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때 유머

[고전유머]4-14화 오해, 그 언어의 묘미

eorks 2007. 4. 21. 00:08
[옛고전에서 전해오는 조선왕조 500년 유머]
제4부 서민들, 유머는 그들의 낙이었다

(제4-14화)오해, 그 언어의 묘미
    우리 나라 지방 언어에는 남에게 자기 집 음식을 겸손하게 말 하여, `보잘것없는 물건'이란 뜻으로 `좀것[劣物; 조그마한 것]' 이라고 하는 말이 있다. 그리고 또 `~을 먹는다'는 말도 `~을 하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자네 술 좀 하나?'에서 `하다'가 `먹다'의 뜻으로 쓰이고, `점심 먹고 왔어?'도 `점심 하고 왔어?' 라고 묻는 것과 같은 경우가 그것이다. 그런데 또 `하다'라는 말은 남녀의 성행위를 지칭할 때 쓰기 도 한다. 가령 `그 여자와 몇 번 했어?' 하면 성행위한 것을 의 미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의 말을 가지고 구성한 것이 다음의 얘 기이다. 한 젊은이가 장가가서 신부와 첫날밤을 자고 나오니 장모가 웃으면서 이렇게 물었다. "자네 어젯밤 넣어 준 `좀것'을 잘 `하고' 잤는가?" 이 말은 장모가 다음과 같은 뜻으로 한 인사말이었다. "어젯밤에 신방에 넣어 준 `보잘것없는 음식, 곧 술상'에 차 려진 음식을 잘 `먹고' 잤는가?" 그런데 이것을 신랑은 다음과 같은 뜻으로 알아들었다. 즉, "어젯밤에 신방에 넣어 준 `보잘것없는 내 딸'과 `잠자리를 잘 하고' 잤는가?" 라는 말로 알아들은 것이다. 그래서 신랑은 부끄러운 듯이 고개 를 숙이고 빙그레 웃으면서 작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예, 장모님! 세 번 하고 잤습니다." 이 말을 들은 장모는 민망해 고개를 숙이고 피했다. 그런데, 옆에서 듣고 있던 10여 세 된 처남이 자형의 대답을 듣고는, 어머니 말을 잘못 알아들은 자형이 너무나 어리석다고 생각했다. 어린 처남의 생각에는, 자기 집에서 일하는 바보 머슴 논금(論金)이보다도 자형이 더 어리석어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한 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처남은 답답한 심정으로 다음과 같 이 한마디 던졌다. "아이 참. 자형도, 자형은 우리 집 바보 머슴 논금(論金)이보 다도 훨씬 못하네, 그렇게도 잘못 알아들어?" 즉, 머슴 논금이보다 더 어리석게도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한다 는 뜻으로 한 말이었다. 그런데 신랑은 이 말을 또 다른 뜻으로 알아들었다. 즉 세 번 밖에 못한 자기의 어젯밤 잠자리가, 머슴 논금이보다도 정력이 모자라 적게 했다고 핀잔을 주는 것으로 알아들었던 것이다. 그 러니까 논금이는 하룻밤에 세 번보다 훨씬 더 많이 여자와 잠자 리를 할 수 있는데, 자형은 겨우 세 번밖에 못했으니 논금이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신랑은 처남을 보고 화를 내면서 소리를 버럭 질렀다. "이 사람아, 장가오느라고 며칠 동안 잠도 제대로 못 잤고 또 멀리 말을 타고 와 피곤한데, 첫날밤에 세 번이면 많이 한 거지 어찌 그보다 더 하란 말인가? 열 번쯤 했으면 자네 마음에 흡족 하겠는가? 어린것이 뭘 모르면서." 이와 같이 서로 언어의 의미가 맞지 않으니, 장모와 처남은 웃으면서 더 이상 말을 하지 않더라.<조선 중기> [옛 고전에서 전해오는 조선왕조 500년 유머/김현룡지음]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