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에서 쓰이는 용어해설
거어[祛瘀]:변통[便通]이나 통경[通經]을 양호하게 하고,죽은 피를 몸 밖으로 배출함.
거풍[祛風]:경락[經絡],기육[肌肉],관절 사이에 쌓여 있는 바람기를 분산시킴.
거한[祛寒]: 양기를 회복시키고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몸의 찬기를 제거함.
건해[乾咳]:가래가 없는 기침.
경변성[硬變性]:어떤 장기에 만성적으로 자극이 가해져서 세포가 위축되고 장기가 딱딱하게
축소되는 현상.
경화양통[硬化痒痛]:가려움증과 가려워서 긁은 뒤에 아픈 통증을 가라앉게함.
곽란[藿亂]:토사[吐瀉]가 동시에 일어나는 병으로 위장이 미친듯이 심하게 상하로 움
직이는 현상이 나타나는데,이 병은 두 종류로서 하나는 위장중의 병리성
내용물을 토사하는 습곽란 이고, 다른 하나는 배가 부르고 짜는 듯한 아픔
과 손발이 경련을 일으키며 토할 수도 없는 건곽란[乾藿亂]이다.
고경[固經]:부인과[婦人科]의 하혈을 멈추게 함.
고정[固精]:유정과 몽정을 멈추게 함.
고표[固表]:몸이 피곤하고 무거우며 관절부위가 쑤시고 팔다리 가 붓는 것을 멈추게
함.
공담[攻痰]:담과 수독[水毒]을 없앰.
구풍[驅風]:공기의 이상유동으로 일어난 풍사를 몰아 냄.
기혈[氣血]:타고난 기운과 목숨을 유지하는 체력.
난위[暖胃]:소화불량과 이한[裏寒:속이 차가움]의 증상을 치료함.
녹농균[綠膿菌]:유기영양세균인 슈도모나스속의 무산소성간균 그람음성으로서 녹색
색소인 피오아닌의 생산과 녹농을 배출하는 균을 말함.
뇌일혈[腦溢血]:뇌속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출혈병증.
뇌혈전[腦血栓]:뇌혈관의 어느부분이 동맥경화로서 동맥내강이 협착이나 혈전때문에
혈류의 통과 장애가 생겨서 발생되는 병증을 말함.
담열[痰熱]:위부위가 팽만하고 딴딴하며 압통이 일어나고 황색의 설태[혀 이끼]가 생
기는 증상.
담적[痰積]:명치가 더부룩하여 답답하고 결리며 가래와 침이 나오지 않고 콧물이 짙
으며 끈적끈적하고,들이마시면 코가 막히고 눈이 아른거리며 뱃속에 응어
리가 생기는 증상.
동통[疼痛]:신경의 자극으로 몸이 아프고 쑤시는 고통.
량혈[凉血]:열성질환의 열사[熱邪]가 혈분[血分]에 들어가서 피의 운행을 혼란시키
고 토혈과 코피를 흘리며,혈변이 생기는 것을 제거함.
발적[發赤]: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피부의 일부에 붉은 발진이 일어나는 증상.
발포[發泡]:피부에 수포가 발생하는 증상.
발한[發汗]:땀을 흘리게함.
배농[排膿]:창상의 부위가 화농[곪음]하여서 생성되는 농즙[膿汁:고름]을 배출하는
일.
복명[腹鳴]:배탈로 인하여 뱃속에서 꾸르륵거리는 소리가 나는 증상.
부종[浮腫]:심장병및 신장병으로 인하여 국부의 혈액순환이 되지않아 국부및 전신이
붓는 증상.
빈뇨[頻尿]:방광이나 후두요도의 염증 및 당뇨병과 위축신장등에 의하여 오줌을 조금
씩 자주 누게 되는 증상.
사수[瀉水]:소화기내의 어떤 병인으로 인하여 적체된 물과 음식물을 축출하는 증상.
사하[瀉下]:하리[설사]의 작용으로 위속의 정체물을 제거하는 방법.
산결[散結]:환부에 창종 및 결핵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치료하고 제거하는 방법.
산기[散氣]:등,허리,배,옆구리에 부기가 정체된 것을 제거 함.
산어[散瘀]:뱃속 및 자궁에 어혈과 결괴[結塊:뭉친덩어리]가 생겨서 정체되고 혀에
자반이 생기는 증상을 제거함.
산한[散寒]:기침과 호흡이 곤란하고 머리가 아프며,몸이 쑤시고 얼굴이 창백해지면서
토하거나 설사를 하고 덜덜 떠는 증상 들을 제거함.
산후풍[産後風]:산후에 파상풍의 감염으로 인하여 갑자기 사지가 경련을 일으키고 안
색이 창백해지며,땀을 흐리고 눈과 입을 벌리거나 다문채로 두 주먹
을 꽉 쥐고서 실신하며 입이 마르고 맥박이 빨라지는 병증.
삼습[渗濕]:삼리[渗利],삼설[渗泄],삼투[渗透]등으로 모든 습기가 투과하는 증상.
삽장[澁腸]:오랫동안 설사가 계속되고 대변에 농혈이 나타나며 복통이 일어나는 증
상.
생기[生肌]:종창이 터져 농을 배출시키고 새살[新肉]이 생기는 상태.
생정[生精]:인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물질을 만드는 일.
생진[生津]:질병을 오랫동안 앓다보면 진액의 소모가 발생되는데, 그 소모된 진액을
자양시키는 방법.
서열[暑熱]:체외의 열사[熱邪]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
성뇌[醒腦]:환자가 의식이 몽롱해지고 인사불성이 되는 것을 약물로 의식을 깨우쳐
주는 방법.
성신[醒神]:환자가 인사불성이 되어 정신을 잃었을때 정신을 깨우쳐 주는 방법.
소산[疏散]:막혔던 곳을 뚫어서 통하게 하고 펴지게 하는 방법.
소식[消食]:식체를 제지하고 비위[脾胃]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
소어[消瘀]:어혈을 제거하고 다시 정체되어 질병이 되지 않게 하는 방법.
소적[消積]:적체물을 제거하여 통하게 하는 일.
수렴[收斂]:안으로 오그라듬.
수삽[收澁]:신체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수종[水腫]:비신[脾腎:비장과 신장]이 양허하여 기습[氣濕]이 운화[運化]할 수 없기
때문에 수액이 체내에 정유함으로서 생기는 현상.
수양변[水樣便]:설사의 지속으로 대변이 물모양의 변이 되어 진액의 소모성을 띤 변
[便].
숙뇨[宿尿]:신장병 및 후두요도의 염증으로 인하여 방광에 오줌이 쌓이게 되는 증상.
습열[濕熱]:급작한 습기의 침범으로 인하여 생기는 발열.
습독[濕毒]:습도의 이상증가로 오는 습사[濕邪]가 침입한 독.
승제[昇提]:비장의 기운이 허해지는 것을 막고 기를 높여주는 방법.
실열증[實熱症]:감염성질환에 감염되어 열이 발생되고 갈증과 변비가 생기며 혀에 태
가 생기는 증상.
심교통[心絞痛]:심장질환으로 인하여 심장이 쥐어짜는 듯한 통증.
신지불녕[神志不寧]:정신상태가 침착하지 못하고 불안해 하는 상태.
안신[安神]:정신이 침착하지 않은 상태를 진정시키는 일.
안압[眼壓]:눈속에서 생기는 압력.
안태[安胎]:태기를 안정시키는 방법.
야뇨증[夜尿症]:밤에 자면서 오줌을 자주 싸는 증상.
약성완화[藥性緩和]:약의 성질을 순하게 하는 일.
어혈[瘀血]:체내에서 혈액이 어느 일정한 곳에 정체되는 현상
연견[軟堅]:약물의 효능으로서 단단하고 뭉쳐진 것을 부드럽게 만드는 일.
열서[熱暑]:체외의 열사[熱邪]로 인하여 나타나는 더운 기운.
오발[烏髮]:머리카락이 빠지는 현상.
오한열[惡寒熱]:급성열성병이 발생하여 피부의 혈관이 갑자기 오그라져서 몸이 오슬
오슬 춥고 열이 나는 증상.
온경[溫經]:부녀자가 허한[虛寒]하여 월경불순이거나 월경 후기의 불량을 치료함,
온난[溫暖]:체내의 한사[寒邪]로 인하여 기[氣]가 약해짐을 치료함.
온열병[溫熱病]:체외로 부터 온사[溫邪]와 열사[熱邪]의 침입을 받아 습[濕]을 포함
하지 않은 병증.
온통[溫通]:체내의 한사로 인하여 정체된 것을 온사로 하여 뚫어 주는 방법.
완급[緩急]:체내에서 진액의 흐름을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함.
완사[緩瀉]:계속되는 설사의 사하를 느리게 해 주는 방법.
완화[緩和]:병변에 의하여 일어난 실증[實症]을 없애 주는 방법.
요력증가[腰力贈加]:허리의 힘을 길러 줌.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간장의 습기로 인한 남자의 음정과 여자의 음의 양창[陽瘡]
을 다스리는 약제.
유뇨증[遺尿症]:신기[腎氣]의 부족에 의해서 방광의 기가 닫혀지지 않아 밤 수면중에
무의식적으로 오줌을 싸게 되는 증상.
유정[遺精]:심신[心腎:심장과 신장]의 불교[不交]로 인하여 음경이 발기되고 입이
마르고 머리가 멍하며,눈이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허리가 나른하
고 정액이 저절로 흐르는 증상.
윤장[潤腸]:장내의 정체현상을 윤활하게 해주게함.
윤폐[潤肺]:폐포내에 한사로 인하여 기가 정체된 것을 풀어 주는 일.
이담[利膽]:담낭[쓸개]에서 담즙을 잘 나오게함.
이습[利濕]: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습사를 하초에서 소변과 함께 배설하게함.
이인[利咽]:인후에 감염성질환으로 인하여 적체현상을 제거함.
위하수증[胃下垂症]:선천적 이상이나 섭생의 부절제로 인하여 위의 위치가 정상에서
변화되어 전신권태,식후불쾌감과 통증이 일어나는 증상.
위한통[胃寒痛]:위가 허하여 한기가 적체되어 통증이 일어나는 증상.
장골[壯骨]:인체의 골격을 강장하게함.
장양[壯陽]:인체중의 심신[心腎]을 강장하게함.
장요[壯腰]:허리의 양기를 강장하게함.
저감[低減]:병변에 의하여 일어난 증상을 낮추고 줄여주는 방법.
적리[赤痢]:이질에 피가 섞여 배설되는 것으로 습열로 인하여 소장에서 발생되는 증
상.
적체[積滯]:병변에 의하여 몸안에 적체물이 몰려 쌓여서 통하지 못하는 증상.
전광[癲狂]:신비[腎脾]의 허약으로 흥분상태가 강하고 억울상태가 심하여 일어나는
정신착란 증상.
정간[定癎]:심신[心腎]의 허약으로 간기가 발생되는 것을 진정시키는 방법.
정경[定痙]:뇌졸증에 의한 혼수상태를 치료함.
정천[定喘]:폐위의 기가 상역하여 천식,해수가 생겨서 담[가래]가 많고 호흡이 가쁜
것을 치료함.
정통[定痛]:병변으로 의하여 일어나는 통증을 가라앉게함.
제습[除濕]:체내의 습사를 밖에서 풀고 안에서 내 보내는 방법
제신[除神]:체액의 허로 인하여 정신의 혼란을 진정시킴.
제학[除虐]:학질의 감염으로 인한 증상을 제거함.
제회[除蛔]:회충을 뱃속에서 제거함.
조경[調經]:월경이상에 수반되는 병증을 치료함.
조발지독[鳥髮止禿]:체액의 균형변화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함.
종독腫毒]:체표에 부스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독의 기운.
종양[腫瘍]:세포가 병적으로 이상증식을 하여 생리적으로 무의미한 조직괴[組織塊:
조직 덩어리]를 만드는 병증.
종통[腫痛]:체표의 부스럼으로 인한 통증.
증정[增精]:체내의 기와 체액을 높여주는 방법.
지구[止歐]:내인성병변으로인하여 열과 냉의 증상이 일어나고 구역질 하는 것을 치료
함.
지갈[止渴]:내인성병변으로 인하여 목마름이 일어나는 것을 멈추게함.
지경[止痙]:내인성병변으로 인하여 수족이 떨리는 것을 멈추게 하는 방법.
지담[止痰]:체액의 변화로 가래가 생기는 것을 그치게함.
지대[止帶]:산후에 음식이 체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춥고 열이나며 식욕이 부진한 것
을 치료함.
지양[止痒]:외인성병변으로 이한 표리의 가려움을 그치게 하는 방법.
지한[止汗]:땀을 너무 많이 흘릴 때,체액의 소모를 막기 위하여 땀의 과다배출을 멈추
게함.
지해[止咳]:내인성병변으로 인한 심한 기침을 그치게함.
진통[鎭痛]:병변으로 인한 심한 통증을 진정시킴.
진해[鎭咳]:가래가 없이 소리만 심한 기침을 진정시키는 방법.
창면[創面]:병변에 의하여 얼굴에 부스럼이 생기는 현상.
창통[暢通]:병변에 의하여 정체되었던 증상을 시원하게 통하게 해줌.
천명[喘鳴]:기침을 할 때 목에서 가래가 끓는 소리.
청리[淸利]:열사[熱邪]로 인한 설사를 멈추게함.
청서[淸暑]:여름철의 열사로 인하여 목이 마르고 오줌이 붉어 지는 증상을 제거함.
청열[淸熱]:열사에 의한 서열[暑熱]의 증상을 제거함.
청인[淸咽]:열사에 의한 인후의 병변을 제거함
청위[淸胃]:열로 인하여 위가 더부룩하고,팽만감의 증상을 제거함.
청장[淸腸]:열성질환으로 인하여 장내에 병변이 일어남을 제거함.
청탁[淸濁]:열사로 인하여 혈분[血分]이 흐려짐을 제거함.
청혈[淸血]:열에 의하여 대변에 출혈증상이 일어남을 제거함.
체혈[滯血]:병변에 의하여 혈액이 정체됨을 제거함.
축담[逐痰]:열증에 의하여 가래가 적체됨을 제거함.
출한[出汗]:땀을 흘리게함.
충영[蟲纓]:곤충의 기생으로 이상발육을 하여 혹처럼된 식물체
최음[催淫]:성선[性線]을 자극하여 기 기능을 촉진시키는 일.
탁독[托毒]:체내의 독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
태독[胎毒]:태아가 태반속에 있을 때 열사의 毒을 받아 감염성 질병에 감염된 증상.
토사[吐瀉]:감염성질환에 의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토혈병[吐血病]:위와 폐에 열사로인하여 혈액을 토하는 병증.
통경[通經]:월경의 시기가 되었는데도 없을 경우에 월경을 초래시키는 방법.
통리[通利]:변통[便通]을 있게하고 위내의 정체물을 제거함.
통림[通林]:소변이 병변에 의하여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함.
통맥[通脈]:양기를 온[溫]하게 하고 맥박을 강하게함.
통유[通乳]:출산후에 기혈이 허약하여 젖이 나오지 못할때 젖을 나오게 함.
통활[通滑]:대변이 병변에 의하여 정체되어 있는 것을 제거하는 방법.
퇴종[退腫]:병변에 의하여 붓는 증상을 치료함.
퇴허[退虛]:체내의 병변으로 인한 기[氣]의 허약을 보강하는 방법.
평기[平氣]:체내의 기혈을 조화시키고 음양의 평형을 잡게함.
평천[平喘]:내인성질환으로 인해 숨이 차고 헐덕거림을 진정시킴.
풍열[風熱]:체내에 열사와 풍사가 겹쳐 발열이 심하고 구갈과 안구출혈 및 인후통을
동반하는 병증.
풍한[風寒]:체내의 풍사와 오한이 결합된 병사로서 열은 심하지 않으나 몹시 떨리고,
두통과 코가 막히며 전신무력증과 설태가 생기는 병증.
행어[行瘀]:어혈을 유동소산시키고 다시 정체되지 않게함.
행혈[行血]:혈행의 운행을 원활하게함.
허열[虛熱]:음기와 양기의 부족으로 생기는 발열.
허한[虛寒]:정기가 부족한 곳에서 한사가 침범하여 생긴 증후.
혈농[血膿]:외인성 병변에 의하여 피를 동반한 화농 증상.
혈맥[血脈]:기혈이 운행하는 통로.
혈열[血熱]:혈분[血分]에 열이 있는 것.
혈전[血栓]:체내 혈관 속의 혈액이 굳어져서 된 고형물.
혈지[血脂]:혈관속에 있는 혈액내의 지질.
협심증[狹心症]:심장벽의 혈관에 경련,경화,폐색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격렬한 발작
과 동통의 증세.
화담[化痰];열담의 증후를 치료하는 방법.
화습[化濕]:습사로 인한 병변을 치료하는 방법.
화어[化瘀]:어혈을 제거하는 방법.
화위[和胃]:위기[胃氣]의 불화를 치료하는 방법.
활혈[活血]:병변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혈류가 정체됨을 운행시키는 방법.
황달[黃疸]:얼굴과 눈알,치석,손톱 및 전신이 누렇게 되고 소변색이 황적색을 띠며 음
식을 먹고도 항상 허기증을 느끼는 병증.
후담[厚痰]:병변에 의하여 등허리에 생기는 담.
후열[喉熱]:체내의 열사에 의하여 인후에 일어나는 열.
한습[寒濕]:체내에 습탁[濕濁]이 있어 위장과 비장을 손상시키고 물이 정체하며,추위
를 싫어하고 사지가 냉하고 배가 팽창하며 대변이 수용성이고 끝에는 하
리[설사]와 부종이 발생하는 병증.
항학[抗虐]:외인성질환인 학질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줌.
해서[解暑]:체내의 열사에 의하여 더운기를 가라앉게함.
해수음[咳嗽音]:외감에 의한 내상이 각기 폐에 영향을 미쳐 일으킨 기침과 가래의 소
리.
해울[解鬱]:감정이 우울하여 생기는 병증을 치료함.
해천[咳喘]:기침과 천식.
해표[解表]:외표[外表]의 병사를 해제[解除]하는 방법.
행경[行經]:내인성병변으로 인하여 월경이 불통됨을 운행시킴.
행기[行氣]:체내에 있는 기의 섭체에 의하여 생기는 병증을 해제하고 운행시키는 방
법
......^^백두대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