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의 說話
포산이성 설화
신라시대 관기(觀機)와 도성(道成) 두 성사(聖師)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5 피은편(避隱篇) 포산이성(包山二聖)에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때 관기와 도성 두 성사는 포산(包山 : 경상북도 현풍(玄風)에
있는 琵瑟山의 옛 이름)에 숨어 살았다.
관기는 남쪽 고개에 암자를 지었고 도성은 북쪽 굴에 살았는데 10리
가량 떨어져 살았다. 두 성사는 구름 길을 헤치고 달밤이면 노래하면
서 서로 내왕하였다.
도성이 관기를 부르면 산속의 나무가 모두 남쪽을 향하여 굽히며 서
로 영접하는 것 같았으므로 관기는 이를 보고 도성에게로 갔으며, 관
기가 도성을 맞이하고자 하면 역시 나무가 북쪽을 향하여 구부러져
도성이 관기에게로 갔다.
도성이 하루는 그가 거주하던 뒷산 바위 사이에서 몸을 빼어 나가 온
몸을 하늘에 날리며 떠났는데 간 바를 알 수 없었다. 관기도 도성의
뒤를 따라 몸을 날려 세상을 떠났다. 지금도 두 성사의 거처하던 터가
남아 있으며 도성암(道成巖)은 높이가 두어 길이나 되어 후인들이 그
곳에 절을 지었다.
태평흥국 7년(982)에 승려 성범(成梵)이 이 절에 살면서 미타도량
(彌陀道場)을 열어 부지런히 불도를 닦았는데 여러 차례 상서(祥瑞)가
일어났다. 이 때 현풍의 신도들은 해마다 포산에서 향나무를 채취하여
절에 바쳤는데 향을 쪼개어 발 위에 펼쳐 두면 그 향나무가 밤에는 촛
불처럼 빛을 발하여 두 성사의 영감으로 반응을 보였다.
그 산속에서는 일찍이 아홉 성사(聖師)의 유사를 기록하였는데 지금
그 내용은 전하지 않으나 아홉 성인은 관기·도성·반사(祁師)·첩사(楣
師)·도의(道義)·자양(子陽)·성범(成梵)·금물녀(今勿女)·백우사(白牛師)
이다.
그중 반사와 첩사는 반(祁)이 피나무〔雨木〕라는 뜻이며 첩(楣)은
갈나무〔加乙木〕라는 뜻인데 이들은 함께 산속에 숨어 살며 나뭇잎
을 엮어 옷을 삼아 추위와 더위를 지내며 하체를 가리웠기 때문에 반
첩으로 호를 삼았다.
옛날의 은자(隱者)들은 대개 세속을 떠난 운치가 반사와 첩사 같은
자의 행위를 본으로 여겨 우러렀으나, 일연(一然) 자신도 이를 실제
본받아 좇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논술하고 있다. 관기와 도성 두
성사의 삶은 마치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의 삶과도 유사한 바 있다.
[참고문헌] : 三國遺事.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