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때 유머

벙어리 아내와 장님 남편

eorks 2018. 11. 7. 01:47
[옛고전에서 전해오는 조선왕조 500년 유머/김현룡지음]

제4부 서민들, 유머는 그들이 낙이었다.
[제4ㅡ17화]벙어리 아내와 장님 남편
한 장님이 벙어리 아내와 함께 살고 있었다. 하루는 갑자기 대문 밖이 매우 소란스러워, 눈은 보이지 않지 만 소리는 들을 수 있는 남편이 아내에게 손짓하여 밖에 무슨 일 이 일어났는지 나가 보라고 했다.

남편의 지시에 따라 벙어리 아내가 대문 밖에 나가 보고 와서 는, 손짓과 몸짓으로 밖에서 일어난 상황을 설명했다.

먼저, 남편의 손을 끌어와 자기 유방 사이에 `사람 인(人)' 자를 써 보였다. 그러자 남편은 고개를 끄덕이면서,

"응, `사람 인'자 양옆에 젖꼭지 두 점이 있으니 `불 화(火)"가 되는구먼. 그러니 불이 난 모양인데 어디에서 불이 났지?"
하고 다시 물었다.

아내가 이번에는 남편의 손을 끌고 가서 자기의 옥문에 갖다 댔다. 이에 남편은 역시 고개를 끄덕이더니말했다.

"아, 그곳은 항상 습한곳이니, 저 건너 이동(泥洞, 泥; 진훍 이)에서 불이 났느냐고 물었다."

이렇게 짐작으로 맞추었다. 이어서 남편은 또 아네에게 누구 의 집에서 불이 났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아내는 자기의 입을 남편 입에 갖다대는 것이었다. 남 편은 아내의 이런 몸짓을 보고는 허허 웃으며,

"그렇지, 두 입이 합처진 글자니 여(呂) 서방 집이네그려, 그 런데 그 집에 불이 났으면 얼마나 탔을꼬?"
하고, 의문을 표시하는 표정을 지었다.

이를 본 아내는 남편의 바지 속에 손을 넣어 양근을 거머쥐고 만져 꼿꼿하게 세우는 것이었다. 곧 남편은 웃으면서 알았다는 듯이 말했다.

"참 안됐구먼, 집이 다 타고 기둥만 남았다는 뜻이지?"

부부가 이러고 있는데 대문 밖에 누가 찾아왔다. 아내에게 나 가 보라 하니, 나갔다 온 아내가 자기의 두 손가락을 펼쳐서 남 편의 양근 중간 부분을 둥글게 쥐었다. 그러자 남편은 역시 알았 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이었다.

"그러니까, 위에 갓이 있고 아래는 양쪽으로 뻗은 두 개의 음 낭이 있으니 `송(宋)'자로군, 아마 송 서방이 찾아왔나 보구먼, 빨리 들어오라고 해야지."

장님 남편과 벙어리 아내가 이렇게 대화를 하니 틀린 것이 하 나도 없더라.<조선 후기>


......^^백두대간^^........白頭大幹

'조선왕조 때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인도 속고 사위도 속고  (0) 2018.11.09
달라고 요구도 하지 않고  (0) 2018.11.08
쥐잡는 방법과 큰스님  (0) 2018.11.06
수놈 벼락 맞은 부인  (0) 2018.11.05
오해, 그 언어의 묘미  (0) 2018.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