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복소무완란(覆巢無完卵) 覆:엎어질 복.巢:새집 소.無:없을 무.完:완전할 완.卵:알 란
엎어진 새집 밑에는 온전한 알이 없다는 말로, 근본이 썩으면 그 지엽도 따라서 썩는다는 말임.
후한시대 공융은 건안칠자의 한사람으로 헌제 때 북해의 상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을 가르친 학자이다.
그는 무너져가는 한나라 왕실을 구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여 러 번에 걸쳐 조조에게 간언을 하다가 미움을 사서 피살된 인물 이다.
공융이 일찍이 오나라의 손권에게 체포된 일이 있었다. 그 당시 공융에게는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은 아홉 살이고, 작은 아들은 여덟 살이었 다.
손권의 부하들이 공융을 체포하러 왔을 때, 두 아들은 마침 장기놀이를 하고 있었는데 조금도 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하던 놀이를 계속하였다.
공융은 사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처벌은 나 혼자 몸에서 끝나게 해주시오. 두 아이는 다치지 않게 해 주시 오."
이때 아들이 공융에게 이렇게 말했다.
"아버님, 어찌 엎어진 새집 밑에 온전한 일이 있을 수 있습니까?"
두 아들 또한 체포되었다.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던 새집이 땅바닥으로 엎어 진다면, 그 속에 있던 알은 깨지고 말 것이다.
공융의 아들은 한 집안의 가장이요, 기둥인 아버지가 죄를 지어 체포되어 가 는 마당에 자식이 벌을 받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가령 나무의 근본인 뿌리가 썩어 문드러졌다면 어찌 여름날의 푸른 신록을 기대하고 아름답고 탐스러운 과실을 생각할 수 있을까?
[출 전]《後漢書》<공융전>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