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무릇의 특징 오늘 여러분과 배워보는 무릇은 외떡잎식물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2~3cm 정도 굵기의 알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릇은 4~5장의 가늘고 길쭉한 잎이 알뿌리 로부터 자라는데 보통 2장씩 마주보는 상태로 자랍니 다. 잎의 길이는 15~30cm이며 연하여 꺽어지기 쉽습니다. 무릇의 꽃자루는 잎사이로부터 길게 자라나며 높이는 50cm에 이릅니다. 꽃자루 끝에 많은 꽃이 이삭 모양으 로 모여 피는데 6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은 3mm 정도입니다. 무릇꽃의 빛깔은 보라빛을 띤 연분 홍색이며 꽃이 지고 난 뒤에는 길이 3mm 정도의 타원 꼴 열매를 맺는데 익으면 갈라져서 "파씨" 와 같은 검은 씨가 쏟아집니다.
무릇의 생약명은 "면조아." "지조." "지란"이라고 부르며, "물굿"과 "물구"라는 속명도 있으며, 꽃말은 강한자제 력과 자랑입니다.
무릇은 달래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잎 이 두껍고 비늘 줄기가 더 굵은편이며 무릇의 비늘줄기 는 알모양이고 쪽파를 연상시킵니다. 무릇의 꽃은 늦여 름과 초가을 사이에 피는데 잎모양과 꽃색깔이 맥문동 과 비슷하여 햇갈려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다만 잎은 무릇이 맥문동보다 더 두껍고 꽃대는 맥문동 이 더 짧으면서 꽃이 더 단단한 편입니다. 무릇의 어린 잎과 줄기는 삶아서 나물로 먹습니다. 무릇은 절에서 먹지 못하게 하는 오신채(5가지 매운채 소로 파, 마늘, 달래, 부추, 무릇)중의 하나일 정도로 우 리 선조들은 자주 먹고 접했던 식물이지만 요즘은 이름 조차 생소해하는 사람이 많아졌을 정도로 보기 힘든 식물입니다.
무릇의 알뿌리는 단맛이 나기 때문에 옛날 농촌에 먹을 것이 없거나 허기진 때에 목숨을 연장케 한 구황식물로 많이 이용했으며, 1일 사용량은 말린 약초 9~12g 정도 입니다.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는 잎을 데쳐서 무치거 나 비늘줄기를 간장에 조려서 반찬으로 많이 먹었고 비늘줄기를 고아서 엿으로 먹기도 했습니다.
2 ) 무릇의 채취와 조제 꽃이 피기전인 초여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 합니다. 병에 따라서는 생것을 그대로 쓰기도 합니다.
3 ) 무릇(면조아, 지조)의 효능 무릇은 한방에서는 풀 전체를 "면조아"라고 하며 해독, 소종에 효능이 있으며, 타박상이나 요통, 근골통, 옹저 등을 치료할때 주로 쓰였으며, 비늘줄기와 잎을 알코올 에 담가 추출한 물질은 강심작용을 합니다.
무릇은 [동의학사전]에서는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 여,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부종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무릇은 약리실 험에서 강심작용, 이뇨작용, 자궁수축작용 등이 밝혀졌 으며, 유선염, 타박상, 요통, 다리통증, 산후어혈, 부스 럼 등에 사용하였습니다.
무릇은 장염과 근골통(발꿈치를 이루는 짧은 뼈의 통 증), 충수염에도 효과가 있으며, 무릇 전초를 달여서 복 용하면 치통과 근육통, 허리의 통증을 잡아 주고 분만을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무릇은 몸이 약한 사람의 폐농양으로 인한 토혈을 치료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4 ) 무릇 활용법 1. 무릇의 비늘줄기( 알뿌리)와 어린잎을 손질하여 짓 찧어서 엿기름 물과 함께 5시간쯤 삭힌후 베보자기에 넣고 꼭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중불로 끓인 뒤 서 서히 약한불로 조려 조청을 만들어 먹습니다.( 강심.이뇨 )
2. 무릇의 비늘줄기와 잎을 술을 담가서 먹는다.(강심.이뇨)
3. 팔다리가 쑤시고 아픈 증세와 종기. 유방염 : 무릇의 생뿌리를 짓찧어 환부에 붙입니다. (강하게 하면 물집이 생길 수 있으 며 수시로 갈아 붙입니다.)
4. 치통, 타박상, 근육과 골격의 통증 : 무릇의 지상부를 물에 달여서 마십니다. (마른것을 기준으로 3~10g 정도를 물에 넣고 달여서 하루 분량으로 복용합니다. )
5 ) 무릇 법제방법 무릇은 약간의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봄에 무릇 알뿌리의 갈색 껍질을 벗겨낸 뒤 연한 소금물에 삶은후 물에 담가 3~4시간 우려내어 아린맛을 빼내고 간장에 조려 반찬으로 먹거나 나물로 무쳐 먹습니다.
6 ) 무릇의 부작용 무릇은 달래나 마늘과 마찬가지로 "황"을 함유한 식물 이라서 몸에 열이 많고 음기가 부족한 소양인 체질의 사 람이 많이 먹으면 뱃속에 가스가 많이 발생하고 피부에 염증이 자주 생기며 속이 쓰리게 되므로 소양인 체질의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