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 心 寶 鑑立 敎 編(10) 范益謙座右銘에 曰 범익겸좌우명에 왈 범익겸의 좌우명에 말하기를,
一不言朝廷利害邊報差除이요 일불언조정이해변보차제이요 첫째, 조정에서의 이해와 변방으로부터의 보고와 임명에 대하여 말하지 말것.
二不言州縣官員長短得失이요 이불언주현관원장단득실이요 둘째, 주현의 관원의 장단과 득실에 대하여 말하지 말것.
三不言衆人所作過惡之事요 삼불언중인소작과악지사요 세째, 여러 사람이 저지른 악한 일을 말하지 말것.
四不言仕進官職趨時附勢요 사불언사진관직추시부세요 네째, 벼슬에 나가는 것과 권세에 아부하는 일에 대하여 말하지 말것.
五不言財利多小厭貧求富요 오불언재이다소염빈구부요 다섯째, 재리의 많고 적음이나 빈부를 구하는 것을 말하지 말것.
六不言淫渫戱慢評論女色이요 육불언음설희만평론여색이요 여섯째, 음탕하고 난잡한 농짓거리나 여색에 대한 평론을 말하지 말것.
七不言求覓人物干索酒食이요 칠불언구멱인물간색주식이요 일곱째, 남의 물건을 탐내거나 주식을 토색하는 것을 말하지 말것.
又人付書信을 不可開坼沈滯요 우인불서신을 불가개탁침체요 그리고 남이 부치는 편지를 뜯어 보거나 지체시켜서는 안되며,
與人拜坐에 不可窺人私書요 여인배좌에 불가규인사서요 남과 같이 앉아 있으면서 남의 사사로운 글을 엿보아서는 안되며,
凡入人家에 不可看人文字요 범입인가에 불가간인문자요 무릇 남에 집에 들어감에 남의 만든 글을 보지 말며,
凡借人物에 不可損壞不還이요 범차인물에 불가손괴불환이요 남의 물건을 빌렸을 때 이것을 손상시키고 돌려보내선 안된다.
범끽음식에 불가간택거취요 범끽음식에 불가간택거취요 무릇 음식을 먹음에 가려서 취하지 말며,
與人同處에 不可自擇便利요 여인동처에 불가자택편이요 남과 같이 있으면서 스스로의 편리만을 가리어 취하지 말라
凡人富貴를 不可歎羨저毁니 범인부귀를 불가탄선저훼니 무릇 남에 부하고 귀한 것을 부러워 하거나 헐뜯지 말라.
凡此數事에有犯之者면足以見用心之不正이라 범차수사에유범지자면족이견용심지부정이라 무릇 이 몇 가지 일을 범하는 자가 있으면 넉넉히 그 마음쓰는 것이 바르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於正心修身에大有所害라因書以自警하노라 어정심수신에대유소해라인서이자경하노라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는데 크게 해되는 바가 있는 지라. 이로 인하여 이 글을 써서 스스로 경계하노라.
즉, 범익경은 좌우명에서 열네가지 사람이 경계야 할 말로서 우 리가 처세하는데 있어서 거울로 삼아야 한다는 뜻이다.
※范益謙 ; 고대중국 인물 미상.
  ......^^백두대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