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545763E53FB0CED1C)
四柱命式 作成法(6)(2) 月柱 作成(월주작성) 年柱를 세우는 문제는 이제 확실하게 파악을 하셨을 것으로 생각하고 月柱는 또 어떤 기준으로 세우게 되는지를 생각 해보도록 하자. 무엇보다도 月柱는 四柱를 모두 다세워 놓았을 경우에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것을 틀리게되면 참으로 곤란한 문제가 된다. 이것은 마치 세력의 본부를 파악하는 것과도 비교를 할만 하겠다. 이것을 비유로 통해서 이해를 돕도록 해본다.
사주중 지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곳 즉 月支라고 하는 상황이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를 파악하게 되는 열쇠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이만큰 월지의 비중은 크게 작용하는 것이다.
1) 月柱의 기준점 그러면 월주의 기준점만 파악을 하면 간단하게 월주를 세울 수가 있을 것이다. 또 무슨 이야기를 해서 골탕을 먹이려나? 하는 생각이 드실런지도 모르지만, 이미 공부는 마친 것이나 다름없다. 月柱의 기준은 바로 열 두 개의 節氣가 담당을 하게 되어있다는 것만 파악을 하면 그 원리는 년주를 세우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는 말씀을 알고 나면 한결 마음이 편안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절기와 地支를 연결하는 표를 하나 보여드리도록 하겠다.
月 支 |
해당 절기 |
설 명 |
寅 |
입춘(立春) |
입춘시부터 경칩시 전까지 寅月이 된다. |
卯 |
경칩(驚蟄) |
경칩시부터 청명시 전까지 卯月이 된다. |
辰 |
청명(淸明) |
청명시부터 입하시 전까지 辰月이 된다. |
蛇 |
입하(立夏) |
입하시부터 망종시 전까지 巳月이 된다. |
午 |
망종(亡種) |
망종시부터 소서시 전까지 午月이 된다. |
未 |
소서(小署) |
소서시부터 입추시 전까지 未月이 된다. |
申 |
입추(立秋 |
입추시부터 백로시 전까지 申月이 된다. |
酉 |
백로(白露) |
백로시부터 한로시 전까지 酉月이 된다. |
戌 |
한로(寒露) |
한로시부터 입동시 전까지 戌月이 된다. |
亥 |
입동(立冬) |
입동시부터 대설시 전까지 亥月이 된다. |
子 |
대설(大雪) |
대설시부터 소한시 전까지 子月이 된다. |
丑 |
소한(小寒) |
소한시부터 입춘시 전까지 丑月이 된다. | 이렇게 열 두개의 절기가 기준이 되어서 각기 그 시간 부터는 자신이 맡은 지지의 글자를 적용하게 되어있다. 그러니까 입춘은 두가지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年柱도 입춘을 기준으로 하고, 월주도 입춘을 기준으로 하니까 말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이 모델의 월주를 표시해보자.
(남자,양력) 1997년 2월 4일 03시 56분
時 日 月 年
ㅇ ㅇ 辛 丙
ㅇ ㅇ 丑 子
| 이렇게 月柱는 辛丑이 되었다. 그러니까 만약에 입춘시가 지난 걸로 계산을 한다면 丁丑年 壬寅月이 되는 셈이니까, 그 간발의 차이로 인해서 두 개의 기둥이 색깔을 달리하게 되는 결과가 되므로 특히 입춘이 걸린 절기의 부근에서는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2882405124E4EB2F)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