隱)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산에 올라갈 때나 물을 건널 때나 걸어 다니기만 하면 언제나 조는 습관이 있었다. 동행하는 사람이 옆에서 코 고는 소리를 들을 정도다. 그러면서도 쓰러지거나 걸음을 못 걷거나.. 고전 이야기 2014.09.11
고소(苦笑)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고소(苦笑) 도망간 남곽처사(南郭處士) 이야기이다. 전국시대 제나라의 선왕은 사람들에게 피리를 불게 할 때 반드시 300명을 채우게 하였다. 남곽처사가 왕을 위해 피리를 불 것을 요청하자 선왕은 매우 기뻐하였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 고전 이야기 2014.09.10
계륵(鷄肋)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계륵(鷄肋) 실제로 가치는 없지만 버리기는 아까운 것을 이른다. 삼국 시대 때 조조가 유비를 공격하여 땅을 빼앗으려 하였으나 얻지 못 하자 끝내 계륵이라 하면서 후퇴한 일에서 유래 한다. 후한(後漢)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 시대는 즉.. 고전 이야기 2014.09.09
겨울 햇볕 여름 햇볕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겨울 햇볕 여름 햇볕 춘추시대 조나라는 진나라를 종주(宗主)로 섬겼다. 문공(文公)) 때에는 조쇠(趙衰)가, 다음 양공(襄公) 때에는 그의 아들 조둔이 각각 진나라에서 높은 벼슬을 했다. 조쇠와 조둔 부자는 다 같이 뛰어난 인물이었으나 .. 고전 이야기 2014.09.08
건강(健康)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건강(健康) 양(恙)이라고 하는 벌레가 있다. 이 벌레는 사람의 뱃속으로 파고 들어가 사람의 마음을 파먹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 해를 입었다. 따라서 옛사람들은 남의 건강(健康)을 물을 때 `무양(無恙)하십니까?`하고 물었다. 곧 몸.. 고전 이야기 2014.09.07
거울과 직언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거울과 직언 관어명경 즉자하불체어구(觀於明鏡 則疵瑕不滯於軀) 청어직언 즉고행불누신(聽於直言 則過行不累身) 밝은 거울에 비추어 보면 몸에 하자가 남지 않고, 바른 말을 들으면 잘못이 신상에 누를 끼치지 아니한다. 한나라 왕찬(.. 고전 이야기 2014.09.06
거록현(鋸鹿縣) 태평도(太平道)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거록현(鋸鹿縣) 태평도(太平道) 태평도는 하나의 신앙단체였는데 후에는 반란군의 성격을 띠었다. 하북 거록현(鉅鹿縣)에 장각이라는 사람이 노자의 도를 가르친다고 하면서 태평도라는 신앙단체를 만들었다. 태평도는 불교의 영향을 .. 고전 이야기 201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