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수염의 효능 광대수염은 산지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가 30~ 60cm이고 원줄기는 연하고 네모지며 털이 약간 있다. 줄기는 별로 가지를 치지 않는다. 속명은 그리스어로 목구멍을 뜻하는 라이모스[Laimos] 에서 나온 말로 화관의 통상부가 목구멍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도 있고, 사람을 먹이로 삼는 전설에 나오는 괴물 라미아[Lamia] 와 광대수염의 화관이 닮았기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말도 있다.
효능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5~6월 꽃필 때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주로 감기, 각혈, 토혈, 혈뇨, 월경불순, 타박상, 종기등에 쓴다. 약재는 1회 4~6g씩 쓰며 물에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종기에는 생풀로 쓰거나 가루를 기름에 개여 쓰기도 한다. 식용법 국거리로 쓴다. 나물의 경우는 가볍게 데쳐 찬물로 한 차례 헹군 다음 무친다. 기름에 튀겨서 먹기도 한다. 광대수염 학명 : Lamium album var. barbatum (S. et Z.) Fr. et Sav. 과명 : 꿀풀과 성분 : 잎- 粘液質(점액질), tannin, 精油(정유), 비타민 C, carotene, saponi n이 함유. 꽃- flavonoid 배당체 함유. Flavonoid 배당체에는 isopqercitrin, kae mp ferol-3-glucoside, quercimeritrin 1.07%, kaempferol-3-digl ycoside, lamioside, rutin이 있고. choline, 점액질, 精油(정유) , saponin, 비타민 C, histamin, tyramin, catechol系 tannin , chlo rogenic acid, caffeic acid 등을 함유 뿌리- stachyose, glycoside가 함유 생지 : 산이나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 난다. 분포 : 제주, 서울, 전남, 전북, 경북, 충남, 충북, 경기, 강원, 함남, 함북에 야 생.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에 분포 약효 잎-肺熱咳血(폐열해혈-결핵에 의한 해혈), 血淋(혈림), 帶下(대하), 월경불순, 小兒虛熱(소아허열-기력이 없는 假發熱狀態(가발열상태)), 타박상, 腫毒(종 독)을 치료. 뿌리-淸肝(청간), 利濕(이습), 活血(활혈), 消腫(소종)의 효능. 현기증, 肝炎(간 염), 肺結核(폐결핵), 腎炎(신염)에 의한 浮腫(부종), 白帶(백대), 疳積(감 적), 痔瘡(치창), 腫毒(종독)을 치료. 개화 : 5월 번식 : 종자 번식한다. 속명 : 수모야지마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주로 낮은 곳의 밭둑 등 개화기 : 5 - 6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7월 높이 : 30 - 60cm 특징 : 줄기와 잎자루 사이에 수염 같은 돌기가 나고 줄기가 네모나다. 용도 : 식용. 관상용. 밀원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거나 말려두고 먹는다. ①광대수염 은 소변 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 합니다. ②광대수염 은 폐열 로 인해 피가 나오는 것 을 치료 합니다. ③광대수염 은 부딪 쳐서 상처 난 곳을 치료 합니다. ④광대수염 은 종기 를 치료 합니다. ⑤광대수염 은 윗배 가 아픈 것을 치료 합니다. ⑥광대수염 은 여성 의 월경병 을 치료 합니다. ⑦광대수염 은 부종 을 치료 합니다. ⑧광대수염 은 여성 의 성기 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 합니다. ⑨광대수염 은 여성 의 백대하 를 치료 합니다. ⑩광대수염 은 통증 을 치료 합니다. ⑪광대수염 은 출혈 를 치료 합니다.
※광대수염 어리순 은 나물 로 먹으며 꽃 은 약용 으로 쓰입니다. ......^^백두대간^^........ ![]() ![]() |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포마(羅布麻)의 효능 (0) | 2020.04.25 |
---|---|
위령선(으아리,사위질빵)효능 (0) | 2020.04.23 |
곤드레 효능 (0) | 2020.04.22 |
어수리의 효능 (0) | 2020.04.21 |
곰취의 효능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