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편수의 사랑
경기도 화성군 소재 전등사를 창건할 때의 이야기다.
아침 저녁으로 목욕을 재계하고 톱질 한 번에도 온 정성을 다하
던 도편수는 어느 날 일을 마치고 피곤을 풀기 위해 마을로 내려
와 주막을 찾았다.
텁텁한 막걸리로 목이나 축이려던 도편수는 그만 주막집 작부와
눈이 마주쳤다.
『너 참 예쁘게 생겼구나. 자 이리 가까이 와서 너도 한 잔 마셔
라.』
작부는 간드러진 웃음과 함께 술잔을 비우고는 다시 도편수에게
권했다.
『암 들구 말구. 잔이 철철 넘치도록 따라라.』
술이 거나해진 도편수의 눈엔 작부가 더없이 예쁘고 아름다워
보였다.
『너 그 손 참 곱기도 하구나. 이 억센 손과는 비교가 안되는
구나.』
『나으리의 이 손이야말로 보배 손이 아니옵니까?』
『보배라니? 거 별소릴 다 듣겠구나.』
『이 손으로 성스러운 대웅전을 짓고 계시니 보배스럽지 않습
니까?』
작부가 입이 마르도록 극찬을 아끼지 않으면서 거친 손을 만져
주자 도편수는 그만 꿈인지 생시인지 분간을 못할 정도로 기분
이 들떴다.
작부는 이때다 싶어 도편수 곁으로 더욱 가까이 다가앉아며 갖
은 애교를 다 부렸다.
『정말 나으리의 솜씨는 오묘하옵니다. 나무기둥 조각 하나하
나가 어찌 그토록 섬세하고 정교할 수가 있는지요.』
『그래 고맙다. 천하에서 둘째가라면 섭섭할 이 솜씨를 네가 볼
줄 알다니, 오늘밤 내 흠뻑 취할 것이니라. 자 어서 따르거라.』
『나으리, 그 공사는 몇 해나 걸리나요?』
『음, 앞으로 대여섯 해는 족히 걸릴 것이다. 한데 그건 왜 묻느
냐?』
『소녀가 나으리를 얼마간 모실 수 있나 알고 싶어서지요.』
『오, 거참 영특하구나. 네가 원한다면 내 매일밤 너를 찾아와서
술을 마실 것이니라.』
『소녀 더이상 아뢸 말씀이 없사옵니다.』
『네 말 한마디가 그저 이쁘기만 하구나. 이리 더 가까이 오너
라.』
『나으리 이러심 안돼요. 이 손 놓으시고 오늘밤은 늦으셨으니
그만 돌아가세요. 나으리 모실 날이 오늘만은 아니잖아요.』
『허긴 네 말이 맞다.』
만취하여 주막을 나선 도편수는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거르지
않고 주막을 찾아 곤드레가 되도록 술을 마셨다.
그러나 작부는 매일밤 도편수의 애간장만 타게 할 뿐 쉽게 정
을 주지 않았다.
『히히 목수 녀석, 오늘밤도 돈만 뿌리고 돌아갔구나.』
주막집 노파는 매일밤 돈을 물쓰듯 하는 도편수가 마치 큰 봉인
듯 작부에게 단단히 일렀다.
『얘야, 절대로 정을 줘서는 안된다. 정을 주는 날이면 그날로
돈 벌기는 틀린 게야.』
이같은 계략을 알지 못하는 도편수는 대웅전 불사가 더디어지는
것도 생각 못하고 매일 술에 취했다. 도편수의 얼굴은 날이 갈수
록 초췌해졌다. 작부는 일말의 가책을 느꼈는지, 아니면 연민의
정을 느꼈는지 마음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이제 도편수하고 살림을 차려야 할까 봐요.』
『얘, 그 무슨 소리냐. 네 덕분에 내 팔자도 좀 고쳐 볼 참인데
…』
『팔자고 뭐고 더이상 그 순진한 어른을 괴롭힐 수가 없을 것
같아요.』
『쯧쯧, 큰소리 탕탕 치더니 어느새 정이 든 모양이구나.』
『아닌 게 아니라 정도 들만치 들었어요.』
『허나 안된다. 돈도 돈이지만, 돌쇠가 알면 널 그냥 둘 것 같으
냐?』
작부는 그말에 그만 흠칫했다. 돌쇠와는 오래 전부터 정을 통해
온 사이로 돈만 벌면 육지로 나가 잘살아 보자고 약속한 터였다.
세월은 흘러 대웅전 불사도 어느덧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 공
사비로 많은 돈을 받았건만 목수에겐 동전 한 닢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뉘엿뉘엿 지는 해를 바라보며 도편수는 마음속
으로 다집했다.
「오늘은 약속을 받아내야지. 곧 새살림을 내자고.」
주막에 이르러 막걸리를 마시며 색시를 찾았으나 보이질 않았다.
『할멈, 색시는 어디 갔기에 이렇게 늦도록 오지를 않소.』
『도편수 어른 뵈러 간다고 나갔는데 웬일일까?』
『나를 만나러요?』
『아니 그럼, 이년이 혹시 그 돌쇠 녀석하고 줄행랑을 친 게 아
닌가?』
이미 나룻배를 마련하여 돌쇠와 육지로 도망간 줄 뻔히 알면서
노파는 딴전을 펴고 있었다.
『아니 줄행랑이라뇨? 나를 두고요.』
『글쎄 고것이 사나흘 전부터 어째 수상쩍다 싶더니, 아마 돌
쇠 녀넉하고….』
『이런 빌어먹을….』
도편수는 술상을 박차고 밖으로 뛰어나갔다. 하늘엔 별들이
어제와 다름없이 여전히 반짝였고, 바닷바람 역시 무심히 스
쳐갔다.
오직 도편수의 마음만 천갈래 만갈래로 찢어질 듯 했다. 몇날
몇밤을 지새운 도편수는 다시 일을 시작했다. 지난날의 사랑이
증오로 변하면서 그는 복수를 생각했다.
어느 날 무슨 묘책이 떠올랐는지 목수는 여인상을 깎기 시작
했다.
여자의 형체 4개를 조성한 도편수는 법당 네 귀퉁이 추녀 밑
에 여인상을 넣고는 무거운 지붕을 받들게 했다.
『나를 배신하다니… 어디 세세생생 고통을 받아보거라.』
장식수법이 화려한 전등사 대웅전(보물 제178호) 네 귀퉁이
용마루 밑에는 지금도 4개의 여인사이 마치 벌을 서는 형상
으로 무거운 추녀를 이고 있다.
이 인물형 조각은 많은 참배객과 관광객 등 보는 이로 하여
금 도편수의 우매한 사랑과 복수심이 담긴 전설을 음미케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83894354C7B3D314B)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