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홈
태그
방명록
明心寶鑑
婦 行 編(3)
eorks
2016. 12. 24. 20:42
明 心 寶 鑑
婦 行 編(3)
其婦德者
는
淸貞兼節
하며
기부덕자
는
청정겸절
하며
부덕이라 함은 맑고 절개가 곧으며
守分整齊
하고
行止有恥
하야
수분정제
하고
행지유치
하야
분수를 지키며, 몸 가짐을 고르게 하
고 행동을 조심하야
動靜有法
이니
此爲婦德也
요
동정유법
이나
차위부덕야
요
법도에 맞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부덕
이 되는 것이요
婦容者
는
先浣塵垢
하여
부용자
는
선완진구
하여
부용이라 함은 먼지나 때를 깨
끗이 빨아
衣服鮮潔
하며
沐욕及時
하여
의복선결
하며
목욕급시
하여
옷차림을 정결하게 하며, 목욕을 제
때에 하여
一身無穢
니
此爲婦容也
요
일신무예
니
차위부용야
요
몸이 더러움이 없게 하는 것이니 이
것이 부용이 되는 것이요
婦言者
는
擇師而說
하여
부언자
는
택사이설
하여
부언이라 함은 말을 가려서 하여
不談非禮
하고
時然後言
하여
부담비례
하고
시연후언
하여
예의에 어긋나는 말을 하지 않고 꼭
해야 할 때에 말하여
人不厭其言
이니
此爲婦言也
요
인불염기언
이니
차위부언야
요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부언이 되는 것이요
婦工者
는
專勤紡績
하고
부공자
는
전근방적
하고
부공이라 함은 길쌈을 부지런히
하여
勿好暈酒
하며
供具甘旨
하여
물호운주
하며
공구감지
하여
술을 빚어 내기를 좋아하지 않고 좋
은 맛을 갖추어서
以奉賓客
이니
此爲婦工也
니라
이봉빈객
이니
차위부공야
니라
손님을 접대하는 것이니 이것이 부공이
되느니라.
즉, 부녀자의 사덕을 자세히 설명한 글이다.
......^^백두대간^^........
白頭大幹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백두대간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明心寶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婦 行 編(5)
(0)
2016.12.24
婦 行 編(4)
(0)
2016.12.24
婦 行 編(2)
(0)
2016.12.24
婦 行 編(1)
(0)
2016.12.24
交 友 編(8)
(0)
2016.12.24
티스토리툴바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티스토리 홈
포럼
로그인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