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blogfile/fs13/10_blog_2008_10_08_04_54_48ebbe5bdbc51?x-content-disposition=inline)
< 아주까리 잎과 열매 >
"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하는데 그 씨를 말하며 잎은 피마엽,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피마유 또는 피마자유라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조금 있고 식물성 기름 맛이 나며 맛은 달고 매우며 성
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독이 있다.[甘辛平有毒]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60649521F7CDF26)
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 변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
절염, 변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장내적취에 쓰고 중풍의 구안와사,
반신불수, 화상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복통과 설사유발, 피부염 및 기타
피부병 치료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조금 편압된 구형으로 바깥 면에는 흑색이나 갈색 및 백색 무늬와 광택
이 있다.
위쪽 끝의 뒷면에는 백색의 카룬쿨라(Caruncula)가 붙어 있으며 때로는 떨어진
것도 있다. 씨의 껍질은 얇고 안쪽에 기름이 많은 백색의 배유가 있음.
![](https://t1.daumcdn.net/cfile/cafe/1679FB48504770A414)
< 아주까리 익은 열매와 .. >
[속담] 아주까리에 대하여 -- 개똥참외[쥐참외] 달라붙듯 --
* 아주까리 열매는 어디든 잘 달라 붙는 성질을 비유한 속담
1. 생활 능력이 없는 남자가 분에 넘치게 여자를 많이 데리고 사는 경우에 비꼬
아 이르는 말.
![](https://t1.daumcdn.net/cfile/cafe/233AF83E521F7D913E)
2. 연약한 과부에게 장성한 자식이 여럿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10_blog_2008_10_08_04_54_48ebbe5bdbc51?x-content-disposition=inline)
아주까리의 쓰임새
1. 기름 - 약용<위 본문 참조>
2. 기름- 식용으로 썼으며 옛날에 찌짐(전)을 붙이려면 기름이 없어 아주까리
기름이나 산초 기름을 사용하였음.
3. 기름 - 접시에 아주까리 기름을 담아 솜으로 심지를 만들어 불을 밝혔음.
4. 기름- 아낙네들의 머리 기름으로도 이용하였음.
5. 잎은 - 삶아서 식용으로 하였음.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2_blog_2008_10_08_04_54_48ebbe8b609cf?x-content-disposition=inline)
아주까리 효능 질병 | 민간요법처방 |
---|
옴(개선:疥癬) | 온포기를 삶아서 그 물에 4~5회 탕욕한다. | 낙태(落胎) |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단.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 난산(難産)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회 정도 복용한다. | 단독(丹毒) | 씨를 짓이겨 4~5회 헝겊에 싸서 환부를 싸매준다. | 대변불통(大便불不通))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3~4회 복용한다. | 두드러기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생식한다. | 두통(頭痛)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3회정도 복용한다. | 류머티즘 | 씨 2g을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3~6일 복용한다. | 맹장염(盲腸炎)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 변비(便秘)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생식한다. | 부종(浮腫)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 사하(瀉下) | 씨 3~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2회 복용한다. | 신경통(神經痛)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생식한다. | 실음구금(失音口噤) |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건선(乾癬: 마른버짐) | 씨를 짓이겨 10회 이상 환부에 갈아 붙인다. | 출혈(出血) |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피부병(皮膚病) | 잎 또는 씨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풍습(風濕)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5일 생식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통경(通經)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2~3회 생식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탕화창(湯火瘡) | 온포기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타박상(打搏傷) | 씨껍질을 벗긴 알맹이 0.5~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3~5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악창(惡瘡) | 온포기 또는 씨를 삶아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낸다. | 치은염(齒은炎) | 씨 1~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생식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오한(惡寒)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 창종(瘡腫) | 잎 생즙을 5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 진통(陣痛)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2~3회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중풍(中風) | 씨 0.5~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7~10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종독(腫毒) | 온포기 또는 씨를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적취(積聚) | 씨껍질을 벗긴 알맹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한열왕래(寒熱往來)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생식한다. | 치질(痔疾) | 껍질을 벗긴 씨를 짓찧어 1일 2회 정도씩 4~5일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206E444F4E75D8672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