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미오이의 효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CA6435D95ACE507)
※수세미오이 [sponge gourd]
박과의 1년생 덩굴성 식물로 수세미오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갈라지며 덩굴손을 내어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올라간다.
잎은 오이잎과 비슷한 모양으로 어긋나며 꽃은 7∼10월에 달린다.
수꽃은 각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모여 피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핀다.
열매는 길이 30㎝~70㎝ 정도로 오이처럼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익으면 노랗게 변하며 겉에 세로로 얕은 골이 진다.
수세미외 줄기의 절단면에서 나오는 수액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번식은 씨로 하는데 봄에 호박을 심는 것과 같이 심으며 여름에는 그늘을 드리워 시원하므로 정원수로도 심는다.
하지만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이나 기후 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05A3D5D95B6FE0E)
※수세미 효능
약용 부분이 실 모양으로 여러 층 얽혀 있고 그 모양과 길이가 오이와 비슷하다.
옛날에는 식 기를 닦을 때 수세미를 많이이용했다.
수세미는 식용보다는 약용으로 많이 이용됐는데, 산후에 젖이 붓고 아프면서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수세미를 달여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
또한 성질 이 차서 몸에 열이 많아 생기는 가래를 삭이고, 뜨거운 피를 식혀 줌으로써 혈액순환 을 촉진 시키고, 소염 작용을 한다.
변비, 축농증 등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또, 씨와 잎은 이뇨작 용과 해독작용이 있 으며, 껍질과 뿌리는 진통, 소염 작용을 한다.
가. 비염으로 고생하는 사람
고름 같은 콧물이 나오고 냄새를 잘 맞지 못할 때 수세미 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10 ∼ 15g을 적당량의 물에 달여 먹는다.
나.천식 수세미를 달임 약 아니면 즙을 내어 먹으면 효과가 높다.
다.기관지 염
기관지염에도 효과적이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최양수 선생님 지음 "약이 되는 산야초 108가지 -2" 122페이지에)
수세미와 알로에를 같은 량으로 즙을 내어 먹 는다.
라.젓이부족한산모
수세미 덩굴을 태운 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한번 3일 동안먹는다.
마.피부에는
피부가 투실투실 하면서 살갗이 트는 데는 8 ∼ 9월 중에 수세미 줄기에서
뽑 아낸 물 500ml에 꿀 5 ∼ 6숟가락을 섞어 바르면 좋다.
피부습진에 수세미 줄기를 달여 환부를 씻어주면 가려움증을 없앤다.
아이들의 아토피 피부염에 수세미 액을 복용과 동시에 피부에 바름으로 좋
은 효과를 얻는다.
바.축농증 환자
적당한 양의 수세미덩굴 (땅에서부터 1.5m되는 곳을 베어낸 것)을 불에
태 운 후 보드랍게 가루 내어 찬물에 타서 하루에 3번 먹는다.
사.오십 견일 때
수세미 열매를 가루 내어 매일 10g씩 먹는다.
옆구리가 결리거나 팔다리가 쑤시는 데 붓는 데, 장염 등에 수세미 오이 속
을 하루 5 ∼ 10g씩 달임 약으로 먹는다.
자.헛배가 부를 때 수세미오이씨를 약한 불에 말린 다음 보드랍게 가루 내어 한 번에 3~5g 씩
술 한 잔에 타서 먹는다.
수세미오이는 복수도 잘 빠지게 할 뿐 아니라 헛배 부른 것도 잘 낫게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2E33B5D95B72417)
※수세미오이 부위별 활용법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수세미오이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요점을 정리 한다.
"성숙한 열매를 (絲瓜) 종자를 (絲瓜子), 뿌리를 (絲瓜根), 잎을 (絲瓜葉), 줄기를 (絲瓜 藤), 꽃을 (絲瓜花), 꼭지를 (絲瓜?),열매껍질을 (絲瓜皮)라고 한다.
가.사과(수세미 오이 잘 익은 열매 전체)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무독하다.
간, 위,신경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피를 식히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열병으로 인한 신열번갈, 담천해수, 장풍치루, 붕대, 혈림, 정창, 옹종등을
치료한다.
물로 달여서 먹거나 태워서 가루 낸다.
나.사과근(수세미 오이 뿌리)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피를 잘 순환하게 하고 부종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편두통, 요통, 유선염, 인두염, 축농증, 후두염, 장풍 하혈, 치루를 치료한
다.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 낸다.
다.사과등(수세미 오이 줄기)
맛은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심, 비, 신의 3경에 들어가며 근육을 이완시키
고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비를 튼튼하게 하고 살충하는 효능이 있다.
허리 무릎사지의 마비, 월경 불순, 수 종, 만성기관지염, 위축성 비염, 만성
부비강염, 충치, 비연, 잇몸의 출혈을 치료한다.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 낸다.
라.사과락(수세미 오이 열매 속에 들은 망사처럼 생긴것)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경락을 활성화 하며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
복통, 요통, 폐열담해, 무월경, 유즙 불통, 옹종, 치질을 치료한다.
물로 달여서 먹거 나 태워서 가루 낸다.
마.사과엽(수세미 오이의 잎)
열을 내리고 해독, 옹저, 정종, 신경성 피부염, 백선, 더위 먹은데, 뱀에 물
린 상처, 화상을 치료한다.
물로 달여서 먹거 나 가루 낸다.
바.사과자(수세미 오이의 씨앗)
수세미오이 씨앗은 물기를 배출시키고 열을 내리며 사지와 안면 부종, 요로
결석, 장풍, 변 비, 유즙 분비, 치루를 치료한다.
물로 달이거나 가루 내어 먹는다.
외용시 분말로 개어서 바른다.
사.사과체(수세미 오이의 꼭지) :
소아의 두창, 모든 인후부종 및 인후통, 동통을 치료한다.
아.사과피(수세미 오이의 열매의 겉껍질) :
금창, 정창, 화독, 좌반창, 부종에 가루 내어 소주에 개어 문질러 바른다.
자.사과화(수세미 오이의 꽃)
맛은 달고 약간 쓴맛이 있고 성질은 차다.
열을 내리고 해독, 변비, 폐열 해수, 심한 천식, 호흡곤란, 인후통, 비두염,
정창, 치질을 치료한다.
물로 달여서 먹거나 외용시 짓찧어 붙 인다.
수세미는 성질이 평온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출처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중약 대사전,
비염 등으로 고름 같은 콧물이 나오고 냄새를 잘 맞지 못할 때
수세미 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10 ∼ 15g을 적당량의 물에 달여 먹습니다.
젓이 부족한 산모는 수세미 덩굴을 태운 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한 번 3일 동안 먹습니다.
기관지염에는 수세미와 알로에를 같은 량으로 즙을 내어 복용하고, 천식에는 수세미를 달임약 아니면 즙을 내어 먹으면 효 과가 높다고 합니다.
또한, 피부가 투실 트실 하면서 살갗이 트는 데는 8 ∼ 9월 중에 수세미 줄기에 서 뽑아낸 물 500ml에 꿀 5 ∼ 6숟가락을 섞어 바르면 좋습니다.
옆구리가 결리거나 팔다리가 쑤시는데 붓는 데, 장염 등에 수세미 오이속을 하루 5 ∼ 10g씩 달임 약으로 먹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