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주천(酒泉)설화

eorks 2018. 4. 11. 02:15


韓國의 說話


주천(酒泉)설화

  샘에서 저절로 술이 나왔다는 내용의 설화.                                
‘술 나온 우물’, ‘주천(酒
泉)설화’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 몇 군데에 이 설화의 증거물이 실화
처럼 전해 오고 
   있다.                                                                                           
  술은 기호품으로 공짜 술이 생기기를 바라거나,
마셔도 마셔도
   마르지 아니하는 술이 나오는 기적의 샘물을 소원하는
것은 인
  지상정이다.                                                                              
   이 소원대로 전에는 술 나오는 샘이 있었으나 지금은 말랐거나
   맹물
만 나온다는 이야기로, 그 사라진 동기는 과욕·부정(不淨),
   신분 질서
의 무시 등 비도덕적인 사람 때문이라고 설명되고 있
다.                                                                                          

‘술 나오는
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다.


①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안인리에서 약 6㎞ 떨어진 고개에 주       천이 있다.
     이 고개를 좌우로 하는 두 마을 사람들이 고개 근처의 큰 탱 자
     나무 아래에 있는 주천에서 솟아나는 술을 퍼 마셨다.
     그런데 한없이 아무렇게나 먹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대추
     한 개, 술 한 잔씩을 마셔야 하며 한 잔 이상 먹어서는 안 되었
     다.
     어느 날 지나가던 중이 너무 목이 말라서 자신의 신분을 잊고
     주천의 술을 여러 잔 마셨더니 그 뒤로는 주천이 부정을 타서
     말라 버렸다고 한다.
     지금도 고갯마루 큰 대추나무근처 청석(靑石)이 깔려 있는 데
     에 술샘의 흔적이 있다.

② 경기도 연천에 ‘녹로주전’이라는 곳이 있다.
     서울에서 8㎞ 길을 가자면 목이 마른 어느 고개에 막걸리가 나
     오는 주천이 있었다.
     꼭 한 사람이 한 바가지만 마셔야 되는데 어느 술꾼이 욕심 사
     납게 두 바가지를 마신 뒤로 술이 나오지 않았다.

③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황정리에는 원통암(圓通庵)이라는 절
     이 있는데 그 절 근처에 칠성암이라는 바위가 있다.
     그리고 그 옆에 주천이 있었다.
     그런데 그 샘은 욕심 많은 중 때문에 부처가 노하여 술이 나오
     지 않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과 공부하던 선비가 그 곳에 말뚝을 박았는데 성판
     서(成判書)가 울릉도에서 가져온 향으로 그곳에 불을 피우니
     술 대신 물이 나와 식수로 썼다 한다.

④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에 주천이 있었다.
    신분에 따라서 양반이 가면 약주가 나오고 상놈이 가면 막걸리
    가 나왔다.
    한 번은 상놈이 양반인 척하면서 의관을 정제하고 갔는데 여전
    히 막걸리가 나오는지라
    “이놈의 물조차 사람을 알아본다.”고 하며 때렸다 한다.

⑤ 경상북도 어느 곳에 주천이라는 곳이 있다.
     양반이 가면 청주가 나오고 상놈이 가면 탁주가 나왔는데, 어
    떤 아전이 공부하여 관장(官長)이 되어 갔는데도 여전히 탁주
    가 나오는지라 화가 나서 주천을 막아 버렸다 한다.

⑥ 민담으로, 술을 즐기는 아버지를 위하려는 효자가 기적적으로
    이상한 돌을 얻어서 샘에 넣었더니 주천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
    기도 전해진다.
    주천은 자연이 인간에게 준 큰 선물이므로 소중하게 여기고 감
    사한 마음으로 절제를 하며 마셔야 되는데, 이런 경건한 자세가
    없어서 말라 버렸다.
    가치가 있는 보물이나, 보물같이 인간에게 소중한 여러 가지
    (학문·예술·제도·사회·국가·가정 등)는 인간이 함부로 대할 때
    그 가치를 상실하여 오히려 해를 입힐 수 있 는, 인간의 속성에
    대한 충고의 기능이 있다.
    술은 나오지 아니하나 젊어지는 샘물, 마르지 아니하는 동네 우
    물, 먹으면 힘이 세지는 장군수(將軍水) 같은 소중한 물이 나오
    는 샘 물설화도 많은데, 지금 사라진 것도 주천과 같이 귀중한
    것을 천 대한 자업자득이라고 화중(話衆)은 말한다.



주천설화의 골격은 사람의 순수한 소원, 그 소원 달성이라는 신이나 자연이 베푸는 기적, 이 기적을 감사할 줄 모르고 오용(誤用)하는 인간의 처신, 그 결과 주천은 사라지고 교훈만 남은 이야기로 암시하는 바가 많다.


[참고문헌] :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1988), 내 고장 전통문화(청도군편집위원회, 1981).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