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의 說話
효자할고 설화(孝子割股說話)
신라 경덕왕 때 향덕(向德)이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아 버지를 봉양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효행설화에 속하는 설화 유형으로,≪삼국유사≫ 권5 효선 (孝善) 제9와 ≪삼국사기≫ 권9 신라본기 제9 경덕왕(景德 王) 14년조 및 동 권48 열전 제8 향덕조에도 실려 있다. 세 기록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그다지 큰 차이는 없으나, 열 전의 것이 다소 상세하게 되어 있다. ≪삼국사기≫‘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 따르면 향덕은 웅천주 사람으로, 흉년이 들어 그 아버지가 거의 굶 어 죽게 되자,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했다. 고을 사람들이 이 사실을 자세히 위에 아뢰니 왕이 곡식[租] 500석을 상으로 주었 다고 한다. ‘향득사지할고공친’조에는 이 같이 매우 간략한 내용이 실려 있는 데 비해, ≪삼국사기≫ 열전조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이 더 기록되어 있 다. 즉, 향덕은 웅천주 판적향 사람이며, 그 아버지의 이름은 선이요 자는 반길인데, 모친의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경덕왕 14년에 큰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리고 더구나 나쁜 병까지 돌아 향덕의 부모 역시 병이 들었고 특히 그 어머니는 콧병으로 위독하였는데, 향덕이 어머니의 코를 입으로 빨아 병을 낫게 하였다는 것, 임금이 곡식 300석과 집 한 채 외에 전답 약간을 하사하였다는 것, 그리고 후에 그의 효행을 기려 그가 살던 마을을 효가리라고 일컬었다는 것 등이다. 열전에는 향덕의 사적에 이어 같은 ‘할고공친’ 효자인 성각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같은 ‘할고공친’ 설화는 ‘단지공친’ 설화 및 ‘효감생물자 래’ 설화와 아울러 가장 보편적인 효행설화 유형이다. 후대의 ≪신증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의 예를 보더라도, 권17 공주 고적조의 ‘효가리’의 향덕 이야기를 비롯하여 이 ‘할고공친’ 유형 사례가 18개, ‘단지공친’ 유형 사례가 71개, ‘효감생물자래’ 유형 사례가 50개가 수록되어 있을 정도이다.
[참고문헌] :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增東國輿地勝覽.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