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老年)의 삶의 지혜(智慧)
"성근(性根:타고난 성질) 흰머리에 윤기(潤氣) 없이
메마른 머릿결, 늘어진 피부(皮膚)와 자꾸 자꾸 처지
는 눈꺼풀, 노인(老人)은 삶의 연륜(年輪)으로 덕(德)
을 쌓아 베풀어라!"
그래도 노년(老年)을 살아가는 이들이 다른 사람에
향기(香氣)를 나눠 줄 수 있다면 그것은 그들에게 덕
(德)이 있기 때문이리라. 덕(德)은 갑자기 생기는 것
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쌓이는 것이다. 사랑이 인간
(人間)을 구제(救濟)한다고 한다. 그러나 미움과 절
망(切望)이 인간을 구제할 수도 있다.
노년의 연륜(年輪)은 미움과 절망까지도 품을 수 있
다. 성실(誠實)하게 살아가며 얻은 지혜(智慧)는 이
해(理解)와 지식(知識)과 사리(私利) 분별력(分別力)
도 나이만큼 함께 얻어간다. 그런 것들이 후덕(厚德)
한 인품(人品)으로 완성(完成)된다.
노년(老年)이란 이 세상(世上)에 신(神)도 악마(惡魔)
도 없는 단지 인간(人間).. 그 자체만이 존재(存在)한
다는 사실(事實)을 깨닫게 되는 시간(時間)이다.
그것은 젊은 날의 모난 용기(勇氣)를 둥글게 만들고
인간(人間)을 보는 눈은 따스해 진다. 이러한 덕목
(德目)을 갖추려면 스스로에게 엄격(嚴格)한 기준
(基準)으로 대(對)해야 한다.
자신(自身)에게 견고(堅固)한 재갈을 물리고 항상(恒
常) 삶의 속도(速度)를 조절(調節)해야 한다.
시간(時間)은 인간에게 성실(誠實)할 것을 요구(要求)
한다. 인생(人生)에는 간이역(簡易驛) 없기 때문이다.
시간(時間)을 자신(自身)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결연
(決然)한 의지(意志) 없이는 시간(時間)을 차지할 수
없다. 그래서 노년(老年)에게 시간(時間)은 두렵고 잔
혹(殘酷)한 것이다.
마음을 비우고 미완성(未完成)에 감사(感謝)하라. 더
많은 것을 얻으려하기 보다는 가진 것을 나누어야 한
다. 물러설 때를 늘 염두(念頭)에 두며 자리에 연연
(戀戀)해서는 안 된다. 그런 행위(行爲)는 공해(公害)
아닌 후해(後害)를 낳는다.
집착(執着)은 욕심(慾心)을 부르고 자신(自身)을 헤어
날 수 없는 구릉(丘陵)에 빠지게 한다. 자신이 추구(追
求)하는 지위(地位)나 권위(權威), 명예(名譽)와 돈에
대해 애착(愛着)을 버리고 한 발 뒤에서 바라볼 수 있는
지혜(智慧)가 필요(必要)하다.
애착(愛着)은 권력(權力)의 유혹(誘惑)에 빠지기 쉽고
주위(周圍)에 허세(虛勢)를 보이려 하게 된다.
오래 살게 되면 얻는 것도 있겠지만 잃는 것이 더욱 많
은 법(法)이다. 우리는 모두 빈손으로 왔으니 또한 빈손
으로 감도 자연(自然)의 이치(理致)로다. 주변(週邊)의
사람도, 재물(財物)도, 그리고 사랑도, 모두 자신을 떠
나간다.
이것은 노년(老年)을 살아가는 이들의 숙명(宿命)이자
새 삶의 주인공(主人公)들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여백
(餘白)의 모습이기도 하다.
[노년(老年)을 지혜(智慧)롭게 살기]
01.집에서 누워 있지 말고 끊임없이 움직여라.
움직이면 오래살고 누워있으면 일찍 죽는다.
02.하루에 하나씩 즐거운 일거리를 만들어라.
하루가 즐거우면 평생(平生)이 즐거울 수 있다.
03.돈이 들더라도 젊은 사람들과 어울려라.
젊은 기운(氣運)이 유입(流入)되면 활력(活力)이
넘치고 오래살수 있다.
04.성질(性質)을 느긋하게 가지고 여유(餘裕) 있는
모습을 보여라.
조급(早急)한 사람이 언제나 손해(損害)보고 세상
(世上)을 먼저 떠난다.
- 좋은 글 중에서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1294A494FE8FBA627)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