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즉기린 불여노마(老卽麒麟 不如魯馬)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노즉기린 불여노마(老卽麒麟 不如魯馬) 기린처럼 빠른 말도 늙으면 노새보다도 빠르지 못하다는 말로, 인간의 영고성쇠(榮苦盛衰)를 뜻한다. <전국책> `연항(燕項)`편에 나오는 말이다. 연나라 태자 단(丹)이 진시황을 죽이기 위해 자.. 고전 이야기 2014.10.15
노마지지(老馬之智)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노마지지(老馬之智)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사람이란 아무리 하찮은 존재라도 각기 장점이 있다는 뜻이다. <한비자> `설림(說林)`편에 나온다. 제의 환공이 관중, 습봉 등 머리 좋기로 유명한 신하들을 거느리고 이웃 고죽국(孤竹國.. 고전 이야기 2014.10.14
내시(內侍)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내시(內侍) `내시(內侍)`는 `환관(宦官)`이라고도 하는데 궁궐에서 잡일과 천한 일을 맡아서 하는 거세(去勢)된 남자를 말한다. 중국의 역사는 환관과 외척의 역사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만큼 이들의 횡포가 심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진(.. 고전 이야기 2014.10.13
남루한 옷차림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남루한 옷차림 춘추 전국시대의 제나라 제상을 지낸 맹상군의 인품이 고결하고 사람들을 예로써 대접한다는 소문이 온 나라에 퍼지자 식객이 3천 명에 달하게 되었다. 어느 날 풍완이라는 사람이 큰칼을 차고 맹상군을 찾아왔다. 집이 .. 고전 이야기 2014.10.12
날개와 깃이 생기다 , StartColorStr=#8B4513 EndColorStr=#FF8200)">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날개와 깃이 생기다 한나라 고조의 황후는 여후(呂后)다. 고조에게는 둘째 척(戚) 부인이 또 있었는데, 고조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여기에 척 부인의 소생인 여의(如意)를 퍽 귀히 여겼고, 여후의 소생인.. 고전 이야기 2014.10.11
낙백(落魄)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낙백(落魄) <사기> `역생육가열전(酈生陸賈列傳)`에 나와 있는 말로 `영락한다`, `뜻을 얻지 못한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역생 이기는 진류현(陳留縣) 고양(高陽) 사람으로 독서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몹시 가난하였다. 그래서 마을.. 고전 이야기 2014.10.10
나 먹을 것은 없군!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나 먹을 것은 없군! <토정비결>을 만든 이지함(李之菡)은 한산 이씨로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의 친삼촌이다. 그는 항해술에 남다른 기술을 가지고 있어 바다 다니기를 육지처럼 하였다고 하며, 또 전도(前道)를 내다보.. 고전 이야기 2014.10.09
나귀 탄 이태백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나귀 탄 이태백 이태백이 세상에 뜻이 없어 천하를 주유하며 시나 짓고 돌아다닐 때의 일이다. 어느 날 화산(華山) 지방을 지나갈 때 마침 화산의 원님 현재가 문을 열어놓고 집무를 하고 있었다. 현재는 그렇지 않아도 답답하던 차에 나.. 고전 이야기 2014.10.08
꿈에 모욕당하고 죽은 사아이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꿈에 모욕당하고 죽은 사아이 제나라 장공 때 한 용사(勇士)가 있었는데 이름은 빈비취라고 하였다. 자다가 꿈에 한 장사(壯士)를 봤는데 흰 비단 관(冠)을 쓰고, 붉은 채색의 관끈을 달고, 동포(東布)의 의복을 입고, 흰 신발을 신고, 검은.. 고전 이야기 2014.10.07
꾸짖음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꾸짖음 자허원군(紫虛元君)이란 사람이 있었다. 원군은 원래 도교에서 도를 깨쳐서 신선이 된 여자를 일컫는데 위부인(魏夫人)을 자허원군이라고 한다. 그의 말을 들어보자. 복은 맑고 검소한 데서 생기고 덕은 낮추고 겸손한 데서 생기.. 고전 이야기 201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