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중엽에 아들이 몹시 귀한 가문의 삼대독자로 정홍수(丁弘洙)
란 선비가 있었다.
홍수는 그 귀한 아들 하나라도 얻기 위하여 유명하다는 명산대천을
찾아다니며 공을 들였다.
그 공덕이었음인지 겨우 아들 하나를 얻게 되어 그 아이 이름을 정창
옥(丁昌玉)이라 지었다. 창옥은 어려서부터 자라나면서 남다른 비범
함에 뭇사람들의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 더구나 4대독자인 귀한 아들
이었으니, 그야말로 금지옥엽(金枝玉葉)으로 들면 날까 놓으면 깨질
까 아주 귀엽게 키웠다.
그러던. 어느 날 지나가던 걸승이 아이(창옥)의 얼굴을 삿갓을 쳐들
고 내려보더니,
"어허, 그것 참 안됐구나." 하면서 혀를 끌끌 차고는 가던 길을 가는
것이었다. 그러자. 창옥 아버지는 아차 하면서 무엇인가 궁금한 생각
에 그 걸승을 찾아보았지만 그 걸승은 이미 모습을 감추어버린 뒤였다.
그 후. 세월이 흘러 아이가 열 댓 살 먹게 되었을 때, 인간의 운명을
귀신처럼 알아 맞춘다는 길도사(吉道士)를 찾아갔다. 길도사는 향을
피운 방안에 향냄새가 진동하자. 주역팔괘를 응용하여 창옥의 앞날을
예지하기 시작했다. 작괘(作卦)를 해놓고 괘상(卦象)을 한참 주시하
더니, 다음과 같이 예언을 했다.
"이 아이는 틀림없이 18살 때에 명문가 규수와 혼례를 치르게 될 것이
요. 하지만 혼례를 치르고 동침하다 급사를 하게 되니, 이 또한 한 인
간의 슬픔이 아닐 수 없소."
이런 예언을 들은 아이의 아버지 정홍수는,
"4대 독자인 아들이 그럴 바에야 차라리 내가 죽어 그 액땜을 할 수
는 없소이까?" 하며 길도사에게 매달렸다. 눈물을 흘리며 매달리는
정홍수가 길도사에게 막무가내로 통사정을 하자. 길도사는 냉정한
표정을 지으면서,
"인간의 운명은 하늘이 이미 정해준 천명인데, 그 어찌 나약한 인간의
힘으로 그것을 좌지우지 할 수 있겠소이까?" 하며 단호하게 거절해버
렸다.
"그리고 설령 액을 면할 수 있는 비방을 가르쳐준다 해도 그것을 순
간적으로 지키지 못하고 마는 게 또한 인간이요." 길도사의 이같은 설
명에도 불구하고 정홍수는,
"사람 하나 살려주시오." 하며 애원을 했다.
길도사는 매달린 정홍수가 안타까워,
"본래 생명에 관한 비방(秘方)은 천기누설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비
밀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만약 그렇지 못하고 경솔하게 처신하면 반
드시 천해(天害)가 있게 되오." 라고 힘주어 설명했다.
이렇게 비방을 설파한 길도사는 누런 종이 위에 개 세 마리를 그린 그
림을 접어주면서,
"이 그림을 아들인 창옥이에게 주되 펼쳐보지 말고 생명이 위급하다
고 느낄 때 펴보도록 하시오." 라고 지시했다.
그 후. 세월이 흘러 창옥이가 열여덟 살이 되자. 길도사가 예언한대
로 혼담이 날마다 줄을 이었다. 그 중에서 물색하고 물색한 재상의
딸 박선영(朴仙英)과 혼례를 치렀다. 창옥은 길도사가 시키는 대로
잠은 물론이고 물 한 모금도 처가 집에서 먹지 않고 집으로 돌아오자.
사람들은, "별 이상한 혼례도 다 보았다." 하며 비아냥댔다.
그런가 하면 신부측에서도 의아하게 생각했다. 그도 그럴 수밖에 없
는 것이 아닌 밤중에 날벼락처럼 혼례를 치른 신랑이 본가로 돌아가
버리자, 신부는 그대로 친정에 눌러있게 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4185C4A4FE953050F)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