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대사(西山大師)와 사명당(四溟堂)의 도술시합(1) | 서산대사(西山大師)를 일명 휴정(休靜)이라고도 하는데, 자(字)는
현응(玄應)이요, 호(號)는 청허자(晴虛子)로 속세에서의 성은 최(崔)
씨였다. 그의 제자인 사명대사(四溟大師) 사명당(四溟堂)은 일명 송
운유정(松雲惟政)이며 자는 이환(離幻)이요, 속세의 성은 임(任)씨로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子)였다.
두 사람은 고승으로 유명하지만 사제지간으로도 더욱 유명하여 많은
일화가 남아있다.
어느 날. 사명당이 스승인 서산대사와 도술을 시험해 보기 위해서 남
루한 옷차림으로 묘향산(妙香山)을 내려오는데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신출귀몰한 축지법(縮地法)을 써서 평안도를 거쳐 황해도 경기도를
지나 눈 깜짝할 사이에 강원도에 이르렀다.
전번에는 자신의 수도장인 묘향산에 서산대사가 왔을 때 선녀들이
날라다 준 밥을 먹는다고 자랑하며 자신의 도술을 은근히 발휘해 보
려고 했는데, 그날 따라 선녀가 밥을 가져오지 않아서 하루종일 기다
리다가 망신만 샀는데 서산대사가 떠나면서, "내가 가고 얼마 지나지
않으면 밥을 먹게 될 것이다." 하고 해서 헛일 삼아 기다렸더니 아닌
게 아니라 선녀들이 밥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서 사명당에게 이르기
를, "제 시간에 가져오려고 했지만 천상식관(天上食管)에게 늦어도
괜찮다는 서산대사의 말씀에 따라 이제 왔소이다."고 하는 것이었다.
사명당은 그 일이 있고 나서 자신의 도술이 서산대사에 못 미친다는
것을 알고, 그 후부터 더욱 분발하여 도술을 연마해 이제는 서산대사
와 견주어 볼 수 있다는 자신만만한 생각에 잠겨있었다.
사명당은 서산대사보다 스물 셋이나 아래였으므로, 그 기백이나 패기
는 서산대사보다 앞섰지만 그래도 스승 만한 제자가 없다는 말처럼 도
술에 있어서는 어딘지 모르게 뒤졌다. 그렇다고 사명당이 결코 도술에
있어서는 어딘지 모르게 뒤졌다.
그렇다고, 사명당이 결코 도술을 할 줄 모르는 것은 아니었지만 스승
인 서산대사보다는 못했다. 사명당이 한참 도술을 걸어 동서남북을
종횡무진하고 다닐 무렵 세상에는 심심치 않는 소문이 구구했다.
그 중에서도 서산대사와 사명당의 기상천외한 도술에 있어서, 서산대
사가 낫다느니 사명당이 낫다느니 소문마저 우열을 가리지 못할 지경
으로 두 사람의 도술이 막상막하임을 실감케 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서산대사가 사명당보다 한 수위라는 세론이 지배적이었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