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바보여뀌의 特徵 및 效能

eorks 2023. 7. 21. 04:49
                                       바보여뀌의 特徵 및 效能



바보여뀌

식물계 : 속씨식물문(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미분류) 석죽목 마디풀
              과
여뀌속 한해살이풀  
학  명 : Persicaria pubescens (Blume) H. Hara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동부 아시아,말레이시아,인도 등
국내분포지 : 전국
서식지 : 물가
크  기 : 높이 40∼80cm
꽃색깔 : 흰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
개화시기 : 8월
개화계절 : 여름
이  명점박이여뀌,바보역귀·유모료(柔毛蓼)

가.特徵

꽃  말 : 학업의 마침

다른 이름 : 여뀌, 들여뀌, 매운여뀌

유래 : 바보여뀌는 다른 여뀌와는 달리 잎에서 매운맛이 없기 때문에 다시
        대
하여 둔하다고 하여 바보여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특성 : 바보여뀌.유모료라고도 한다. 물가에서 자란다.
        잎은 타원형 바소꼴로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마
르면 식물체가 붉은 빛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꽃은 8월에 피는데, 흰색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돈다.

        꽃차례는 가늘고 밑으로 쳐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열매가 익을 때는 홍록색이 나타나므로 아름답다.
        열매는 검은색 수과로서 길이 2mm정도로 세모진 달걀모양이고 10월
        에
익으며 잔 점이 있다.

        여뀌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없고 잎에 검은점이 있으며, 매운
        맛
이 없고 열매가 세모진 것이다르다.

        바보여뀌라는말은 일본 이름을 번역한 것인데, 매운맛이 없가 때문억
        맛에 대하여 둔하다는 뜻이다. 


나.효능

1.생약명 : 수료(水蓼),택료(澤蓼),날료(날蓼),유료(柳蓼)
  성분 : 이소라멘틴, 페르시카린-7-메틸에테르,폴리그디알, 타데오날 등이
            함
  성질 :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채취및 조제 :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쓴다.
   사용부위 :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약재로 쓰는데, 흰여뀌도 함께 쓴다.

3.효능 : 지혈, 소종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 : 이칠,설사,장출혈,각기,월경과다,타박상 등에 쓴다.

4.용법 용량 :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로 몽근하게 달여
                 서
용한다.
  <외용> : 타박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식용법 : 어린 싹을 생선회에 곁들어 먹는다.
           이것은 본래 지닌 매운맛이 일종의 향신료 역할을하여 비린내를
           잡
아 준다.

부작용: 옛날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는 식물이라 해도 그 독성을 제거한 뒤
          에
나물로 한 것이 많다. 

그러나 지금은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 수 없으므로 산나물이라 해도 무턱대고 먹어서는 안 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골에서는 여뀌의 독성을 이용하여 고기잡이를 했다.

고기가 많은 곳을 골라 큰 물길을 돌리고 물이 자작자작해 지면 그 물에 여뀌 짓이긴 즙을 푼다. 

이렇게 하면 여뀌의 독성이 물에 섞여 작은 물고기들이 비실비실 떠오른다. 

물론 한 참 지나면 깨어나지만 힘이 없을 때 쉽게 잡을 수 있다.

식물체가 강한 매운 맛을 갖고 있고 냄새가 나기 때문에 매운여뀌, 맵쟁이라 하고, 잎이 버들 꼴이라 하여 버들여뀌라고도 한다. 

가을이 되어 날씨가 건조해지면 줄기는 붉은 색을 띠는데 이 때는 꽃이 피어 씨가 익기 직전이다. 

줄기 아래쪽 잎은 대부분 말라 있지만 위쪽 잎은 싱싱하다. 

이러한 줄기를 거두어 그늘에서 말리면 약으로 쓸 수 있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화의 효능  (0) 2023.07.23
미역취의 효능  (0) 2023.07.22
물레나물의 효능  (0) 2023.07.20
목향의 효능  (0) 2023.07.19
모시풀의 효능  (8) 2023.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