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Euphorbia sieboldiana 분류 : 대극과
분포지역 : 한국, 사할린섬 남부, 쿠릴열도 남부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높이 20∼40cm
강심작용, 사하작용(장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설사를 일으키는 작용), 항염증작용,몸이 붓고 배에 물이 찼을 때, 숨차고 소변이 잘 나가지 않을 때, 오줌내기약, 센 설사약, 이뇨, 사하, 부기, 수종, 복수(물고임), 각기, 숨이 차고 기침이 날 때, 늑막염, 가슴 아픔, 황달, 사수음(瀉水飮), 파적취(破積聚), 통이변(通二便), 수종창만(水腫脹滿), 류음(留飮), 결흉(結胸), 당뇨병, 저리고 아플 때, 대소변이 나오지 않을 때, 간질, 식도암,징가적취(癥痂積聚), 이변불통(二便不通), 습성 늑막염을 다스리는 독초인 감수 및 개감수
감수는 대극과 대극속에 속하는 식물로 전세계에 약 16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1종 및 변종이 자라고 있다.
대극속은 모두 줄기를 자르면 흰유액을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감수 및 개감수는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 동북 지방, 사할린, 쿠릴 열도 남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개감수는 산이나 숲속에 자라며 5~7월에 꽃이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약 40cm까지 자란다.
줄기잎은 어긋나게 달리지만 맨 위부분의 잎은 5장이 돌려난다.
꽃줄기는 줄기 맨 윗부분에서만 5갈래로 갈라져 나오고 2차로 갈라지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또 한차례 더 갈라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때에는 가운데에 꽃을 두고 양쪽으로 갈라지는 게 아니라 한쪽으로 1개의 꽃줄기만 나오는 점이 특이하다.
한 포기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꿀샘덩이가 초승달 모양이라는 특징이 있다.
열매는 지름 3mm 정도로 익고 3갈래로 갈라지며 표면이 매끄러운 편이다.
꽃이 지고 난 7~9월 즈음에 간혹 줄기 끝에서 새로운 줄기가 돋으면서 잎만 자라기도 한다.
개감수가 새순이 붉게 돋는 점은 붉은 대극과 같으나 붉은 대극보다 체구가 작고 줄기가 가냘프며 개화기가 늦으며, 붉은대극보다 비교적 흔한 편이다.
대극과의 식물이 대개 그렇듯이 개감수도 식물체에 상처를 내면 하얀 즙액이 흘러나온다.
대극속의 종류를 보면 민대극, 흰대극(흰버들옻), 두메대극(두메버들옻), 암대극(바위버들옻), 참대극(참버들옻), 낭독(오독도기), 포인세티아(멕시코불꽃풀: 원예식물), 대극(버들옻), 개감수, 감수, 지리대극 등이 자라고 있으며
대부분 유독식물이다.
이 가운데는 흔히 비단풀로 불리우는 애기땅빈대, 땅빈대, 큰땅빈대와 같은 독성이 없는 식물도 있으며 바닷가에 자생하는 등대풀도 대극속에 포함된다.
대극과의 대극은 뿌리가 좀더 가늘고 대극과의 감수 및 개감수는 뿌리가 약간 둥글면서 굵은 것이 특징이다.
줄기 잎 및 뿌리에서 유즙이 흘러 나옵니다.
대극이나 감수 및 개감수는 독성이 아주 센 유독식물로서 몸안에 물을 내보내는 작용과 강한 설사작용을 일으키는 대단히 주의가 요망되는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