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다시 찾은 옥새(玉璽) 설화

eorks 2017. 10. 5. 03:39
韓國의 說話

다시 찾은 옥새(玉璽) 설화
    두꺼비라는 사람이 친구의 도움으로 거짓 점을 친 것이 계기가 되어
    행운을 잡는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우행담(偶幸譚)으로 분
    류된다. ‘점 잘치는 두꺼비’라고도 한다.
    문헌상으로는 ≪동야휘집 東野彙輯≫에 〈지동장은수기계 知童藏銀
    授奇計〉라는 제목으로 전하며, 구전설화로는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
    태로 분포되어 전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에 가난한 집 아들인 두꺼비와 부잣집 아들인 돌이가 친하게 
    지냈다. 돌이는 두꺼비를 돕기 위하여 자기 집 물건을 감추고, 두꺼
    비에게 점을 쳐서 찾게 하였다. 이로써 두꺼비는 신통스러운 점쟁이
    로 소문이 나게 되었다. 
    이 때 중국 천자가 잃어버린 옥새를 찾기 위하여 두꺼비를 초청하였
    다. 두꺼비가 중국으로 가는 동안 돌이가 궁궐에 불을 지르고, 두꺼
    비는 이 사실을 알아맞힌다. 
    또한, 천자가 두꺼비를 차돌로 눌러 놓고 이를 알아맞히라고 하자 두
    꺼비는 난감하여 “차돌아, 두꺼비죽는다.”고 탄식하였는데, 이것이 
    알아맞힌 결과가 되었다. 두꺼비의 신통력에 대한 소문을 들은 도둑이 
    그에게 자복하여 옥새를 찾고 두꺼비는 많은 상금으로 공주와 혼인하
    여 잘살게 되었다. 
    이런 내용은 설화의 각 편에 따라 주인공의 이름이 두꺼비 대신 거북
    이나 개구리·새 등으로 변이되기도 하며, 그 이름에 따라 뒤의 내용이 
    그에 맞도록 변화된다. 
    또는, 주인공의 이름이 생략되기도 하는데, 그 때 난감해진 점쟁이가 
    문풍지의 떨림이나 문짝의 움직임, 새의 울음소리 등을 들으며 탄식
    하는 말을 듣고, 바로 그 이름을 가진 도둑이 자복하여 옥새를 찾는다. 
    사건의 발단 부분도 대개는 가난한 친구를 돕기 위하여 꾸며지나, 마
    음에 드는 여종과 정을 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꾸며지는 경우도 있고, 
    그 부분이 아예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척척박사(Doctor Know-
    All)’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설화의 발단 부분에서 제시된 
    가난 문제는 친구의 우정에 의하여 어느 정도 극복된다. 
    그러나 설화의 공간이 마을·고을·나라·중국으로 확대되면서 조작된 
    신통력으로 인한 명성을 감당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가 대두된다. 
    그러나 우정과 협조 정신, 용기와 지혜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때 위기는 극복되고, 가난과 신분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이 설화에는 우정과 지혜를 바탕으로 하고,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가질 때 현실 생활에서 절박하나 해결의 방도를 찾지 못하였
    던 가난과 신분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긍정적 인식이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 韓國民譚選(韓相壽, 正音社, 1974), 韓國의 民譚(任東權, 瑞文堂, 1975), 韓國口碑文學選集(韓國口碑文學會, 一潮閣, 1977),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東野彙輯 卷4(東國大學校韓國文學硏究所, 韓國文獻說話 全集 3, 民族文化社, 1981), 다시찾은 옥새(曺喜雄, 韓國說話의 類型的 硏究, 한국연 구원, 1983), ‘다시 찾은 옥새’ 설화의 構造와 意味(崔雲植, 成大文學 23, 成均館大學校國語國文學科, 1984). [출 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맥 설화  (0) 2017.10.07
단군 신화  (0) 2017.10.06
눈과 비단띠를 맞바꾼 가재와 지렁이 설화  (0) 2017.10.04
녹두영감 설화  (0) 2017.10.03
노적봉 설화  (0) 2017.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