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과 신살
당나라 이래 역술가들이 生年을 이용해 論命을 많이 했는데 그 法은 生年 干支의 納音을 爲主로 하고 月日時의 納音을 補助로 해 그 生剋의 대강을 보았다.
다음으로 各干支의 五行을 취해 抑扶했는데 남아있는 책이 많지 않으나 往往 理致가 있으므로 전해져 오다가 徐子平에 이르러서 전적으로 日干으로 論命한 것이 宋代에서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신살(神殺)이란 오행과 십신의 장식물로 사주와의 선악을 관련하고 있으며, 사물의 최종적 所在와 物像과 氣勢를 자세하게 파악하게 하는 指標이다. 신살은 120여개가 넘으며, 오성학(당사주)에서 발전한 것임으로 명리학에서는 단지 참고로만 보는 것이 좋다.
신살은 년지를 중심으로 하여 삼합과 육충이 기준이 됨으로 아래 외의 신살은무시해도 된다.
해(亥)는 천문(天門;乾)으로 만물의 원자인 핵(核)이 되고, 술(戌)은 지망이 되고, 자(子)는 전자와 원자로 만물의 원소가 된다.
진(辰;용, )은 천라(天羅)로 천간의 5합이 진에서 이루어지며, 운우지정으로 합하여 용이 되면 승천하고, 불합되어 추락하면 무기로 전락된다.
축(丑;肝)과 미(未;坤)는 태풍이 미에서 축으로 부는 방이다. 귀인 신살이 대부분 삼합과 천라지망과 축미에서 기원한다.
六合의 災殃은 堪當할 수 없으니, 망신, 겁살처럼 상세히 살펴야 한다. 合하는 神煞이 가장 凶하니 合하면 氣가 모이고, 沖하면 氣가 흩어지는 연고라 했는데 沖하면 氣가 흩어질 뿐이다.
吉神이 合하면 氣가 모여 福이 많지만, 凶煞이 合하면 氣가 모여 더욱 凶하다. 沖하면 禍福이 모두 흩어지니 禍福이 없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天月二德; 천덕은 인신사해의 월은 장생의 기와 같은 오행의 음간이 천덕이 된다. 진술축미의 월은 묘고의 오행이며 양간이 천덕이 된다. 자오묘유의 달은 왕지로 건곤손간의 四 天德은 해당되는 천간이 없다.
正月은 丁, 二月엔 坤(申), 三月은 壬이고, 巳月엔 辛, 午月은 乾(亥), 六月은 甲이 되고, 七月은 癸, 八月은 艮(寅), 九月엔 丙이 되며, 十月은 乙, 十一月은 巽(蛇), 十二月은 庚이다.
月德은 삼합의 왕기를 주간하는 양간으로, 亥卯未月은 甲, 寅午戌月은 丙, 巳酉丑月은 庚에 있고 申子辰月은 壬에 있다.
사주에 천월 2덕을 갖고 있으면 多多益善한데 吉한자는 吉을 더하고 凶한자는 凶을 덜며, 財官印食에 임하면 그 福을 배나 더한다. 설사 梟殺劫傷에 臨하더라도 橫暴함을 利롭게 化하며 만약 二德이 沖剋을 만나면 무력해진다.
天神의 尊貴者로 斗牛(註:북두성과 견우성) 사이에 거하면서 井鬼(正星-28宿의 하나) 다음에 나와 才能을 평가하고 德을 베푸니 諸神煞이 모두 피하고 숨는다.
천을귀인은 최고의 길신으로서 일생 살아 가는데 비명횡사가 거의 없다.
이 귀인이 있는 사주는 조상이 돌보는 사주이므로 제사,성묘 등 조상 섬기기를 잘 해야 한다.
陽의 귀인은 동지 후에 井鬼뒤에서 일어나 各支로 順行하는데 甲日은 未, 乙日은 申, 丙日은 酉, 丁日은 亥에 임하고, 己日은 子, 戊庚日은 丑에 임하고, 辛日은 寅, 壬日은 卯, 癸日은 巳에 임하지만, 辰은 天羅, 戌은 地網이기 때문에 이쪽으로는 臨하지않는다.
음이 주관하는 하지부터는, 甲日은 丑, 乙日은 子, 丙日은 亥에 임하고, 丁日은 酉, 己日은 申이고, 戊庚日은 未에 임하고, 辛日은 午, 壬日은 巳, 癸日은 卯에 귀인이 임한다.
人命이 夏至後에 生할때 甲日主에 丑이 있으면 貴人이 그 方에 바로 臨한 것으로 吉을 돕고 凶을 풀며, 貴人이 未에 임한 것은 썩좋은 것은 아니다.
무경은 하지부터는 미가 주관하고, 동지부터는 축이 주관한다. 日貴는 일지가 천을귀인이 되는 것으로 丁酉, 丁亥, 癸卯, 癸巳 四日으로 吉을 도운다. 空亡; 공망이란 甲子旬中에서는 戌亥가 空亡이 된다.
대개 十干을 各支와 짝해 다 나눠서 배열해 보면 甲子에서 癸酉 까지 짝을 이루어 가다가 그치고 戌亥二支가 남아 十干의 동아리 안에는 들지 않으니 이것을 空亡이라고 한다.
공망은 生日로 推論하는데 失時하면 眞空이 되고 得時하면 半空이 된다. 예를들어 命中에 吉흉神이 眞空이 되면 吉흉은 10 분의 7 이 減하고 半空이 되면 10에 3 이 減한다.만일 扶助함이 있으면 眞空도 半空의 吉凶과 같아진다.
충극을 만나면 半空은 眞空과 같아지고 眞空은 吉凶 모두 없어진다. 運에서 원래 四柱에서 공망된 神을 다시 만나면 塡實이 되어 空이 안되고 만약 원래 없는 것을 運에서 만나면 空으로 論한다. 그러나 原局에서 만난것보다는 덜하다.
劫煞; 亥卯未 太歲에서는 申이 劫煞이 되고 寅은 亡神이 되며 巳酉丑 太歲에서 寅은 劫煞이 되고 申은 亡神이 되며, 寅午戌 太歲는 亥가 겁살이 되고 巳가 亡神이 되며 申子辰 太歲에서는 巳가 劫煞이 되고 亥가 亡神이 된다.
삼합의 왕지가 자기 밖에서 빼앗기는 것을 겁살이라고 하고, 자기 안에서 잃는 것을 망신이라고 한다.
용법은 劫,刃가 같아 吉神이 동주하면 권위가 있고, 凶神이 타면 剋하게 되나, 七殺이나 羊刃보다 덜하다. 驛馬살; 역마란 三合局에서 비롯하여 그 生動한 氣를 驛馬라 칭하여 取한 것이다.
命中에 吉神이 驛馬가 되면 관리가 昇進하는 기쁨이 있고 적게는 움직임이 순조롭다.
凶神이 驛馬가 되면 크게는 나아가다 실패하는 근심이 있고 적게는 분주하게 쏘 다니는 수고로움이 있다. 沖을 만나면 말에 채찍질을 하는 것과 같고 合을 만나면 말의 다리를 잡아매는 것과 같은 기반이니, 行運, 流年도 같다.
이동살이며 교통 정보 통신 수단과 관련있으며, 객지에 나가며 해외와 인연이 있고, 활동력이 있다. 역마살이 월지에 있으면 주유천하를 섭렵하여 군자의 기질을 가지고, 일주에 있으면 불안정하여 한 곳에 오래 머물지를 못해 직장 이동이나 주거 변동이 많다. 역마살은 생년을 기준으로 삼합의 첫 글자와 충되는 것이 바로 역마살에 해당된다. 해묘미생은 사, 인오술생은 신이다.
인기살이며,끼가 많아 사람을 끄므로 대중적 활동자에게는 좋은 살로서 생년을 기준으로 삼합의 첫 글자의 바로 뒷 글자가 도화살에 해당한다. 일시에 도화살은 자신의 영역이나 집안의 사치를 선호하며, 년월의 도화살은 밖에서 새는 것으로 불륜관계에 휘말린다. 해묘미 생은 자, 인오술 생은 묘가 도화살에 해당한다.
예술 종교 신앙 교육과 연관되며, 사색과 명상을 많이하는 고독살이다. 생년 기준으로 삼합의 마지막 글자로서 해묘미 생은 미,인오술 생은 술이다. 대개 진술축미가 두개 이상 있으면 승려의 명이 될 수 있거나,고독한 팔자이다.
재물과 관련된 신살로,5양간의 왕지로 겁재이며, 칼을차고 있는 격이다. 칼을 잘 쓰면 의사나 무관이 되며, 잘못쓰면 흉기가 된다. 사주에 관살이 없거나, 식상으로 설기가 잘 안되면 연중행사로 일이 발생(손재,처나 부친을 극하거나,건강 이상,부하나 아랫사람을 친다거나 주색잡기,이별사고 등)이 있다. 양인살의 장점은 신약할 때 일간의 뿌리가 되어 도와주므로 자신감 배짱 추진력 보스기질 공평정대 의협심 자수성가 할 수 있는 외유내강형의 인물이 된다. 이 살의 단점은 오만 독선 폭군적 오기 저돌적 고집 냉혹하며 라이벌과 배신자가측근에 있고,속성속패 할 확률이 많다. 월일시연지 순으로 양인살이 강하며, 이 살의 선악은 관살의 유무로 판정해야 한다. 양인살의 소유자는 부모 형제 친구 등 가까운 사람과 가능한 한 멀리 하며, 금전거래 보증 담보는 하지 말 것이고 객지로 나가는 것이 좋다. 항시 베푸는 마음을 가질 것이다. 여자가 양인살이 강하면 남편에게 뒷바라지를 잘하지도 않으며 시집을 무시하고 제마음대로 행동하고 돈을 너무 잘 쓴다. 양인살의 살기가 뻗칠 때는 년월의 양인과 충되는 달이고, 재성운, 양인과 형 또는 합이 될때로 조심해야 한다. 단, 사주에 편관, 정관이나 식상이 있으면 양인살을 잘 다스려 잘 넘길 수 있다. 다스릴수만 있는 역량이 있으면 양인살도 괜찮다.
천간에만 해당하며 하늘의 기운이 기이하게 움직이는 기운이라 하며, 남보다 좋은 면으로 독특, 유별하여 기발한아이디어와 머리 성격을 가진다. 天上三奇-乙丙丁(밤 출생) : 기발, 선비스타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地上三奇-甲戊庚은 낮에 출생해야 부귀장수, 명예가 높다.
신동, 괴짜,수재 형이다. 문창성: 학문, 머리 활동력, 예술 창작성을 의미하는 귀인이다. 관성과 인성이 있어야 좋고, 신왕하며 형충파해가 없어야 한다. 임인, 계묘, 무신, 기유 일주는 일지 문창성이다.
양일간은 지지의 식신이나 편재가 병이면 문창 귀인이 되고, 음일간은 식신이나 편재가 장생이면 문창 귀인이다.
양일간은 편인이나 편관이 장생이면 문곡 귀인이 되고, 음일간은 편인이나 편관이 병이면 문곡 귀인이 된다. 문곡 귀인이 잇으면 노래 재능이나 연예인 기질이 농후하다.
살중의 악살이라 하며, 있어서는 안될 횡액을 대낮에 당할 수 있다는 흉살이다. 횡액, 급사, 비명횡사, 사고사,예측 불가능 흉사, 요절, 자살 등을 의미하며, 일주에 붙은 백호살이 가장 흉하다. 백호살 일주는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이며, 자신이나, 육친관계와 연관지어 말할 수 있다.
재성 백호살이어서 비겁이 많으면 처가 비명 횡사 또는자살 하거나,부친이 살이 낀다. 병술, 정축일주: 신약한 여자는 산액이나 자궁외임신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남자는 장모 조모가 문제가 있다.
남녀 모두 이별을 의미(형제나 부친),질병을 암시한다. 임술, 계축일주: 남편자리가 백호살이므로 관성이 약하거나 식상이 많으면 남편이 비명횡사나 이별 이혼등을 암시한다.
타인을 꽤 괴롭히는 신살로서, 양인살 백호살 괴강살과 함께 4대악살 중의 하나이다. 子未, 丑午, 寅酉, 卯申, 巳戌. 辰亥 怨眞殺과 子酉, 寅未 가 포함된다. 일과 시 또는 일과 월에 있을 때 강하고, 바로 붙어 있을 때만 본다. 귀문관살의 현상은 편집증처럼 한가지 일에 집착하고 몰두하며 감성과 이성이 자주 교차하고, 원망 불평을 많이 하면서 원망이 증오로 변해 복수심을 갖기도 하고,과거 얘기에 집착하고 일방적인 대화만을 고집한다. 두뇌가 좋은 사람들 중에는 병원에 가도 잘 낫지 않는 정신 신경질환에 시달리기도 하며, 의처증 의부증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열등감에 시달리며, 변덕이 잦고 때로 공포심이나 초조감도 많아 히스테리칼하고 불면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귀문관살이 발생될 경우는 주로 일간이 극신약할 때, 水火가 相戰하거나 金木이 相克할 때, 印性이 약하거나 깨져 있을 때이다.
경진 경술 임진 무술 일주에 붙은 살로서 아주 똑똑하고 추진력이 강하고 남을 제압할 정도로 억세다. 모든 길흉에 극단으로 작용하여 예측불허하며 보수적이고 단순한 일면도 있다. 군인 경찰 사법관이나 운동가 열사 불량배가 많다. 괴강살 여성은 남편이 무능해 한량이 될 우려가 있고 남편이 잘 나가면 독수공방하거나 첩 꼴을 볼 수도 있다. 4대 악살이 있는 사람은 命運歲 간지의 6자중에 천라지망이나, 형충을 보면 교통사고를 신중히 방비해야 한다.
땅에 그물이 쳐 있다는 의미로 매사 장애가 많다.일시에 진사가 있는 것이다. 사주 격이 좋으면 경찰, 군인, 세무, 안기부, 언론계 등에 근무한다. 행운에서 天羅地網(진사 술해)을 모두 만나면 進取해서는 안된다.
戌亥가 연이어 있을 때이며, 정신적 측면이 남다르며 영감 직감이 빨라 기공,무당 등 정신세계에 빠져들기도 한다.
병자 병오, 정축 정미, 무인 무신, 신묘 신유, 임진 임술, 계사 계해가 음양살이며, 음양살이 일주에 있으면 중년에 외가의 가세가 하락하고, 시주에 있으면 처가의 가세가 하락한다. 삼재살의 삼재란 관재(官才)와 손재(損財)와 인재(印才)의 부귀공명에 관련된 손재를 말한다. 인오술의 띠는 신년에 삼재가 들어 오고, 유(닭)년에 머물다가 술(개)년에 나간다. 신자진의 띠는 인년에 들어 와 용의 해에 나간다. 해묘미의 띠는 뱀의 해에 들어 와 양의 해에 나가고, 사유측은 해년에 들어 와 소의 해에 나간다. 결론적으로 말해 누구던지 12년마다 3년간은 삼재가 들어 오며, 그렇다고 삼재살을 맹신해서는 안 된다. 삼재살이 일년 중에 미치는 영향은 일할정도이고, 대운이 좋거나 용신의 운이면 별 손해나 탈이 없이 지나간다. 홍염살은 이성에 인기가 있고, 갑과 을은 오, 병은 인, 정은 미, 무와 기는 진, 경은 술, 신은 유, 임은 자, 계일주는 신이 홍염살이 된다.
인묘진의 해는 사가 고진살이고, 축이 과숙살이며, 사오미는 신이 고진살이고, 진이 과숙살이다.
장례식이나 문병을 가거나 외출시 喪家를 만나면 안되고 돌아서 가야한다. 연운으로 보는 신살로 상(喪)이나 우환이 많은 해가 될 것이다. 상문살은 당해년도 지지의 두 지지가 앞선 것이고, 조객살은 뒤의 두번째 지지이다. 신사년에 해당하는 상문살은 묘이며, 조객살은 미(未)에 해당한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