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六親)과 십신(十神)과의 관계(3)
월지(월령)에서 당령한 용신으로 보고 개인의 천성을 간주한다.
양 일간은 자존심이 지나치게 강하여 남애게 지는 것을 싫어하는 형으로 융통성이 없어 남과 잘 충돌한다. 음 일간은 협동심이 강하고 원만한 성격이다.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자존심이 강하고, 비사교적 성격이다. 비견이 충을 당하면 대인관계가 나쁘고 시비를 잘 한다. 비견 겁재가 많으면 수입보다 지출이 많다.
자존심이 강하나, 내성적 성격으로 자기를 노출하지 않는다.자존심을 내면으로 감추고 있기때문에 양보도 하여 대인관계가 비교적 원만하지만 속으로는 사람을 무시한다. 강한자에겐 순종하지만 약자에는 강하다. 내면적으로 냉혹한 면도 있고 성미가 까다로워서 밖에서는 무난한 사람이어도 집에 들어오면 폭군으로 변하기도 하고 잔소리가 많다. 자존심이 강하여 출세할 수도 있고, 도박과 투기를 좋아해 패가망신도 한다. 다른 사람과 공동사업은 해롭다. 사주애 겁재가 많으면 사람이 졸렬하고 외면으로는 온화해도 내심은 사악하다. 겁재와 양인이 여러 개 있으면 성질이 강폭하다.
낙천적 성격이라, 몸이 풍만한 것이 특징인데 혹 매마른 사람도 중년 이후부터 갑자기 살이 찌는 경우가 많다. 대범하게 보이고, 선천적으로 관용의 미덕을 지녀 여간해서는 남을 원망하지 않눈다. 도량이 넓고 명랑한 성격이며 미식가이다. 그러나 온후하고 대범한 반면에 어느 정도는 가증스러운 면도 있고 조급한 면도 있다. 절약 정신도 있으나 교쟤면에서 인색하다는 말은 듣지 않은다. 성격이 소극적이어서 큰 사업을 하는 데는 부적당하다. 사주애서 상관을 포함하여 식상이 3걔 이상이면 자기 본위적 나뿐 점만이 나타나게 되어 향략적인 면이 부각되어 가정을 파괴하는 수가 있다. 향락적이어서 남에게 비난을 듣게 되며, 특히 여자는 연에 편력이 심해 정식 결혼을 하기 힘든 경향이 있고, 양이 강하면 연예계에 진출하면 좋고, 음이 강하면 물장수가 되기도 한다.
총명하고 욕심이 많으며, 허영심이 강하고 속박과 구속을 싫어한다. 자기 속마음을 잘 발설하기 때문에 타인의 오해와 비방을 받는다. 남을 얕보지 않는다면 자기 능력을 최고로 발회할 수 있기때문에 성공할 수 있다. 사주에 비겁이 많은 경우 반골 정신이 강하고, 정인이 있어 상관을 억제하면 반골 정신이 약화된다. 상관격은 기품이 있는데 火土상관격과 수木상관격은 자만심이 강해 남을 멸시하는 경향이 있다. 상관이 강하면 교만하나 숨기는 것이 없고 자랑을 잘한다. 사주에 관성이 없으면 거만하고 잔재주애 능하다. 편인과 동주이면 간사하고 자부심이 강하다. 편관 정재 정인 중 하나만 있어도 좋지만 없으면 말뿐인 사람이 되기 쉽다. 다른 주에 상관이나 겁재가 있으면 좋지 않다.
사교적이며 말재주가 좋고, 돈벌이에도 뛰어난 송씨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거짓말도 잘한다. 돈과 여자 모두 좋아하는 욕심쟁이라, 주의하지 않으면 여자 문제가 발생한다. 직장 여성은 직장과 가정이 양립하지 못하고 고민하게 된다. 여성은 가정만 지키는 것이 좋다. 타향에서성공하는 암시가 강하다. 편재가 중첩되면, 풍파가 많으며 게으르고 욕심이 많고 돈을 잘 쓴다. 편재가 역마라하는데 신강사주이면 활동가이고, 신약이면여난으로 인해 곤난을 받는다. 편재가 충이나 공망당하면, 재난이 많고 재산을 분산시키기도 잘한다. 횡재수가 많으나, 투기를 너무 즐기면 도리어 손해보는 수가 있다. 비견 또는 양인이 있으면 금전운이 나빠진다. 단 이 때에도 식신 인수가 있으면 좋게 된다. 남에계 돈을 잘 빌려주기도 하여 금전운이 좋을 것같지만 수중에 들어 온 돈이 없어지기 잘해 단순히 금전 출입이 빈번하다. 그러나 금전의 집착력이 없다고 할 수 없고 남보다 금전에 대한 집착력이 강하다. 편재가 천간에 투출하면, 금전에 대한 집착력이 밖으로 강하게 노출되어 타인의 입장은 전혀 생각지 않고 자기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므로 남에게 비방을 받을 수 있다.
성실과 신용을 존중하는 사람으로 너무 성실하기 때문에 약속을 어기는 일은 거의 없다. 너무 빈 틈이 없어 연인관계로는 재미없으나, 남편감으로는 적격이다. 신용을 자산으로 건실한 생활을 하며 대인관계도 원만하고 가정에서는 좋은 가장이다. 저금하기를 좋아하고 필요 이상의 지출은 삼가하지만 구두쇠는 아니다. 만약 정재가 12운성의 묘와 같이 있으면 구두쇠 경향이 있다. 신강사주는 결단력이 있지만 신약사주이면 우유부단해서 기회를 놓치는 수가 있으므로 결단력을 갖고 추진하는 것이 좋다. 다른 주애 비겁이 있으면 나쁘며 사주애 정재가 많고 비겁에 의해 억제되지 않으면 게으르고 결단력이 없고 구두쇠가 뒈기 쉽다. 재성의 간합이 많고 신약사주이면 외면은 온화해도 내면은 냉혹한 외유내강의 형이다. 신강사주이고 정쟤가 강하면 인내심이 강하고 가정의 안정을 바라는 사람이다. 사주에 정재와 편관이 여러 계 있으면 경솔하다. 쟤성이 많고 신약사주이면 친지에 의탁하는 경향이 있다.
칠살이라고도 하며, 권세를 나타낸다. 의협심과 의리가 강하다. 지도자적인 기질이 있어 자기를 믿고 도움을 요청하면 도움을 주지만, 머리가 영리하여 남의 속마음을 잘 뚫어보기 때문에 상대방이 자기를 이용하려고 하면 가만 두지 않는다. 권모술수애 능하며 기회를 잘 잡고 결단력이 강하다. 자기 자신을 과신하여 남웨 일애 간섭하기를 좋아하고 사소한 일로 상사와 충돌하기도 한다. 머리가 좋기때문애 남과 다툴때도 권모술수를 잘 쓴다. 이형의 사람은 사람 쓰는 재주가 뛰어나기때문에 부하를 자기 뜻대로 움직이는 독재쟈형이다. 다만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너무 분명하여 손해를 보는 수가 많다. 그러므로 자기 감정으로만 판단하지 말고 타인의 조언을 들어가면서 일을 추진하면 성공하걔 된다. 여자는 여장부적 기질이 있어 가정에만 있을 수 없어 부부연이 변하기 쉽다. 활동적 기질을 사회 활동하는데 사용하면 바람직하며, 남성과도 당당히 어깨를 겨루고 일할 수 있는 역량이 있고, 가정과 직장 일을 동시애 수행할 능력이 있다. 신약사주이고 편관이 강하면 타인에겐 의타심이 강하며, 신강사주이고 편관이 강하고 식상이 없으면 성격이 급하다. 그러나 식상이 있어 편관을 억제하면 인격이 있고 위엄이 있는 사람이다. 신강사주이고 편관이 약하면 게으르고 자만심이 강할 뿐 내실이 없다. 편관보다 정인이 강하면 실행력은 있으나 사려가 부족하다. 정인보다 편관이 강하면 말이 많다.
신용이 강하고 명랑하고 깨끗하며 청순한 성격이다. 인격이 딱딱한 면이 있어 남과 불화하는 수도 있다. 철두철미하고 신용과 합리성을 중요시하기 때문 남에게 폐를 끼치는 일을 한다거나 책잉을 저버리는 일은 하지 않는다. 다만 결벽성이 강하고, 신용을 중요시하기 때문애 실속보다는 명예를 얻는 쪽으로 1을 추진하므로 교제도 비교적 원만하다. 돈에 대한 집착력이 강하지 않으나, 남보다 출새가 빨라 주위의 시기를 받기 쉽고 자기 과신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성실하여 계획을 세우고 행동하며 낭비를 싫어한다. 너무 세밀한 계획을 새우기때문에 실천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무뚝뚝하지만 남편감으로는 상급이나 애인으로는 재미없다. 성실한 것이 장점이기도 하나 결벽증처럼 결점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주에 정관이 많으면 이러한 좋은 점이 없어지고 인격이 떨어진다. 여성은 현모양처의 기질을 타고난 사람이라, 가사를 맡겨두고 돌보지 않아도 실수하는 일이 없으므로 남편은 안심해도 좋다. 정관이 너무 강하면 의지가 약하다. 정관이 형 충이면 떠돌아 다니는 운명으로 관록이 오래가지 않는다. 정관이 1개 있고 형충이 없으면 군자이고 순수하며 강직하다. 관살이 혼잡하면 호색하며 잔 재주에 능하다. 정관과 쟤성이 있으면 총명하다.
재능이 있고 민첩하나 용두사미격으로 변하기 쉬우므로 성과가 적다. 손재주와 기술이 좋으나 자제할 필요가 있다. 드물게 외면은 그럴듯하지만 내면이 냉혹한 사람도 있다. 편인이 너무 강하면 처음에는 부지런하지만 나중에는 태만하고 성과도 보잘 것 없다. 한 가지 일애 전념하지 못하고 변덕이 많다. 편인과 정인이 3개이면나쁘다. 재성이 없으면 의식주 걱정해야 할정도로 빈한해지기도 한다. 편재나 정재가 있고 배합이 좋으면 거부가 된다. 편재나 정재가 없으면 고생하게 되며 이때애 식신 상관이 있으면 면한다.
자기 과신에 칭찬받기를 좋아한다. 순종적이기도 하지만 한편 반항 기질도 있다. 남의 이목과 체면에 너무 신경 쓰기때문애 실속이 없다. 항상 중심격인 위치애 서기를 좋아하고 자기가 중심적이지 못하면 남을 원망하거나 새상 또는 자기 자신을 비관하게 된다. 머리가 좋기때문에결점을 없애고 장점만 개발하면 크게 성공한다. 정인이 극충을 당하면 정신이 불안정한 경향이 있고 조용한 생활을 하기 어렵다. 정관 편관이 중 어느 하나만 있어면, 의식주 걱정은 없다. 단 정재가 있으면 금전운이 나빠진다. 정인이 많으면 흉하나, 정편재가 있으면 흉이 변해 좋계된다.
좋은 팔자는 신강하며 정재와 정관과 정인의 삼귀인이 있으면 부귀권세를 누리고, 오행이 골고루 다 있고 년월일시의 천간과 지지의 배합이 차례로 생해주면 최고의 팔자이다. 12운성이 장생과 건록과 관대가 있는 팔자이다. 나쁜 팔자는 오행이 한쪽으로 치우쳐 조화를 못 이루고, 칠살 편관과 도식(倒食) 편인과 상관과 겁재가 많으면 나쁘고, 12운성이 사절묘면 나쁜 팔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길신이라도 용신 희신이 아니면 불우하고, 흉신이라도 희용신이 되면 부귀한다. 인간웨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포(包, 절), 태(胎), 양(養), 생(生)과 목욕(沐浴), 관대(冠帶), 건록(建祿), 제왕(帝旺)과 쇠(衰), 병(病), 사(死), 묘(墓)의 12단계로 세분화한 12운성을 판단한다. 육친궁의 십신과 12운성의 관계를 따진 다음에 신약과 신강을 구별해 용신을 찾고, 당 사주에서 전래된 신살을 참작하고, 대운(大運)이 십년을 주기로 변하는 희신과 기신을 분석해 연운과도 연관해 운세를 판단한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