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호원설화(虎願說話)

eorks 2018. 5. 24. 00:47


韓國의 說話


호원설화(虎願說話)

신라 때 처녀로 변신한 호랑이가 김현(金現)과 부부 인연을
맺은 뒤
그를 위해 죽음을 택했다는 설화.                           
    ≪삼국유사≫ 권5 효선편(孝善篇)
김현감호조에 수록되어 있
     다. ‘호원설화(虎願說話)’라고도 한다.                                      
     두 편의 설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김현설화’이고, 다른
     하나
는 ‘신도징설화(申屠澄說話)’이다.                                     
  이 두 편의 범 설화를≪삼국유사≫
에 편입시킨 일연(一然)의
   의도는 한국 설화인 〈김현설화〉와 중국
설화인 〈신도징설화〉
  를 통하여 전자에 나타난 범의 좋은 구실과
후자에 나타난 나
  쁜 구실을 대비하여, 범의 좋은 구실을 내세우는
데 있다고 생
 각된다.                                                                                   

〈김현설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신라 원성왕 때에 매년 2월이 되면 8일부터 15일까지 연 8일 동안 남녀가 모여 복을 빌기 위하여 흥륜사(興輪寺)의 전탑(殿塔)을 도 는 복회(福會)가 있었다.
이 때, 김현이 복회에 참석했다가 염불을 하며 따라 도는 한 처녀를 만났다.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하게 되어 정을 통한 뒤 처녀의 집으로 갔다. 그 처녀 집 주인 노파는 김현을 보더니, 처녀의 오빠들인 삼호 (三虎)가 해칠 것을 염려하여 김현을 숨겨 두라고 하였다.
얼마 지나 호랑이 세 마리가 나타나 사람 냄새를 맡고 어흥거리며 김현을 찾았다.
이 때, 하늘에서 삼호가 즐겨 사람의 생명을 많이 해치므로 한 마리를 죽여 징계하겠다고 경고하였다.
이 말을 들은 삼호가 매우 근심 하자 처녀는 자기가 대신 하늘의 벌을 받겠다고 하니 삼호는 즐거워하며 모두 달아나 버렸다.
그 뒤 처녀는 김현에게 말하기를 “나는 비록 그대와 유(類)가 다르 지만 이미 부부의 인연을 맺었다.
이제 내가 집안의 재앙을 막기 위하여 대신 죽고자 하는데, 다른 사람의 손에 죽는 것보다는 그대의 칼에 죽어 은덕에 보답하고자 한다.
내일 내가 시장에 들어가 해를 끼치면, 대왕은 반드시 중록(重祿 : 아주 많고 후한 녹봉)으로써 사람을 뽑아 나를 잡으려 할 것이니, 이 때 낭군이 겁내지 말고 나를 쫓아오면 내가 그대에게 잡히겠다.”고 하였다.
김현은 거절하였으나 처녀는 자기의 요수(夭壽 : 젊은 나이에 죽음.) 는 천명으로 자기의 소원이며, 또한 낭군의 경사이며 아울러 자기 집안의 복이요 나라의 기쁨이니, 이는 하나의 죽음으로 여러 가지 이익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라고 하면서 자기가 죽은 뒤에 절을 세우고 불경을 읽어 줄 것을 부탁하였다.
다음날 호랑이를 잡는데 성공한 김현은 그 뒤 벼슬에 올랐고, 호랑이를 애도하기 위하여 절을 지어 호원사(虎願寺)라 이름하고, 항상 범망경(梵網經)을 읽어 호랑이의 저승길을 빌어 주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김현설화〉는 호랑이가 처녀로 변신하여 김현과 부부 의 인연을 맺은 뒤, 자기의 세 오빠들을 살리고 국가의 어지러움을 없애며, 김현을 출세시키기 위하여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는 살신 성인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신도징설화〉는 이와는 달리 범이 나쁜 구실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중국 당나라에 살던 신도징이 야인으로서 한주(漢州) 지방 현위 (縣尉)에 임명되어 임소로 가다가 진부현(眞符縣)에 이르러 눈바람을 만났다.
이를 피하여 어느 모사(茅舍)에 들어갔다가 그곳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처녀를 만났다.
그녀는 허름한 차림으로 있었지만 살결과 얼굴은 매우 아름다웠다.
신도징은 그 집에서 하루를 묵는 동안에 늙은 주인의 후대를 받고, 처녀와 혼인의 예를 올려 그 집의 사위가 되었다.
그 뒤 신도징은 그 처녀를 데리고 임소에 이르렀다.
봉록은 매우 적었으나 그의 아내가 힘써 살림을 잘 꾸려 나갔고, 또한 11녀를 얻어 그녀는 현모양처가 되었다.
신도징은 임기가 끝나자 가족을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아내가 고향을 그리워하여 함께 처가에 갔다.
그러나 처가의 식구는 아무도 없었다.
아내는 부모를 생각하며 종일 토록 울다가 벽 모퉁이에서 호피 한 장을 보고는 크게 웃으며, 그 호피를 쓰자 호랑이로 변하여 나가 버렸다.
이에 놀란 신도징이 두 자녀를 데리고 쫓아가 숲속을 찾아보았으나 끝내 아내의 행적을 알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신도징설화〉에서는 호랑이의 구실이 사람에게 이로 움을 주는 것보다는, 호랑이가 처녀로 변신하여 신도징과 부부의 인연을 맺고 자식까지 낳아 가정을 이루었으나, 다시 호랑이로 되 돌아가 신도징을 배반함으로써 가정을 버린다는 좋지 않은 구실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어, 앞의 〈김현설화〉와는 대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일연이 호랑이가 아름다운 구실을 하는 〈김현설화〉와 모진 구실을 하는 〈신도징설화〉를 아울러 ≪삼국유사≫에 삽입 시킨 목적은, 호랑이의 아름다운 구실을 내세워 결과적으로 불교적 권선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김현감호설화〉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신도징설화〉가 중국의 방대한 설화집인 ≪태평광기≫에서 연유되었다는 사실이다.
〈신도징설화〉가 ≪태평광기≫에 삽입된 〈신도징 申屠澄〉과 직 결됨으로써, 우리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할 당시 이미 ≪태평광기≫를 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중국의 ≪태평광기≫가 이미 13세기에 한국 문헌에 그 내용 이 반영되기 시작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이를 통하여 ≪태평광기≫가 13세기경에 우리 나라에 전해 왔다는 추견설(推見說)을 확증설로 바꾸어 놓은데 의의가 크다고 본다.


[참고문헌] : 三國遺事, 太平廣記(李昉撰, 臺灣新興書局),申屠澄說
                    話攷 (丁奎福, 童山申泰植博士古稀紀念論叢, 1979).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쥐(魂-) 설화  (0) 2018.05.26
혹부리 영감 설화  (0) 2018.05.25
호랑이와 곶감 설화  (0) 2018.05.23
호랑이 담배 먹게 된 유래 설화  (0) 2018.05.22
호랑이의 꼬리낚시 설화  (0) 2018.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