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작제건 설화

eorks 2018. 3. 23. 01:52


韓國의 說話


작제건 설화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할아버지 작제건에 관한 설화. 작제건을신성시하려는 의도로 구성한 설화이다. 왕건의 세계(世系)로 보면부계(父系)로서 확실한 조선(祖先)은 작제건이며 그 이전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작제건설화〉는 그의 탄생에 관련된 매몽(買夢) 관계와 용녀(龍女)를 취하여 아내로 맞이한 결연설화로 구분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보육(寶育)이 곡령(鵠嶺)에서 소변을 보아 삼한을 덮는 꿈을 꾸고, 형 이제건(伊帝建)에게 이야기하였는데 형은 제왕을 낳을 꿈이라면서 딸 덕주(德周)를 아내로 삼아 주었다.
이어 두 딸을 두었는데 아우의 이름이 진의(辰義)였다.
진의는 언니가 꿈에 오관산(五冠山)에서 다시 오줌이 천하를 잠기게 하는 꿈을 꾼 것을 비단 치마를 주고 샀다.
당나라의 황제가 잠저 시에 송악의 보육가에 와 묵게 되었는데, 찢어진 옷을 깁는데 언니는 코피가 나서 아우가 대신한 것이 인연이 되어 동침하고 작제건을 낳았다.
이것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김유신(金庾信)의 누이동생 문희 (文姬)·보희(寶姬)의 〈매몽설화〉에서 유래되었다.
작제건이 장성한 다음 아버지를 찾아 신물(信物)인 신궁(神弓)을 가지고 당나라 상선을 탔다.
해상에서 풍랑을 만나 점을 치니 고려인을 섬에 내려놓 으라 하였다.
한 노인이 나타나 자신은 서해 용왕인데 늙은 여우가 나타나 경을 외우면 두통을 일으키니 쏘아 달라는 것이었다.
약속한 대로 늙은 여우를 쏘아 죽이니 용왕은 용궁으로 초청하였고, 용녀를 아내로 삼아 칠보와 양장(楊杖) 및 돼지를 얻어 돌아왔다.
이 용녀와의 혼인설화는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거타지설화 居 厄知說話〉에서 크게 영향을 입었고, 더 나아가 보양사(寶壤師)의 용자 이목(梨目)을 부리는 이야기와도 연관되어 있다.
또, 이 소재는 후대의 소설에도 이용되었으며, 상대의 중국 설화와도 관련되어 있다.
이 설화는 고대설화를 이용하여 계통이 약한 고려 왕계의 우수성을 내보이려고 신성화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매몽 관계나 용신 관계 설화가 공히 우리 민족의식 속에 깊이 뿌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 高麗史, 世宗實錄, 帝王韻紀, 東國輿地勝覽, 說話文
                    學 槪說(張德順, 二友出版社, 1974), 韓國古說話論
                    (金鉉龍, 새문社, 1984).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바위 설화  (0) 2018.03.25
잘못 쓴 명당(明堂) 설화  (0) 2018.03.24
자점 설화(字占說話)  (0) 2018.03.22
자린고비 설화  (0) 2018.03.21
잉어의 보은(報恩)설화  (0) 2018.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