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지경(更之更)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경지경(更之更) 조선조 9대 성종 때 손영숙(孫永叔)이 이조정랑으로 호남지방에 내려가 일을 보고 있었고 이때 자운아(紫雲兒)라는 서울의 일류 기생도 그곳에 귀양을 가 있었다. 손영숙은 자운아와 더불어 흡족한 시간을 보냈으나.. 고전 이야기 2014.08.05
청파거사(靑坡居士)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청파거사(靑坡居士) 청파거사(靑坡居士) 이육(李陸)은 고성(固城) 이씨로서 22세 때 진사 시험에 합격한 후 집안일을 버리고 지리산으로 들어가 3년 동안 공부하였다. 그동안 여러 서적을 탐독하여 모르는 것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 .. 고전 이야기 2014.08.04
앵혈(櫻血)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앵혈(櫻血) 조선조 임금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왕은 누구일까? 바로 성종(成宗)이라고 한다. 성종의 지혜는 가히 솔로몬의 지혜에 버금갈 만하다고 하겠는데 다음은 그의 쾌도난마(快刀亂麻)적 일화이다. 한 벼슬아치가 상처를 한 .. 고전 이야기 2014.08.03
희녀대의 온방 장치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희녀대의 온방 장치 백제 말기 의자왕은 전국에 사람을 보내어 어여쁜 얼굴을 가진 17,8세의 처녀를 모집하였다. 그리고 지금의 석성면(石城面) 현북리(縣北里)에다가 희녀대(戱女臺)라는 집을 짓게 하였다. 희녀대는 공사에는 전국.. 고전 이야기 2014.08.01
시앗(妾)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시앗(妾) 시앗은 `첩(妾)`의 순수한 우리말이다. 본처와 첩과의 사이는 예로부터 좋을래야 좋을 수 없는 관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속담이나 민요 들을 보면 첩을 향한 본처의 앙칼지고 표독스런 감정이 드러난 것이 많은데 다음.. 고전 이야기 2014.07.31
옛날의 컨닝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옛날의 컨닝 옛날 사람들도 시험을 볼 때 컨닝을 했을까? 궁금한 일이 아닐 수 없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요즘보다 한 수 위였으면 위지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다. 순조 18년 성균관 사성(司成)인 이형하(李瀅夏)는 과거의 여덟 가지 .. 고전 이야기 2014.07.30
묘 자리 뺏기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묘 자리 뺏기 황해도 어느 고을에 대갓집 어머니가 돌아갔다. 집안에서는 명당을 구하느라고 야단이었다. 전국적으로 유명하다는 지관을 모조리 초청했다. 그 중에 가장 유명한 지관이 날짜가 다 돼서 저녁 어스름한 무렵 간신히 .. 고전 이야기 2014.07.29
가난하더라도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가난하더라도 예로부터 전해 오는 우리 격언 중에 `나물 먹고 물마시고 팔을 베고 누웠으니 대장부 살림살이 이만하면 족하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을 잘못 해석하면 큰 오해가 생긴다. 원래 이 말은, `비록 가난하더라도 그것을 비.. 고전 이야기 2014.07.28
조신의 조락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조신의 조락 <삼국유사>에 나오는 이야기다. 신라 때 강원도 명주에 있는 세달사(世達寺) 장원의 관리인으로 조신(調信)이라는 이가 있었다. 조신은 김흔공(金昕公)의 딸을 좋아하여 날마다 관음보살앞에 나아가 인연을 맺게 .. 고전 이야기 2014.07.27
조홍시가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조홍시가 송강 정철을 계승하는 뛰어난 시인인 노계(蘆溪) 박인로(朴仁老)는 문신이 아니라 무신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군에 종군하여 해군력 증강에 혁혁한 공을 세운 후 말년에는 낙향하여 글을 읽.. 고전 이야기 201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