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보탬이 되는 생활풍수(5)
동사택(東四宅)은 양(陽)의 기운(氣運)이 강하고, 서사택(西四宅)은 음(陰)의 기운(氣運)이 강합니다. 동사택의 가상(家相)은 양의 상징인 귀(貴)가 먼저 발복하고 후에 부(富)가 따릅니다. 반면에 서사택의 가상(家相)은 음의 상징인 부(富)가 먼저 발복하고 후에 귀(貴)가 따른다는 것이 사택가상(四宅家相)의 발복론(發福論)입니다.
●대문은 양(陽)으로 보고 귀(貴)와 남자(男子)로 간주(看做)한다.
●정원(庭園. 마당)은 음(陰)으로 보고 부(富)와 여자(女子)로 간주(看做)한다.
●대문과 건물을 비교할 때 대물은 양(陽)이고 건물이 음(陰)이다.
●건물과 정원을 비교할 때 건물은 양(陽)이고 정원이 음(陰)이다.
●대문이 양인 동사택궁(東四宅宮)에 위치하고 있으면 부귀속발(富貴速發)한다.
●대문이 음인 서사택궁(西四宅宮)에 위치하면 재물(財物)의 발복이 우선한다.
●북향 대문은 부자(富者)가 나고, 남향 대문은 부귀영화(富貴榮華)한다.
●양(陽)을 극(剋)하면 남자(男子)가 상(傷)하고, 음(陰)을 극(剋)하면 여자(女子)가 상(傷)한다.
●대문이 양인 동사택궁(東四宅宮)에 있고, 건물이 음인 서사택궁(西四宅宮)에 있으면 먼저 남아(男兒)를 출산(出産)한다.
●대문이 음인 서사택궁(西四宅宮)에 있고, 건물이 양인 동사택궁(東四宅宮)에 있으면 먼저 여아(女兒)가 출생(出生)한다.
●대문이 건물을 극(剋)하면 주인이 상(傷)하고, 건물이 대문을 극(剋)하면 도적이 들어오지 못한다.
●대문과 건물이 다 양일 때는 속발(速發)하나 자손(子孫)을 두기 어렵고, 모두 음일 때는 재물은 왕성하나 질병이 많다.
《주역》에서는 복희씨(伏羲氏)의 하도(河圖) 선천팔괘(先天八卦)와 문왕(文王)의 낙서(洛書) 후천팔괘(後天八卦)로 각 방위의 특성과 이들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를 구궁도(九宮圖)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낙서(洛書)의 구궁도(九宮圖)와 24방위]
손(巽, ), 녹목(綠木)
진손사(辰巽巳)
동남방(東南方) |
이(離, ), 자화(紫火)
병오정(丙午丁)
정남방(正南方) |
곤(坤, ), 흑토(黑土)
미곤신(未坤申)
남서방(南西方) |
진(震, ), 벽목(碧木) 갑묘을(甲卯乙)
정동방(正東方) |
중앙, 황토(黃土) |
태(兌, ), 적금(赤金)
경유신(庚酉辛)
정서방(正西方) |
간(艮, ), 백토(白土)
축간인(丑艮寅)
동북방(東北方) |
감(坎, ), 백수(白水)
임자계(壬子癸)
정북방(正北方) |
건(乾, ), 백금(白金)
술건해(戌乾亥)
서북방(西北方) |
|
......^^백두대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