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직정경행(直情徑行)

eorks 2010. 5. 21. 00:14
故 事 成 語


직정경행(直情徑行)


直:
곧을 직. 情:뜻 정. 徑:지름길 경. 行:다닐 행

감정이 내키는 대로 길을 가다.                                        
곧 상대의 생각이나 주위의 사정 등에 신경 쓰지 않고 자기의
         생각대로 행동함.                                                                     


     공자의 제자 유약(有若)과 자유(子遊) 두 사람이 함께 길을 가고 있을
     때였다.

     우연히 부모를 여의고 심히 비탄에 빠져 있는 소년을 보았다.

     그 모습에 충격을 받은 두 사람은, 그 곳을 떠난 다음 방금 본 광경에
     관련해 예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먼저 유약이 말했다.

     "나는 상례(喪禮)에 곡용(哭踊)의 예(곡을 하고 발버둥질을 하는 예)
     가 무엇 때문에 있는 것인지 몰랐으며, 차라리 없는 편이 낫다고 오랫
     동안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아이의 비탄해 하는 모습을 보고, 죽은 사람에 대한 애석의
     정은 실로 이 곡용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역시 옛사람이 행한 예에는 각각의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러자 자유도 말했다.

     "그렇다. 그리고 예라는 것은 동시에 정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만들어
     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자가 정에 지나치면 몸 을 상하기 때문에 예로써 이를 제한하며, 또
     불초한 자는 정이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갖춤새로 마련하여, 그로써
     정 을 생각케 한다.

     이것도 예의 효용이다.

     감정이 내키는 대로 전후 분별도 없이 행동하여 절제할 줄 모르는(直
     情徑行) 것은 야만인의 길이며, 군자는 항시 정이 일어나는 것을 이성
     으로 제어해야만 한다."


     [출 전]《禮記》<檀弓篇(단궁편)>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풍경초(疾風勁草)  (0) 2010.05.23
진충보국(盡忠報國)  (0) 2010.05.22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  (0) 2010.05.20
지초북행(至楚北行)  (0) 2010.05.19
지 음(知音)  (0) 201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