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수레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거꾸로 가는 수레 수레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임금이 타는 수레를 연(輦)이라 한다. 원래는 경대부(卿大夫) 같은 고관대작들도 연을 탔었는데 한나라 이후부터는 황제만이 연을 탈 수 있었다. <건순세시기(乾淳歲時記)>란 책에 .. 고전 이야기 2014.09.04
거문고와 정치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거문고와 정치 치국자비약호장금연(治國者譬若乎張琴然) 대현급즉소현절의(大弦急則小弦絶矣)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현악기의 줄을 매는 것과도 같다. 굵은 줄만 생각하고 세게 매면 가는 줄은 끊어지고 만다. 한나라 때 한영이 엮은 &l.. 고전 이야기 2014.09.03
갈석(碣石)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갈석(碣石) 갈석편(碣石篇)이라고 하는 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위나라 무제(武帝)의 가사로 진나라에서는 이 노래를 갈석무(碣石舞)라 했다. 모두 4장으로 이루어 졌다. 1. 관창해(觀蒼海) 2. 동시월(冬十月) 3. 토부동(土不同) 4. 귀수수(龜.. 고전 이야기 2014.09.02
간담상조(肝膽相照)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이니 터놓고 격의 없이 시귀는 것을 말한다. 당나라 11대 왕인 헌종 때 유주 자사로 좌천되었던 유종원이 죽자 한퇴지가 묘비명을 썼다. 자신의 불우한 처지는 제쳐놓고 오히려 연.. 고전 이야기 2014.09.01
가치(價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가치(價値) 시조즉만석즉허(市朝則滿夕則虛) 비조애시이석증지야(非朝愛市而夕憎之也) 구존고왕무고거(求存故往無故去) 시장은 아침에 사람들이 붐비다가 저녁이면 텅 빈다. 이는 사람들이 아침에는 시장을 좋아했다가 저녁에는 미워.. 고전 이야기 2014.08.31
가시들을 없애다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가시들을 없애다 명의 태조 홍무제(洪武帝)는 세 번 에 걸친 대숙청 작업을 통해 왕조의 기초를 구축한 문무 공신의 거의 모든 사람을 제거하였다. 조익(趙翼)은 논평하기를, "여러 공신들의 힘으로 천하를 차지하고 천하가 평정되자 그 .. 고전 이야기 2014.08.30
가모가유(嘉謀嘉猷)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가모가유(嘉謀嘉猷) 좋은 모략과 좋은 꾀라는 뜻이다. <서경> `군진편(君陣篇)`에 나오는 말이다. 군진은 주공(周公)의 아들이라는 말도 있으나 화실치는 않다. 군진은 주공이 죽은 후 그의 뒤를 이어 동쪽으로 성주(成周)의 지도자가 .. 고전 이야기 2014.08.29
가까운 데서 구하라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가까운 데서 구하라 가인어월이구익자(假人於越而救溺子)란 말이 있다. 이 말은, `물에 빠진 아이를 멀리 월나라에 사는 사람을 빌려와서 구한다`는 뜻으로 생각이나 하는 일이 아무리 기발하고 좋아도 때를 놓치면 소용이 없다는 의미.. 고전 이야기 2014.08.28
빼놓은 글_궐문(闕文)_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빼놓은 글_궐문(闕文)_ 천상천하 가장 높은 사람을 들라면 마땅히 임금을들 수밖에 없다. 집안에서 가장 높은 사람은 역시 아버지를 들 수 있다. 또는 그 이상인 할아버지와 그 윗대 할아버지도 포함 된다. 우리나라 여행지라면 우.. 고전 이야기 2014.08.27
언문(諺文) 섞어 작(作)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언문(諺文) 섞어 작(作) 조선 후기 정조 때 무식한 판서로 유명한 이문원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 양아버지 이천보가 사도세자를 위해 애쓰다가 자결하였기 때문에 정조는 서로의 아버지 생각을 하고 학문이 짧은 줄 알면서도 그.. 고전 이야기 201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