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의 역사와 서적
예로부터 인간은 생존을 위해서 또는 생활의 편리를 위해서 자기가 생활할 터전을 찾아왔다. 원시사회에서는 좋은 자리를 찾으면 먹고 쉬고 자는데 편리했다. 뿐만 아니라, 적으로부터 자신과 동족을 보존하고 번창시키는데 용이했다. 이렇게 풍수지리는 안전편리하면서 발전 가능한 땅을 찾는데서 발생하였다.
풍수지리학의 기원은 상고시대까지 소급해 가지만, 이는 초기의 형성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 때문에 이론이나 응용면에서 체계를 갖추지는 못했다. 그러다가 지금으로부터 약 2000여 년 전 중국 후한(後漢) 때 음양이치에 통달한 청오자(靑烏子)라는 사람이 풍수지리의 원전(元典) 격인 『청오경(靑烏經)』을 저술하여 반포한 것이 풍수지리학의 역사적 기원이 되었다.
(1) 한(漢)나라 시대와 『청오경(靑烏經)』
중국 한(漢)나라 시대는 조상의 묘지가 후손에게 영향을 준다고 믿어왔다. 후한 장사가 효도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우리나라 부족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부족연맹체 중 가장 고도의 문화수준을 가진 부여(夫餘)는 조상숭배와 영혼불멸을 믿어 장례식을 후하게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그들은 여러 달에 걸친 장례식을 영광으로 알았고 많은 부장품(副葬品)과 심지어는 순장(殉葬)까지도 행하였다.
B.C. 37년 경 주몽(朱蒙)이 이끄는 부여의 일족이 건국한 고구려(高句麗) 역시 후장(厚葬)이 행해졌고 금과 은 등 보배를 부장(副葬)하여 적석총(積石塚)을 만들었다. 옥저(沃沮)에서는 온 가족을 한 곽(槨)에 매장하고 곽 주위에다 미곡(米穀)을 두어 사자(死者)의 식량으로 하는 등 영혼불멸의 사상에 근거한 가족공동 묘지가 행해졌다.
『청오경』은 작자미상의 책으로 후한 때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후대의 위작(僞作)이라는 설도 있다. 『청오경』이라는 책이름에서 편의상 작자를 청오자(靑烏子)라고 부른다. 청오자는 백살을 넘게 살다 신선이 되었다고 하는 반인반신(半人半神)의 선인(仙人)이라고 전해진다.
『청오경』의 내용은 음양 이법과 생기 그리고 산의 형상에 대해서 매우 간결하게 기술하였다. 문장 한 구 한 구를 비결이나 격언처럼 열거해 놓아, 읽는 것만으로는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난해함으로 인하여 후세의 학자들에게 자유로운 해석의 여지를 제공하였는데, 가장 오래된 책이므로 장경(葬經)으로 존중되었다.
그 후 당나라 사람 양균송(楊筠松)이 주석(註釋)을 달아 해석을 하였다. 원문은 편(篇)이나 장절(章節) 구분 없이 사자일구(四字一句)의 한 문장으로 연속되어 있다.
조선시대 지리과(地理科) 과거시험에는 『청오경(靑烏經)』 『금낭경(錦囊經)』 『호순신(胡舜申)』 『명산론(明山論)』이 4대 필수과목이었다. 그 중에서 『청오경』과 『금낭경』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2) 진(晉)나라 시대와 금낭경(錦囊經)
지금으로부터 약 1700년전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즈음하는 중국의 진(晉)나라 때 사람 곽박(郭撲, 276-324년)이 『청오경(靑烏經)』을 인용하여 『금낭경(錦囊經)』을 저술하였다. 그는 책 곳곳에 ‘경왈(經曰)’하면서 『청오경(靑烏經)』을 인용하였다. 이 때문에 『청오경』을 장경(葬經)이라 하고, 『금낭경』은 장서(葬書)라고 부른다.
『금낭경』은 상하(上下) 2권 8편으로 되어 있다. 전체 내용이 간략하고 짧아 모두 2000 여자(字)에 불과하지만, 간결하면서도 군더더기가 없다. 또 다루고 있는 범위가 매우 넓어 풍수고전 중에서 최고로 친다.
상권(上卷)은 제일(第一) 「기감편(氣感篇)」, 제이(第二) 「인세편(因勢篇)」, 제삼(第三) 「평지편(平支篇)」, 제사(第四) 「산세편(山勢篇)」, 제오(第五) 「사세편(四勢篇)」이다.
하권(下卷)은 제육(第六) 「귀혈편(貴穴篇)」, 제칠(第七) 「형세편(形勢篇)」, 제팔(第八) 「취류편(取類篇)」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은 풍수지리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내리고, 풍수의 이론과 실천을 전체적으로 기술함으로서 풍수지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이 장서를 『금낭경(錦囊經)』이라고 하는 어원은 다음과 같다.
당나라 황제 현종이 지리를 잘 아는 홍사(泓師)라는 신하를 자주 불러서 산천의 형세를 물어보았다. 그 때마다 홍사는 장서를 인용하여 설명하였다. 어느날 현종이 홍사에게 그 책을 요구하였다. 홍사는 책을 받치면서, 이 책은 세상에서 귀한 책으로 함부로 다른 사람에게 보여서는 안 되는 비보서(秘寶書)라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들은 현종은 이 책을 비단으로 만든 보자기 즉 금낭(錦囊)에 넣고 다시 장롱 깊이 넣어 보관했다. 이때부터 『금낭경』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금낭경』은 당나라 연국공(燕國公) 장설(張說)과 승려인 홍사(泓師), 역시 승려인 일행(一行) 등이 주석을 달아 설명한 판본(板本)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 지리과(地理科) 과거시험에서 청오경과 함께 배강(背講, 암기)의 필수과목이었다.
(3) 당(唐)나라 시대
우리나라의 통일신라시대에 해당되는 당나라 때는 모든 문화가 찬란하게 꽃을 피웠다. 풍수지리학도 마찬가지로 크게 발전하였다. 이 때는 간단한 나경패철(羅經佩鐵)을 이용하여 방위와 좌향(坐向)을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양균송(楊筠松), 장설(張說), 홍사(泓師), 장일행(張一行), 증문적(曾文迪), 요금정(寥金精), 복응천(卜應天) 등 풍수지리학 방면에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별호가 구빈선생(救貧先生)인 양균송은 『청낭경(靑囊經)』, 『감용경(?龍經)』, 『의용경(疑龍經)』, 『사대혈법(四大穴法)』, 『도장법(倒杖法)』 등을 지어, 그때까지만 해도 한낱 술법으로 전해 내려오던 풍수지리설을 체계적인 학문으로 정립하였다. 특히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론은 묘나 집의 좌향(坐向)을 결정하는데 사용해왔는데, 오늘날의 풍수지리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 풍수지리학의 시조인 도선국사의 스승이라고 알려진 일행선사(一行禪師) 장일행(張一行)은 곽박의 장경을 해석하면서 나라의 땅을 화식지지(貨殖之地: 재화가 많이 나는 땅), 용문지지(用文之地: 문사가 많이 나오는 땅), 용무지지(用武之地: 무관이 많이 나오는 땅) 등으로 나누어 자연 환경을 관찰하였다. 또 『대연역분도(大衍曆分度)』를 저술하였다.
소문관학사(昭文館學士)를 지낸 복칙외(卜則巍)는 『설심부(雪心賦)』를 저술하였는데, 문장이 간결한 형기학(形氣學) 위주의 책이다. 이를 청나라 사람 맹천기(孟天其) 등이 주석을 달아 설명하였다.
|
......^^백두대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