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효자할고 설화(孝子割股說話)

eorks 2018. 5. 15. 00:05


韓國의 說話


효자할고 설화(孝子割股說話)

       신라 경덕왕 때 향덕(向德)이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아
       버지를
봉양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효행설화에 속하는 설화 유형으로,
≪삼국유사≫ 권5 효선
     (孝善) 제9와 ≪삼국사기≫ 권9 신라본기 제9
경덕왕(景德
        王) 14년조 및 동 권48 열전 제8 향덕조에도 실려 있다.         
      세 기록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그다지 큰 차이는 없으나, 열
전의 것이
다소 상세하게 되어 있다.                              


≪삼국사기≫‘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 따르면 향덕은 웅천주 (熊川州 : 지금의 公州) 사람으로, 흉년이 들어 그 아버지가 거의 굶 어 죽게 되자,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했다.
고을 사람들이 이 사실을 자세히 위에 아뢰니 왕이 곡식[租] 500석을 상으로 주었 다고 한다.
‘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는 이 같이 매우 간략한 내용이 실려 있는 데 비해, ≪삼국사기≫ 열전조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이 더 기록되어 있 다.
즉, 향덕은 웅천주 판적향(板積鄕) 사람이며, 그 아버지의 이름은 선(善)이요 자는 반길(潘吉)인데, 모친의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경덕왕 14(755)에 큰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리고 더구나 나쁜 병까지 돌아 향덕의 부모 역시 병이 들었고 특히 그 어머니는 콧병으로 위독하였는데, 향덕이 어머니의 코를 입으로 빨아 병을 낫게 하였다는 것, 임금이 곡식 300석과 집 한 채 외에 전답 약간을 하사하였다는 것, 그리고 후에 그의 효행을 기려 그가 살던 마을을 효가리(孝家里)라고 일컬었다는 것 등이다.
열전에는 향덕의 사적에 이어 같은 ‘할고공친’ 효자인 성각(聖覺)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같은 ‘할고공친’ 설화는 ‘단지공친(斷指供親)’ 설화 및 ‘효감생물자 래(孝感生物自來)’ 설화와 아울러 가장 보편적인 효행설화 유형이다.
후대의 ≪신증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의 예를 보더라도, 권17 공주 고적조의 ‘효가리’의 향덕 이야기를 비롯하여 이 ‘할고공친’ 유형 사례가 18개, ‘단지공친’ 유형 사례가 71개, ‘효감생물자래’ 유형 사례가 50개가 수록되어 있을 정도이다.


[참고문헌] :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增東國輿地勝覽.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미수 설화  (0) 2018.05.17
향랑 설화  (0) 2018.05.1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  (0) 2018.05.14
해명 태자 설화   (0) 2018.05.13
함몰(陷沒) 설화  (0) 2018.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