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우슬(牛膝)의 효능과 부작용 우슬(牛膝)은 '쇠무릎' 이라고도 하며, 그 생김새가 소의 무릎과 닮았다고 해서, 소우(牛) 무릎슬(膝), 효능 또한 무릎관절에 참 좋은 약초로,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므로, 직접 채취해서 복용해도 좋다. 우슬(牛膝)=쇠무릎 효능
①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캐 수염뿌리, 泥土(이토)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유황으로 여러 번 燻(훈) 하여 끝을 끊어내고 고르게 간추려서 다시 말린다. ②약효 熟用(숙용)하면 補肝(보간), 補腎(보신)하고, 筋骨(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③용법/용량
①7-8월에 채취한다. ③용법/용량 우슬(牛膝)의 효능 -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하며,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 정력을 늘리며 골수를 보충해 주며, 모발을 희지 않게 예방해준다. 우슬은 잎에도 약효가 있지만, 대게는 뿌리를 약초로 사용한다. 생으로 복용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는 건조해서 복용한다. 산이나 들에서 직접 채취해서 드실 경우 깨끗하게 세척 후, 말려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우슬 먹는법 - 우슬차 -6~12g을 물 1L에 넣고 30분간 달여서 마신다. - 우슬주 -생 우슬 혹은 건조된 우슬로 술을 담궈 먹는다. - 우슬환 -우슬, 하수오, 토사자, 파고자, 백복령, 적복령을 가루로 내어 환으로 복용한다.
또한 두뇌에 좋은 DHA, EPA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두뇌활동에 도움을 주어 성장기 .아이들에게도 좋다. 여성에게는 풍부한 콜라겐으로 인해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암효과, 동맥경화, 면역력 향상, 혈당조절 및 심장병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우계묵 - 방법은 간단한데, 우슬과 닭발을 깨끗하게 세척 후, 찜통에 물을 넉넉히 붓고 푹 끓이고 나서, 묵처럼 걸쭉해지면, 닭발과 우슬을 건져내고 하루 정도 식힌 후, 묵으로 만들어 먹으면 된다.
우슬은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므로 우슬을 섭취한 후, 어지럼증이 생겼다면 혈압이 내려간 것이 원인으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우슬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소화기능이나 장에 문제가 생겨 설사와 복통이 생길 수 있으며, 꿈을 꾸지 않으면서 정액이 배출되는 병증에는 복용하지 않는다. 또한 부인의 월경과다. 임산부의 경우, 자궁을 수축시키는 효과로 인해 유산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드시지 않는 것이 좋다. 한약 재료는 한의서에 비록 부작용이 없다고 기술이 되어 있어도 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상이 나타날 때는 즉시 복용을 중단하는 게 원칙이며, 조금씩 양을 늘려 적응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쇠무릎, 우슬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골수를 보충해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좋은 약초이지만, 체질에 맞지 않고 증상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맞게 복용해야 한다. 재료
다. 3. 곰솥이나 큰솥에 닭발을 넣고 물을 닭발이 잠길 정도만 넣고 쎈불로 끓입니다. 다. 4. 가마솥(곰솥)에 닭발, 우슬, 마늘, 생강, 대파, 대추, 그리고 대병 소주 3병과, 물을 곰솥의 8/10이 차도록 가득 붓습니다. 5. 센 불로 펄펄 끓을 때 까지, 또 펄펄 끓기 시작한 후에서 1시간 이상 끓여주다가, 중불이나 약한불 로 계속 끓입니다. (상황에 따라 6-9시간 정도) 주걱으로 솥 안의 내용물을 저었을 때, 건더기만 저어지고 물은 바닥에 조금 남는 상태까지 되면 그 만 끓여도 됩니다. 6. 빈 통 위에 소쿠리 채를 올려놓고 그 위에 국자로 퍼서 올려놓고 꾹꾹 눌러서 국물을 받아, 국물이 어느 정도 미지근해지면 바닥이 얇은 락앤락 반찬통에 담아, 충분히 더 식힌 후 냉장고에서 1시간 정도 숙성시키면 묵이 됩니다. 7. 먹는 것은 아침, 저녁 공복에 1-2조각 양념간장에 찍어 먹습니다. 8. 건더기는 재탕을 하는데, 물은 8/10으로 하여, 약 8시간 정도 졸이면 됩니다. 류마티스나 관절염 또는 등산을 많이 해서 무릅이 아픈 분들에게는 우계묵이 좋답니다. 우계묵은 너무 번거로우나 약효가 좋다하니, 자주는 아니고 가끔이라도 해 드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평소에는 우슬을 주전자에 넣고, 보리차처럼 끓여서 드세요. 보리차처럼 물 대용으로 우슬차를 마시면, 등산으로 약해진 무릎에 효과가 있답니다. 물기가 다 말라 없어지면 꿀로 팥알만 하게 알약을 만들어 날마다 빈속에 따뜻한 술과 함께 30개씩 먹는다.
쇠무릎지기 뿌리를 7~8cm 길이로 잘라 증기로 찐 다음 한끝을 실로 묶어 자궁 안에 넣으면 자궁수축 작용으로 임신중절이 된다. 요로 결석에는 30그램 이상을 달여서 수시로 복용한다. 쇠무릎지기는 아무 곳에나 흔하다. 산기슭, 길섶, 들판의 습하고 기름진 땅에서 널리 자란다.
이밖에 자궁 발육부전, 자궁경관의 협소, 폐색, 자궁위치이상 등과 관련이 있다. 웅담 1g, 당귀, 우슬 각 10g, 적작약, 지각(덜 익은 탱자를 썰어 말린 것) 각 6g으로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5g씩 하루 3번 밥먹는 중간에 따뜻한 물로 먹는다. 3치료 주기 동안 치료하면 모든 증상이 82% 이상 없어지며 4~5주기 먹어야 완전히 낫는다.
각기(脚氣)
거담(祛痰)-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골절번통(骨節煩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관절염(關節炎)-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근골통(筋骨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근염(筋炎)-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7일 복용한다. 냉병(冷病)-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농혈리(膿血痢)-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대하증(帶下症)-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마비증세(痲痺症勢)-뿌리 6~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무릎통증(膝蓋部痛症:슬개부 통증)-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보신(補身)-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보양(補陽)-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막염(腹膜炎)-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부인병(婦人病)-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산후각기(産後脚氣)와 부종(浮腫)- 생리통(生理痛) 소변 불통(小便不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소아마비(小兒麻痺)-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신경통(神經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주침(酒浸)=약재를 술에 담가 두는 것을 말함. 야뇨(夜尿)-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어혈(瘀血) 요빈삭(尿頻數) 요통(腰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요혈(尿血)-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유선염(乳腺炎)-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이뇨(利尿)-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이질(痢疾)-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임질(淋疾)-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정력증진(精力增進)-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정혈(精血)-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진통(陣痛)-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통경(通經)-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편도선염(扁桃腺炎)-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해독(解毒)-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5~6회 복용한다. 혈액순환(血液循環)-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혈폐(血閉)-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출처 : 심마니 산약초] 담그는법
효 능 쇠무릎지기는 한방에서 수렴, 이뇨, 임질, 산후복통, 요통, 관절염, 생리불순, 각기, 수종, 암, 음위 등의 치료에 골수를 채우고, 백발을 방지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간장을 보한다. 주로 요퇴부와 허리 이하 다리의 통증에 사용하며, 신허로 인한 요통에는 두충, 속단, 상기생 등을 가미하여 또한 풍습으로 인한 요통에는 하행시켜 거풍, 거습지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해동피(엄나무),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