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

eorks 2010. 6. 20. 00:36
故 事 成 語


칠종칠금(七縱七擒)


七:
일곱 칠, 縱:길이 종, 七:일곱 칠, 擒:사로잡을 금

일곱번 놓아주고 일곱번 사로잡음. 곧 마음대로 잡고 놓아 주는 비상한 재주


    유비(劉備)는 병세가 악화되자 제갈량(諸葛亮)을 불러 유언 을 남겼다.       
    철천지 원수 위(魏)를 쳐서 中原(중원)을 회복할 것과 아들 유선(劉禪)을 잘
보필(輔弼)해 달라는 것이었다.                                                                

    劉備가 죽자 諸葛亮은 劉禪을 극진히 보필했다.그 때 각지에 서 반란이 일
     어났는데, 가장 큰 골치거리는 서남방方의 오랑 캐였다.                             

    諸葛亮은 내란부터 수습해야 했다.그는 이간책을 사 용해 맹획(孟獲)이라는
장수를 사로 잡았다.                                                                                  

   하지만 그를 죽 이는 것이 능사는 아니었다. 유명한 마속(馬謖)의 건의가 있
었던 것이다.                                                                                               

여기서 [三國志]의 일부를 잠깐 인용해 보자.                                             

   「무릇 용병(用兵)의 도리는 최상이 민심을 공략하는 것이며 그 다음이 성을
함락시키는 것입니다.                                                                                

   곧 심리전이 최상이요, 군사전은 하책일 따름입니다. 원컨대 승상께서는
그들의 마음 을 정복하십시오.」                                                                

    諸葛亮은 孟獲을 풀어 주었다. 하지만 고향에 돌아온 孟獲은 전열을 재정비
해 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물론 諸葛亮은 자 신의 지략을 이용해 孟獲을 사로잡았지만 그때마다 풀어
    주 었다.                                                                                                         

    이렇게 사로 잡았다 풀어 주기를 일곱번(七縱七擒), 마침내 孟獲은 諸葛亮
에게 심복(心服·마음속으로 복종함)해 부하가 되기를 자청했다.               




[출 전]《三國志》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쾌도난마(快刀亂麻)  (0) 2010.06.22
침어낙안(沈魚落雁)  (0) 2010.06.21
칠보지재(七步之才)  (0) 2010.06.19
칠거지악(七去之惡)  (0) 2010.06.18
치인설몽(癡人說夢)  (0)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