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범꼬리 효능

eorks 2020. 11. 2. 11:12

범꼬리 효능


1.범꼬리의 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Bistorta manshuriensis
 2)계 : 식물
 3)문 : 속씨식물
 4)강 : 쌍떡잎식물
 5)목 : 마디풀목
 6)분포지역 : 한국,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 우수리강
 7)서식장소/자생지 산골짜기 양지
 8)크기 : 높이 30∼80cm



2.生態 및 特徵
만주범의꼬리라고도 한다. 
산골짜기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많다. 
뿌리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넓은 걀 모양이고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다. 
잎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이와 비슷하지만 잎자루가 짧고 잎도 작다. 
잎집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다.
꽃은 6∼7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8개로 꽃받침보다 좀더 길고, 꽃밥은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며 수술대 밑부분에 작은 샘[腺]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9∼10월에 익는데, 꽃받침에 싸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어린 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뿌리줄기는 열을 내리거나 경기(驚氣)를 다스리며 종기의 염증을 없애는 데 사용한다. 
한국,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3.生藥名
1)한약명 : 권삼(拳蔘), 자삼(紫蔘), 회두삼(回頭蔘).
2)이명 : 자삼(紫參), 산하자(山蝦子), 도근초(到根草), 중루(重樓), 파상약
                (破傷藥), 도전약(刀剪藥), 하삼(蝦參), 회두삼(回頭參), 산유유(山
                 柳柳), 마봉칠(馬蜂七) 등이 있다. 
 
4.使用部位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며 큰범꼬리(Bistorta vulgaris var. yezoensis NAKAI)의 뿌리줄기도 함께 쓰인다.

5.採取 와 調劑(修治, 法製, 炮製)
가을 또는 봄에 캐내 잔뿌리를 따낸 다음 햇볕에 말린다. 
쓰기 전에 잘게 썬다.

6.成分
뿌리에 타닌산과 옥시안테라치논글리코시드(oxyantherachinonglycosid), 녹말, 당분, 고무질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매우 떫고 쓰다.


7.性味, 歸經, 主治
1)性味 : 고(苦), 양(凉)
2)歸經 : 간, 심경에 들어간다.
3)主治 : ◈경간(驚癇)
      
① 급경풍(急驚風)의 발작 정도를 가리킨 말. 
    급경풍이 경하면 열이 나고 얼굴이 벌게지며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하고 놀라
    면서 눈을 치뜨는 증상이 나타나고 경련은 일어나지 않는 데 이것을 경(驚)
    이라 하고 중하면  눈을 치뜨고 목이 뻣뻣해지며 손발에 경련이 이는 데 이
    것을 간(癇)이라 한다.

② 전간(癲癇)의 하나. 무섭고 놀라서 크게 울면서 전간 발작이 나타나는 것.

③ 넓은 의미에서 경풍(驚風), 전간의 여러 가지 병증을 가리키는 말.

◈파상풍(破傷風)

달리 상경(傷痙) · 금창경(金瘡痙)이라고도 함. 

상처로 풍독사(風毒邪)가 들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다친 상처, 화상, 동상이 있을 때, 해산할 때, 갓난아이 배꼽에 상처가 있을 때 흔히 생긴다. 

상처로 들어간 풍독사는 기육(肌肉)·근맥(筋脈)들어가 영위불화(營衛不和)를 일으켜 근맥을 자양할 수 없게 하여 경련을 일으키고 심하면 장부로 들어가 풍독증(風毒證)을 일으킨다. 

처음에는 머리가 아프고 오슬오슬 춥고 열이나며 상처가 조여들고 아프다가 입을 벌리지 못하며[아관긴급(牙關緊急)] 쓴웃음을 짓는 듯한 표정[고소(苦笑)]을 나타낸다.

점차 목과 등 · 가슴 · 배 · 팔다리로 경련이 퍼져 목이 뻣뻣해지고[항부강직(項部强直)] 등이 뒤로 젖혀지며[후궁반장(後弓反張)] 숨을 가쁘게 쉬고 목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온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땀을 많이 흘리고 높은 열이 나며 자주 놀란다.

     
◈장염(腸炎)
        
대장•소장에 생기는 염증. 장 카타르라고도 한다. 

무절제한 식사, 부패 음식물 섭취, 비특이성(非特異性) 세균 감염 등이 원인이며 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복통•설사•복부 불쾌 등이 주요 증세이며 치료에는 식이 (食餌) 요법 외에 술파제나 항생물질 투여 등이 유효하다.


◈이질(痢疾)
       
배가 아프고 속이 켕기면서 뒤가 무직하며 곱이나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자주 누는 병증. 위장이 허한 데다 변질된 음식, 날것과 찬 음식을 먹거나 습열독
(濕熱毒)의 침입을 받아 대장의 기혈이 상하여 생긴다.

증상과 유발 인자에 따라  풍리(風痢) · 서리(暑痢) · 습열리(濕熱痢) · 한습리(寒濕痢) · 열리(熱痢) · 한리(寒痢)·수곡리 (水穀利)로 나누고 대변의 성상에 따라 백리(白痢) · 적리(赤痢) · 적백리(赤白痢) · 혈리(血痢) · 농혈리(膿血痢) · 오색리(五色痢)로 나누며, 임상 경과와 경중에 따라 열리(熱痢) · 독리(毒痢) · 기리(氣痢) · 금구리(噤口痢)·기항리(奇恒痢) · 구리(久痢) · 노리(勞痢) · 허리(虛痢) · 고주리(蠱疰痢) · 휴식리(休息痢)로 나눈다.


◈임파선종(淋巴腺腫)
       
임파선(淋巴腺)에 종양이 생기는 병증임.


◈옹종(癰腫)
       
기혈(氣血)이 사독(邪毒)을 받아 옹색(壅塞)하여 통하지 않음으로써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의 증상임.

 몸에 난 작은 종기가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 증세로 가려움증이나 따가운 증세.
 
 
8.效能

1)청열해독(淸熱解毒)
    열독(熱毒) 병증을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을 이르는
    말임.

2)이습소종(利濕消腫)
    소변을 통하게 하여 하초(下焦)에 막힌 습사(濕邪)를 제거하여 부종을 가라
    앉히는 효능임.
  
3)진경(鎭痙)
    경련의 증상들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4)열을 내리게 하고 
    경련을 풀어주며 종기를 가시게 한다.
  
5)적용질환은 
    고열에 의한 어린아이의 경련, 어린아이들이 놀라 발작하는 간질 등의 치료
    약으로 쓴다.

6)그밖에도 
    파상풍이나 장염, 이질을 다스리는 데 사용되고 임파선종이나 악성종기 등
    의 피부질환을 치료하는약이 되기도 한다.
9.效能解說
     여뀌과 식물인 범꼬리풀 Polygonum bistorta L.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
     다. 

     범꼬리풀은 각지의 깊은 산이나 고원 지대의 풀밭에서 널리 자란다. 

     봄이나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은 다
     음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혈열(血熱)을 없애고 해독하며 설사를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주요 성분인 tannin(18~20% 들어 있다)이 지사(止瀉) 작용
     을 나타낸다. 

     설사, 이질, 장염, 구내염, 옹종(癰腫), 연주창, 뱀에 물린 상처(snakebite)
     등에 쓴다. 

     하루 6~9g을 탕제 · 환제 · 산제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또는, 달인 물로 입 안을 가시기도 한다.

     뿌리는 탄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해열·진경(鎭痙)·소종(消腫)의 효능이 있
     어 한방에서는 열병경축(熱病驚축)·경간(驚癎)·파상풍·장염·이질·임파선종
     ·옹종(癰腫) 등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10.症狀別 使用法
 1)내과질환에는 

     1회에 2~4g을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또는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피부질환에 대해서는 생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달인 물로 닦아낸다.

 2)임파선
     범꼬리 뿌리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3)심한 기침, 산후 빈혈; 
     이질, 설사, 혈변 범꼬리 뿌리 8g, 물 400cc
 
 4)신열, 열성 코피, 부종; 
     열병으로 사지 경련, 마비  권삼 6g, 가루 내어, 따뜻한 물로 복용

 5)파상풍
     상처로 들어간 파상풍균이 증식하여 그 독소로 인하염 말초신경계 및 척수
     전각세포가 침법되어 전신의 근육에 강직성 경련이 일어나는 질병으로 신
     고전염벼의 하나로 사망률이 높다.
  
 6)활용법(공통)
     범꼬리풀의 뿌리 6 -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4 - 5일간 복용한다.

7)간질(癎疾)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8)사독(蛇毒)
    전초를 짓이겨 4-5회 환부를 싸매 준다.

9)수렴제(收斂劑)
    뿌리를 달여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는다.

10)실음구금(失音口噤)
      뿌리 5-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11)언어장애(言語障碍)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1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12)열병(熱病)
      뿌리 5-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복용한다.

 13)옹종(癰腫)
       뿌리를 삶아서 그 물로 5-6회 환부를 닦는다.

 14)우울증(憂鬱症)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15)이질(痢疾)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 3-4회 복용한다.

16)장․위 카타르(腸胃catarrh)
      뿌리 6-8g을 1회분으로 탕, 산,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복용한다.

17)정신분열(精神分裂)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18)종독(腫毒)
      뿌리를 달이거나 즙을 내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19)진경(鎭經)
      뿌리 6-8g을 1회분으로 달여 4-5회 복용한다.

20)진정(鎭靜)
      뿌리 6-8g을 1회분으로 탕, 산,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복용한다.

21)진통(鎭痛)
      뿌리 6-8g을 1회분으로 탕, 산, 환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22)피부염(皮膚炎)
      뿌리 6-8g을 1회분으로 탕, 산,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복용하거나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23)해열(解熱)
      뿌리 6-8g을 1회분으로 탕, 산, 환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꽃의 효능  (0) 2020.11.04
범부채효능  (0) 2020.11.03
자연산당귀 효능  (0) 2020.11.01
방가지똥의 효능  (0) 2020.10.31
반하의 효능  (0) 2020.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