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매자기의 효능

eorks 2023. 7. 16. 05:11
                  매자기의 효능


매자기 : 사초과(莎草科 Cyp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분포지 : 전국의 들녘 연못가 등지

높   이 : 80 - 150 cm

개화기 : 7 - 10 월

결실기  : 9 - 10 월

꽃   색  : 갈색

생육상  : 여러해살이풀

특    징 : 땅속 줄기에 덩이 줄기가 달린다.

용    도 : 관상용. 공업용. 약용.

효    능 : 뿌리 줄기를 학질. 최유. 어혈. 악심. 구토. 통경. 진통등의
                  약
로 쓴다.
                 *항종류. 흡수촉진. 건위작용


매자기

물가에서 흔히 자란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는 지름이 3~4㎝ 정도 되는 덩이뿌리가 달리기도 한다. 

줄기는 세모나고 곧게 서서 1.5m까지 자란다. 

잎은 긴 끈처럼 생겼으며 서로 어긋난다. 

꽃은 진한 갈색이며 6~7월에 줄기 위에서 산방(繖房)꽃차례로 피는데, 긴 타원형으로 된 산방꽃차례가 여러 개 달린다. 

땅속줄기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형삼릉(荊三稜)은 한방에서 혈적(血積)을 치료하는 데 쓴다.


잎 

잎은 화경(花莖)에 달리며 폭 5-10mm로서 화경보다 길고 엽초는 때로 갈색이 돈다. 

잎은 호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날카로우며 하부는 통상(筒狀)의 초가 되어 줄기를 싼다. 

구연(口緣)은 비스듬한 일(一)자 모양이며 줄기끝의 엽상포(葉狀苞)는 길다.


열매

수과는 세모진 긴 타원형이고 길이 3-3.5mm로서 면이 오목하며 회갈색이고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다.




화경(花莖)은 삼각형이고 높이 80-150cm, 지름 7-11mm로서 2-4개의 마디가 있다. 

꽃은 7-10월에 피며 산방화서는 화경 끝에 달리고 지름 3-8cm로서 3-8개의 가지가 자라며 가지는 길이가 7cm에 달하고 1-4개의 소수가 달린다. 

포는 2개 정도이며 화서보다 길고 소수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9-20mm로서 녹색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2개로 갈라진 끝에서 긴 까락이 자란다.

화피열편은 침형이며 6개로서 수과와 길이가 같거나 짧다.


줄기

세모기둥이고 모여나며 곧게 선다.


뿌리

근경은 길게 가로로 뻗으며 말단에 괴경이 달린다. 
괴경을 형삼릉(荊三稜)이라 한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용방안

▶根莖(근경)을 荊三稜(형삼릉)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채취해서 외피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려 사용하거나 醋炒(초초)
      하여 사용한다.

  ②약효 : 破血(파혈), 止痛(지통), 消積(소적), 行氣(행기)의 효능이 다. 
                  瘀血疼痛(어혈동통), 월경불순, 血暈(혈운), 氣血滯(기혈체),
                  腸滿(기장만), 心腹痛(심복통), 산후복통, 積聚(적취)를 치료한
                  다.

③용법/용량 : 1일 6-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또는 散劑(산제)
                          복용한다.

                          매자기는 덩이줄기를 식용할 수 있고, 괴경에 무수규산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 괴경을 형삼릉(荊三稜)
                          이라하여 가을에 채취해서 외피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려 
                          통경, 산후복통, 심복통, 월경불순, 소종, 최혈제, 지통, 
                          파혈, 치혈적, 건위 등에 달여서 복용한다.


약효와 사용방법

통경
건조한 덩이줄기를 하루에 5~10-그램,물 400cc에 넣고 1/2양이 될 때까지 달여 3회에 나누어 식전에 복용한다.

최유
젖이 부족한 기가 있을 때 건조한 덩이줄기 20~50그램을 물 500cc에 넣고 반량이 되도록 달여 식지 않은 즙을 타올에 적셔 이것으로 유방을 닦는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시풀의 효능  (8) 2023.07.18
명아주의 효능  (0) 2023.07.17
말냉이의 효능  (0) 2023.07.15
며느리 배꼽의 효능  (0) 2023.07.14
마편초의 효능  (0) 2023.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